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10/24 20:39:05
Name   tannenbaum
Subject   외국인 범죄에 대한 진실과 오해
본 게시물은 이민정책연구원에서 2015년 12월 발표한 '체류외국인 범죄의 오해와 진실'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http://www.iom-mrtc.org/business/business02_5.php?admin_mode=read&no=295#

링크에서 PDF파일로 전체 내용을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사람 사는데는 다 똑같다 차별을 두어서는 안된다 믿고 그리 행동하려 노력합니다. 그러나 간혹 인적 드문 길에서 단체로 담배피우는 술 취한 조선족이나 중국인 무리를 만나면 흠짓하곤 합니다. 하지만, 그런 두려움의 원인은 그들이 조선족이거나 중국인이어서가 아니라 외진 길이었기 때문이고 위험해보이는 술취한 건장한 남자들 무리를 혼자 만났기 때문이지요. 그 무리에 사투리 심하게 쓰는 깍두기 포스 형님들이나 침 찍찍 뱉는 고딩들을 가져다 놔도 저처럼 쫄보에 소심한 사람은 겁나긴 매한가지인 것처럼요.

미디어에서 강력범죄를 저지르는 외국인 - 특히 조선족이 압도적이겠지요 - 을 자주 접합니다. 오원춘같은 케이스는 그 임팩트가 매우 강렬했습니다. 그런 경험들이 누적되다보면 어느새 외국인 = 위험한 사람이란 생각을 갖기도 합니다. 특히나, 백인들보다는 조선족, 중국인, 동남아인에 대한 차별적인 시선과 결합해 그 거부감은 더 강화되기도 합니다. 현실에서도 물론이고 넷상에서도 포지션을 가리지 않고 제노포비아가 나타납니다. 나름 진보적인 평을 듣는 커뮤니티에서도 그런 시선은 심심치 않게 발견됩니다. 외노자 = 불체자 = 범죄자 = 전부나쁜놈 요렇게요.

그런 시선은 주로 외노자로 불리우는 조선족, 중국인, 동남아, 이슬람에게 집중되는 편입니다. 외국인은 범죄자들이 많다. 그런 외국인들이 한국을 잠식하고 있는데도 정부는 다문화정책이란 이유로 도리어 그들을 활개치고 다니게 놔둔다. 그들로 인해 피해 받는 자국민을 외면하는것은 노동력 확보를 위한 자본가와 권력층의 음모다... 등등. 낙인에 가까운 시선을 받는 외국인과 그 범죄에 대한 인식이 어느정도 사실일까 평소에도 궁금하던 차 관련 자료를 보게 되었습니다.



1. 외국인 범죄(율)은 증가하고 있다.

*우상단 10만명당 범죄율에서 Y축 기준은 1만단위가 아닌 1천단위이고 빨간색 범죄건수는 아래 1000근처로 이동해야 합니다. 아마도 차트를 만들면서 오류가 있었던 듯 합니다.
*아래쪽은 왼쪽이 10만명당 강력범죄(살인, 강간, 강도)율이고 오른쪽이 총범죄건수입니다.

1998년~2008년까지는 도박과 교통범죄가 제외된 수치이므로 2008년까지는 범죄건수와 10만명당 범죄율이 과소평가 된 점을 고려하고 보셔야 합니다. 외국인이 증가한만큼 범죄건수는 증가하였으나 범죄율은 정체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 외국인 범죄율은 한국인(내국인)보다 높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결과를 보면 10만명당 범죄율은 내국인의 절반 이하입니다. 하지만, 범죄유형별로 살피면 살인, 살인미수, 폭행, 마약은 내국인보다 적게는 30퍼센트 많게는 세배가 넘는 범죄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10만명당 범죄율은 외국인이 더 낮으나 강력범죄는 외국인들이 더 많이 저지르고 있습니다.

3. 불체자가 늘어날수록 범죄를 더 늘어난다.


이 차트도 오류가 있습니다. B/내국인범죄율 => 합법외국인체류자범죄율/내국인범죄율, C/내국인범죄율 => 불법외국인체류자범죄율/내국인범죄율의 오기입니다.

합법적으로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들이 전체/유형별 모두에서 불체자들보다 범죄율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막연한 불체자에 대한 이미지는 어느정도 편견이 섞이지 않안나 싶습니다.

4. 중국인(조선족)의 범죄율이 높은가.


외국인 범죄하면 열에 아홉은 중국인이나 조선족을 떠올릴 것입니다. 총 범죄건수로는 국내 체류중인 중국인의 수가 압도적이기 때문에 중국인이 1위입니다. 하지만 범죄율은 몽골로 내국인의 1.5배로 가장 높은 범죄율을 보이고 있으며 몽골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의 범죄율은 내국인보다 낮습니다. 각 범죄유형별로 범죄율은 표에서 보듯 중국인은 단 한 항목에서도 가장 높은 범죄율을 보이고 있지 않습니다.



예상했던 결과와 맞는 부분도 있고 다른 부분도 있습니다만, 이렇게 정리된 자료를 살피는 건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통계라는 것은 동일한 수치를 놓고도 해석하는 이에 따라서 달라지기도 합니다. 정치권에서 흔히 보는거지요?

누군가는 '이것봐라 외국인들이 문제다. 살인, 상도, 폭력 같은 강력범죄를 내국인보다 더 저지르지 않나?', 또 다른이는 ' 아니다 이것은 사건발생수가 내국인보다 월등히 적은데다 외국인들끼리 일어나는 사건도 반영해야 한다. 단순히 강력범죄율이 높다는 것 만으론 정당치 않다' 라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두 주장 다 틀린건 아닙니다. 아니 두 주장 다 옳다고 해야겠네요.

