-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 19/06/25 12:28:29수정됨 |
Name | 리오니크 |
Subject | 매일매일 타인의 공포 - 안면인식장애 |
"친구여, 내게는 두 가지 궁금한 것이 있다네." "그것이 무엇인고?""하나는 프리지아의 향기이고, 또 하나는 김태희가 도대체 어떻게 생겼는가 하는 것일세." 앞의 것은 프리지아 취맹(?)이라는 증세이고, 유전적인 증세로 유럽인 경우 5~10%가 해당되는 것 같습니다. 그 뒤는 유명한 안면인식장애라는 것이죠. 희한한 유전자만 골라서 받은 모양입니다. 회사에서 얼굴 인식 프로그램을 테스트할 때였습니다. 일단 연예인 사진들을 모아서 테스트해 보려고 이미지 검색을 하였는데, 아무리 보아도 다른 사람인데 같은 이름(예를 들면 '김태희')이 붙어 있는 것입니다. 진짜로 내용과 사진이 다를 수 있으므로, 옆에 있는 동료 직원들에게 일일히 물어 가면서 사진의 사람이 특정 연예인인지 확인받고 실험 데이터를 만들어야 했습니다. 제 경우는 오랫동안 같이 지내면 어느 정도 인식을 하기에 그렇게까지 심한 증세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사회생활에는 충분히 불편함이 따르죠. 신해철씨가 자기 아내의 얼굴을 못 알아보았다는 말이 제게는 농담이 아닙니다. 예전에 김혜수씨가 화장품 광고에서 사진을 찍었을 때 화장품 가게에 부탁해서 브로마이드를 얻은 적이 있습니다. 같은 실험실 여자 선배의 구박을 받으면서도 제 책상 앞에 떡하니 1년 동안 붙여 놓았었지요. 그러고 몇년 뒤에 극장이 있는 건물에 간 적이 있습니다. 어떤 여성 한 분이 휙 지나가면서 그 뒤에 많은 사람들이 우르르 뒤따르더군요. 그래서 그 주변에 있던 경비원에게 물었습니다. "저 분이 누구입니까? 유명한 분인가 보네요?" 그랬더니 경비원은 한숨을 쉬며 마치 간첩을 보는 듯한 눈으로, "아니 김혜수 몰라요? 김혜수?" 라고 타박하였습니다. 네.. 김혜수씨가 영화 '타짜'의 홍보를 위해 극장에 들렸던 것입니다. 최진실씨가 출연하는 유명한 드라마가 있었는데, 자취방에서 모두 모여서 조그만 TV로 함께 보고 있었습니다. 최진실씨가 등장했다가 옷을 바꿔 입기만 해도 제가 "저 여자는 누구지?"라고 묻기를 반복하자 마침내 보는 데 방해된다고 쫓겨나고 말았습니다. 결혼 전 사귀던 아내를 약속 장소에서 못 알아본 것은 뭐 이야기거리도 안 되겠지요. 그러다 보니 오해를 많이 사게 됩니다. 아는 척도 안 한다, 인사를 안 한다, 뭐 불만 있느냐.. 이런 말 듣기는 다반사이고, 혹시 눈을 마주치면 알아보아야 하는데 못 알아보면 마음에 상처를 주게 될 까봐 (사실은 나중에 야단맞을까봐) 바닥을 보고 다니는 것이 습관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인사를 하고 싶어도 엉뚱한 사람이면 어쩌지? 라는 마음에, 자꾸 위축되는 것을 피할 수 없더군요. 앞서 언급하였지만 제 경우는 그렇게까지 중증은 아닌지, 가까운 거리에서 한 몇달 함께 지내면 어느 정도 인식이 가능하고, 인사도 할 수 있습니다. 이때 쯤 되면 상대방의 얼굴이 일종의 만화처럼 간략화되어 느껴집니다. 그러나 그것에도 또 함정이 있는 것이, 그 인식되는 상태에서 머리 모양을 바꾸는 등 스타일을 바꿔 버리면 다시 누구인지 못 알아보게 됩니다. 후배(남)의 머리가 직모인데, 파마하고 나서는 못 알아보다가, 머리를 풀었을 때 또다시 못 알아보는 식입니다. 여기에서 추측한 것은, 컴퓨터 알고리즘은 보통 눈 사이의 거리 등 얼굴에서 feature를 추출하고 그것을 비교하여 동일인임을 인식하는데, 제 경우는 사람 얼굴을 이미지 한장 한장으로 기억하는 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미지가 수없이 많이 축적되면 이미지들과 매칭을 시도하여 인식을 할 수 있지만, 다시 잠시 못 보게 되면 수많은 이미지들이 희미해지든지 다른 이미지 저장공간에 밀려나서 인식이 어려워지는 것이 아닐까, 그렇게 생각해 보았습니다. 신우회 모임에서 새로운 학년이 들어와서 반갑게 인사를 했습니다만, 다음 주 모임에서는 웬일인지 모두가 바뀌어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 주 모임에서는 또다시 모두 바뀌어 있습니다. 아마도 그 중 정말 새로운 얼굴도 있었겠지만, 그 외에는 바뀐 것이 아니라 동일인인데 인식을 못한 것일 겁니다. 그렇게 안면인식장애가 있는 사람은 공포영화 없이도 매일매일 타인을 마주치는 것만으로 공포를 즐기며 살아갈 수 있습니다. (티타임에 처음으로 글을 올려 보았습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9-07-07 23:10)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3
이 게시판에 등록된 리오니크님의 최근 게시물 |
저도 조금 있어요! 저는 예전에 원빈이랑 신민아가 나오는 top 커피 광고를 보다가 옆에 계신 엄마에게 “엄마, 저 남자배우는 신인인가? 엄청 잘 생겼지 않아?”라고 한 적이 있어요...ㅋㅋㅋㅋ 신민아는 알아보면서 원빈은 모르는 저를 보고 저희 엄마가 벙쪄서 절 바라보던 게 생각나네요.
