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4/04/11 16:25:53
Name   Leeka
File #1   2024_04_11_16_03_56.488.png (187.3 KB), Download : 10
Subject   이준석이 동탄에서 어떤 과정으로 역전을 했나



- 한달도 안되서 20% 이상의 차이를 뒤집고..  국힘/민주당 둘다 후보가 나온 지역에서의 유일한 제3 정당 당선인이 된 이준석..



- 선거 공보물을 손으로 쓰고, 지도까지 그려가면서 마음 흔들기 시도


https://youtu.be/SZlBetgnAO4
출마한 김에 동탄 일주|동탄, 어디까지 가봤니? 이준석은 100개 단지 다 가봤습니다!

- 막바지. 동탄의 모든 단지를 직접 돌면서 유튜브를 하고. 단지에 대한 각각의 이야기


https://youtu.be/Lkb-3uswfdo
[화성을] 공영운 한정민 이준석 3자토론 "아빠찬스, 딸도 22억 vs 분탕질, 난도질"

- 토론회 시도


- 그리고 이준석이 나간 '화성을' 에서만 개혁신당 전체 비례표의 3%가 나옴..
동탄 지역 하나에서 나온 개혁신당 비례대표는 개혁신당 전체 비례표의 8%.....

동탄 공략을 통해 이준석 한명만 살린게 아니라 개혁신당 비례대표도 2명을 만들어 낸....




큰 틀에서 이준석이 당선 후 했던 말에는

'동탄은 생긴지 10년도 안된 신도시다.   지역 토박이가 있을수가 없다' + 유권자가 젊다..    2가지를 포인트로 보고 들어갔던거 같네요.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4-04-23 07:55)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6


    허윤진남편
    정치적 감각이 거의 박근혜정도임
    1
    선거의 신!

    윤석열 대통령 메이드
    2022 지방선거 승리
    2024 국회의원 본인 당선 + 비례표 3% 이상 획득
    은하스물셋
    제가 지금까지 이준석 비판 많이 했거든요. 왜 동탄 갔냐고. 떨어질 거면 노원에서 떨어졌어야지. 저만 그런 소리 한 건 아니고, 다들 그런 말 많이 했죠.

    와...
    근데 당선됨으로서 그런 비판 싹 다 날려버렸네요.

    그쵸. 붙으면 되죠.
    떨어졌을 때 가장 좋은 선택을 하는 게 뭐가 중요합니까. 붙으면 되지.
    11
    어제 본 댓글 중에
    이준석에게 한 말 중 인상 깊었던게
    [스마트한 기획팀 사원이 운영 바닥에 내려와서 힘들게 고군분투 한다]
    라는 뉘양스의 얘기가 있었는데,
    실상은

    [응 되는데?]

    의 느낌이라니 ㄷㄷㄷㄷㄷㄷㄷㄷㄷ
    주니파
    그런데 진짜 스마트한 기획팀 사원(사원은 아니고 과장급은 된다고 생각)이 운영 바닥에 내려와서 [목숨걸고] 고군분투 하면 뭐라도 이뤄낼 수 있긴 하죠. 그걸 잘 보여준 선거였다고 생각합니다. [진인사대천명]
    이준석 씨가 똑똑하다/영리하다는 말에는 여전히 동의하기 어렵지만,
    그가 열심히 사는 사람으로서 존경받을만 하다는 생각은 듭니다.
    그의 성과와 성과를 이뤄낸 과정은 제가 그를 평가할 때 적용한 기준들과는 무관하기 때문에 부정적 평가는 조금도 희석되지 않지만요.
    9
    남들이 못 볼 각으로 (왜 험지인 화성으로 감?)
    남들이 생각못할 방법으로
    성공을 거뒀다면,
    적어도 이 부분에선 똑똑하고 영리하다고 평가할만하죠.

    물론 부정적 평가는 양립하여 가겠지만요.
    그건 안고 가야 할 숙명이죠.
    5
    그렇게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닭장군
    원래 사람의 능력이 한가지가 아니니깐요. 분야별로 똑똑한 것과 똑똑하지 못한것이 같이 있는거죠.
    3
    현답입니다.
    AI로 폰트 만들어주는 서비스인 온글잎 있었을 때 폰트 만들었으면 직접 쓰지 않아도 되었을텐데...
    혹시 그 때 폰트 만들지 않았을라나 궁금하기도 합니다.
    괄하이드(괄하이드)
    예전에 이준석이 어디에선가 자필 편지 보내는 얘기할때 자필 폰트 쓴다는 얘기 하긴 했습니다. 그래서 이번것도 당연히 자필폰트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그럼 아마 폰트를 쓴게 맞긴 맞을거 같네요.
    저 이미지에서도 보면 동탄이라는 글씨의 모양이 모두 같지요.
    자필로 저렇게 줄 칼 같이 맞춰서 행간 균일하게 쓰는게 쉽지 않고요.