이 자료를 통해서 어떤 주장이 절대적으로 옳다고 판단할 수는 없겠지만, 관련된 주장을 할때 최소한의 근거를 찾아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11-07 09:43)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6
  • 논문급 자료정리에는 추천
  • 자료분석 감사합니다
  • 팩트는 추천


저희 집 근처 공사현장에서 몽골인들끼리 싸우던 거 생각나네요. 정말 살벌하더라구요....

외국인에 대한 그런 인식은 영화탓도 있는 것 같고(신세계, 달콤한 인생 등)

우리가 국내 외국인노동자들을 접할 기회는 직장 내가 아닌(보통 외국인고용업장은 외국인만 있는 경우가 많죠) 그들이 술먹고 놀 때 유흥가에서 왁자지껄하는 모습만 보니까 그런 것도 큰 것 같습니다.
외국인 노동자들도 불이익을 감수하며 살고 있는 이 땅의 소수자들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세히는 알지 못하지만 많은 억울함들이 그들 안에 있으리란 것은 어렵지 않게 짐작 가능합니다.
농담처럼 많이 이야기하는 '똑바로 서라, 핫산' 같은 일들이 실제로 수두룩 하겠지요.

쉽지 않은 일이겠지만, 좀 더 관용하고 포용하는 사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소노다 우미
사실 중요한것은 외국인 범죄보다는 치안시스템이죠. 한국의 외국인 숫자를 생각해봐도 그렇지만 내국인의 수도, 내국인의 범죄수도 절대다수니까요.
그런데 치안도 결국 의료처럼 사람을 갉아먹으면서 유지되고 있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불연듯 드네요.
이런 근거있는 논거 정말좋아요! 어디가서 이러저러한 근거가있더라 라고말할 수 있겠네요. 잘봤습니다
Ben사랑
똑같은 외국인 집단이 들어와도 그들을 어떻게 대우하고 취급하느냐에 따라서 그들의 범죄율이 달라질 수 있겠죠.
근거로써 가치가 있는 data 제시, 정말 고맙습니다.
기아트윈스
내국인 범죄율을 계층별 (소득분위별)로 나눠서 보면 더 재밌는 결과가 나왔을 것 같아요. 중산층 이상은 강력범죄를 덜 저지르는 경향이 있다는 걸 감안하면 외국인 강력범죄율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나는 건 그들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열악한 데서 오는 게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어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48 정치/사회뉴게(?)를 보고 몇 자 적어보는 구속수사 8 烏鳳 17/01/17 6287 18
346 정치/사회한국정치의 혁명! 선호투표제가 결선투표제보다 낫다 12 나호토WTFM 17/01/15 6492 3
336 정치/사회대리모 문제 37 烏鳳 17/01/03 7694 12
305 정치/사회동교동계. 부끄러운줄 알라. 7 Bergy10 16/11/20 5598 10
304 정치/사회신칸센, 세계최초의 고속철도 - 소고 신지와 엘리트 네트워크 4 커피최고 16/11/17 7443 5
298 정치/사회시국 단상: 박대통령과 골룸 16 기아트윈스 16/11/08 5342 10
290 정치/사회외국인 범죄에 대한 진실과 오해 6 tannenbaum 16/10/24 8439 6
273 정치/사회미국의 배심원 선택 제도 24 까페레인 16/09/30 11330 5
271 정치/사회미국의 트럼프 열풍에 대한 소고 23 길도현 16/09/28 6958 11
256 정치/사회위안부 관련, 최근 뉴스들 짜깁기한 것 2 Ben사랑 16/08/27 5490 3
255 정치/사회외국인 가사도우미와 가사 공간 내부의 협상 20 호라타래 16/08/26 6752 3
244 정치/사회성별과 투표참여, 그리고 정치지식과 선거관심도 9 난커피가더좋아 16/08/04 6038 11
243 정치/사회정말 젊은 여성들은 정치/사회에 관심이 없을까? 26 DoubleYellowDot 16/08/03 8691 10
239 정치/사회혐오를 정당화하는 자들에 대한 혐오감 56 데스꽁치 16/07/27 8946 18
233 정치/사회애프터 : 최저임금위원회와 메갈리아 시리즈 24 당근매니아 16/07/14 7317 1
232 정치/사회경향 김서영 기자 유감 44 당근매니아 16/07/13 9909 17
212 정치/사회새누리 측 노동법 개정안 간단 요약 정리. 11 당근매니아 16/05/31 6731 5
206 정치/사회. 58 리틀미 16/05/20 9282 16
200 정치/사회아르헨티나의 더러운 전쟁과 5월 광장의 어머니회 2 커피최고 16/05/02 6565 6
184 정치/사회각국 20대의 투표율에 관한 일고 29 기아트윈스 16/04/13 10976 14
161 정치/사회필리버스터와 총선, 그리고 대중운동. 11 nickyo 16/02/24 6205 13
159 정치/사회다른 사람 입장에서 생각하기 16 리틀미 16/02/22 6696 3
150 정치/사회생생함, 그 이상의 효과 38 마스터충달 16/02/05 6916 17
131 정치/사회인용의 실패와 승리, 두 정치인의 경우 9 moira 15/12/15 6954 15
128 정치/사회프랑스 극우당의 승리에 대한 논평에 대한 이야기 15 nickyo 15/12/12 6550 5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