저는 처음 보는 사람들을 잘 구분 못해서 첫인사 할때 사람이 많으면 당황해요. 몇달이 지나면 괜찮아지는데, 또 자주 안본 사람을 너무 오랜만에 봐도 긴가민가해서 아는 척 못할 때가 많아요. 서양인들은 정말 지독하게 못 알아봐서 영화 볼 때마다 새로운데 다 같은 인물인 걸 알고 놀란적도 많아요 ㅠㅠ 아 불편해요 정말...
저는 처음 보는 사람들을 잘 구분 못해서 첫인사 할때 사람이 많으면 당황해요. 몇달이 지나면 괜찮아지는데, 또 자주 안본 사람을 너무 오랜만에 봐도 긴가민가해서 아는 척 못할 때가 많아요. 서양인들은 정말 지독하게 못 알아봐서 영화 볼 때마다 새로운데 다 같은 인물인 걸 알고 놀란적도 많아요 ㅠㅠ 아 불편해요 정말...
저도 안면인식장애가 조금 있어요 ㅠㅠ
( https://redtea.kr/pb/view.php?id=timeline&no=143337 여기 테스트에서 4개 맞춤.. ㅜㅜ)
저는 주로 목소리로 사람을 구별하더라구요..
그래서 발신인 번호가 뜨지 않던 시절에도
전화받으면 바로 누구인지 알 수 있었는데 요즘은 쓸모가 없어졌죠... ㅎㅎ;;;
( https://redtea.kr/pb/view.php?id=timeline&no=143337 여기 테스트에서 4개 맞춤.. ㅜㅜ)
저는 주로 목소리로 사람을 구별하더라구요..
그래서 발신인 번호가 뜨지 않던 시절에도
전화받으면 바로 누구인지 알 수 있었는데 요즘은 쓸모가 없어졌죠... ㅎㅎ;;;
본문에서 말하는 안면인식장애는 특정인을 유니크하게 구별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에 가까울 겁니다 (경험상...)
원빈이나 옥동자가 비슷하게 보이는 수준이면 진짜 질병 수준의 안면인식장애인데, 본문은 그 정도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그 신해철이 말했던 손석희 성시경 구분못했다는 그 정도 범위 (안경쓰고 적당히 잘생긴 사람으로 묶이는) 구분 못하는 뭐 그 정도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원빈이나 옥동자가 비슷하게 보이는 수준이면 진짜 질병 수준의 안면인식장애인데, 본문은 그 정도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그 신해철이 말했던 손석희 성시경 구분못했다는 그 정도 범위 (안경쓰고 적당히 잘생긴 사람으로 묶이는) 구분 못하는 뭐 그 정도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부계 쪽에서 저 정도까지는 아니어도 사람을 잘 기억 못하시긴 합니다.
TV나 사진에서 보는 연예인들은 잘생기거나 예쁘다는 느낌이 많이 들지 않고요. (얼굴보다는 분위기를 보는 것 같습니다.) 실제 거리에서 보는 분들은 잘생긴 분들 많더군요. 그런데 다음날 다시 보면 다른 사람으로 인식하거나 엉뚱한 사람을 같은 사람으로 인식하는 것이.. 잘생긴 분들은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이 적어서 알아보기 더 어렵습니다.
TV나 사진에서 보는 연예인들은 잘생기거나 예쁘다는 느낌이 많이 들지 않고요. (얼굴보다는 분위기를 보는 것 같습니다.) 실제 거리에서 보는 분들은 잘생긴 분들 많더군요. 그런데 다음날 다시 보면 다른 사람으로 인식하거나 엉뚱한 사람을 같은 사람으로 인식하는 것이.. 잘생긴 분들은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이 적어서 알아보기 더 어렵습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남 얘기가 아니네요 ㅋㅋ
이게 고역인게 아는 사람인가 싶은 사람을 마주쳐도 엉뚱한 사람일 수도 있어서 먼저 말걸거나 인사를 할 수가 없습니다
예를 들면 10년 동안 매일 봤던 사람이라도 길거리에서 마주치면 확신을 할 수가 없다 이 말입니다
안경이라든가 머리 모양이라든가가 확실하게 구별이 되는 사람은 얼굴이 아니라 그런 것들로 구별이 가능하고,
공간이 회사 내라든가 학교 내로 좁혀진 상태에서는 만난 사람이 동료일 확률이 높으니까 틀릴 일이 별로 없어서 괜찮은데
실내가 아닌 오픈된 곳에서 안경을... 더 보기
이게 고역인게 아는 사람인가 싶은 사람을 마주쳐도 엉뚱한 사람일 수도 있어서 먼저 말걸거나 인사를 할 수가 없습니다
예를 들면 10년 동안 매일 봤던 사람이라도 길거리에서 마주치면 확신을 할 수가 없다 이 말입니다
안경이라든가 머리 모양이라든가가 확실하게 구별이 되는 사람은 얼굴이 아니라 그런 것들로 구별이 가능하고,
공간이 회사 내라든가 학교 내로 좁혀진 상태에서는 만난 사람이 동료일 확률이 높으니까 틀릴 일이 별로 없어서 괜찮은데
실내가 아닌 오픈된 곳에서 안경을... 더 보기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남 얘기가 아니네요 ㅋㅋ
이게 고역인게 아는 사람인가 싶은 사람을 마주쳐도 엉뚱한 사람일 수도 있어서 먼저 말걸거나 인사를 할 수가 없습니다
예를 들면 10년 동안 매일 봤던 사람이라도 길거리에서 마주치면 확신을 할 수가 없다 이 말입니다
안경이라든가 머리 모양이라든가가 확실하게 구별이 되는 사람은 얼굴이 아니라 그런 것들로 구별이 가능하고,
공간이 회사 내라든가 학교 내로 좁혀진 상태에서는 만난 사람이 동료일 확률이 높으니까 틀릴 일이 별로 없어서 괜찮은데
실내가 아닌 오픈된 곳에서 안경을 쓰던 사람이 벗었다던가 머리 모양을 바꿨다던가 하면 어제 10시간 동안 봤던 사람도 그 사람인지 확신 못하고 그냥 지나갑니다
이게 고역인게 아는 사람인가 싶은 사람을 마주쳐도 엉뚱한 사람일 수도 있어서 먼저 말걸거나 인사를 할 수가 없습니다
예를 들면 10년 동안 매일 봤던 사람이라도 길거리에서 마주치면 확신을 할 수가 없다 이 말입니다
안경이라든가 머리 모양이라든가가 확실하게 구별이 되는 사람은 얼굴이 아니라 그런 것들로 구별이 가능하고,
공간이 회사 내라든가 학교 내로 좁혀진 상태에서는 만난 사람이 동료일 확률이 높으니까 틀릴 일이 별로 없어서 괜찮은데
실내가 아닌 오픈된 곳에서 안경을 쓰던 사람이 벗었다던가 머리 모양을 바꿨다던가 하면 어제 10시간 동안 봤던 사람도 그 사람인지 확신 못하고 그냥 지나갑니다
저도 이 비슷한 증세가.. 비슷한 수준이거나 좀 덜한 것 같아요.
연예인 아이돌 얼굴은 다 똑같아보이고(심지어 이 친구들은 헤어스타일, 옷 스타일도 분기별로 바꿉니다!) 하는 바람에 학창시절 때 또래들의 가장 중요한 대화에 끼질 못했네요... 아는 사람 못 알아보니까 바닥 보고다닌것도 비슷하구요.
실제로 안면인식장애라고 생각은 못하고, 그냥 둔한 사람, 못난 사람으로 생각하고 살아서 그런지 이 글이 많이 반갑고, 지금까지 겪었던 일이 꼭 내 잘못은 아니라고 말해주는 것 같아서 마음이 놓이네요. 이렇게 글 써 주셔서 참 감사합니다.
연예인 아이돌 얼굴은 다 똑같아보이고(심지어 이 친구들은 헤어스타일, 옷 스타일도 분기별로 바꿉니다!) 하는 바람에 학창시절 때 또래들의 가장 중요한 대화에 끼질 못했네요... 아는 사람 못 알아보니까 바닥 보고다닌것도 비슷하구요.
실제로 안면인식장애라고 생각은 못하고, 그냥 둔한 사람, 못난 사람으로 생각하고 살아서 그런지 이 글이 많이 반갑고, 지금까지 겪었던 일이 꼭 내 잘못은 아니라고 말해주는 것 같아서 마음이 놓이네요. 이렇게 글 써 주셔서 참 감사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