    아마 폰트 제작도 온글잎에서 하긴 했을거 같네요.
    고기먹고싶다
    사실 민주당 후보가 멀쩡했으면 이랬어도 졌을거긴합니다.
    6
    공천이 끝난 뒤에 들어온거기 때문에 '민주/국힘' 후보 상태까지 보고 고른것도 포인트죠...
    6
    고기먹고싶다
    그렇긴한데 공영운이 이렇게 까지 막장일줄은 본인도 생각못했었을거라 의혹도 많은데 태도도 안좋아서 약민주당 지지층이 엄청 넘어갔다고 봅니다. 이준석이 은근히 민주당 약 지지층한테 인기가 있기도 하구요
    그건 운도 따랐다 정도로?
    고기먹고싶다
    그쵸 제가 하고싶은말도 그 얘기였읍니다. 최선을 다해야 운이 따랐을때 받아먹을수있죠 ㅋㅋ
    산타는옴닉
    저 방식으로 당선되었다면, 다음 선거에서도 저 방식 쓰기는 어려울 겁니다.
    애초에 저 공약들 다 어떻게 할지도 관심있게 보고 있읍니다.

    못 지키면 그냥 전형적인 정치신인의 뽀록으로 남을 것이고, 일정 이상 이행된다면 굉장한 일일 겁니다.
    16
    cheerful
    우선 본인의 첫 지역구이니 열심히 할것 같긴한데...평가는 동탄분들이 하시겠지요? ㅎ 정치 원투년 할것도 아니니 ㅎ
    1
    말만 잘한다. = 말도 못하는거보다는 낫죠.
    저희 동네가 아니라 정확하진 않지만 지역구 아파트 다 돌면서 원하는 니즈 다 이야기 해주는거 대단하던데요? 저희동네 정치인이뜬구름 잡는 소리 그만 하고 저렇게 시원하게 긁어주면 저도 혹 했을거 같습니다.

    그리고 전형적인 정치신인이 양당 아니고 3지대로 나와서 어떻게 당선이 됩니까? 그런 사례가 우리나라에서 흔해서 전형적인이라는 형용사가 붙을 케이스인가요?
    5
    명절은추석
    양당 아니고 제3지대로 나와서 (단일화 없이) 당선된 경우 지금은 원외로 간 진보정당의 역사에서 찾아보면 꽤 나올겁니다. 전형적이라는 형용사를 붙일만한 케이스는 아니겠지만요.

    공약 못지키면 다음 선거에서 떨어질 뽀록으로 판단하는 것도 진보정당 및 제3지대의 역사를 반추해보면 맞는 판단으로 볼 수 있겠고요.
    1
    집에 가는 제로스
    노회찬 정도일까? 해서 찾아봤는데 노회찬도 단일화로 당선이네요. 그럼 심상정인가? 해서 보니 심상정이 단일화없이 2번 당선되었더군요. 하지만 처음에는 단일화로 다선된 지역에서 현역으로 재선3선이었죠. 그리고는 이번에도 진보당이 당선된 울산북구에서 조승수가 2004 한번 단일화없이 당선된 적 있군요. 다른 예가 더 있을까요?
    3
    안철수, 3지대 있을때 양당후보 모두 있는 상태에서도 당선된걸로 알고 있습니다.
    안철수는 정칙권에 데뷔하자마자 지금은 윤통 능가할정도로 유력한 대선후보 였기 때문에 전혀 전형적인 정치 신인이 아니었습니다. 처음이 고점이었고 계속 내려왔지만 전형적이라는 말이 안 어울리는 이레귤러입니다.
    명절은추석
    창원 권영길 초선 재선도 단일화 없이 당선 했고 강기갑 재선도 찾아보니 단일화는 아닌 (민주당이 걍 경쟁력 없다 판단하고 안냄) 상태로 당선

    찾아보면 더 있을라나
    인물에 대한 호오를 떠나 시사하는 바가 있네요. 저희 지역구도 선거 공보물은 정말 이쪽이든 저쪽이든 눈뜨고 봐주기 힘든 수준이었읍니다..
    6
    저희동네도 마찬가지. 누가 되었든간에 제가사는 구도심에 신경 안쓸것도 안봐도 뻔했구요. 지난 21대가 그랬으니까..
    저도 같은 시, 구 안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지역 주민인 게 느껴져 슬펐읍니다만, 이와 별개로 이번 선거 전반적으로도 정책 얘기가 많이 없었던 것 같아요.
    듣보잡
    대단합니다. 그 동안 보여준 인성과 이해하기 힘든 언행, 행보들을 전부 감안해 봐도 아무리 생각해도 제 기준에서 1픽 정치인은 이 양반이 맞네요.
    1
    이번 총선의 주인공은 이준석이라 봅니다. 3명짜리 미니 정당으로 원내에서 뭘 할 수 있을까 여전히 회의적이긴 합니다만, 적어도 이번 총선은 당선으로 증명했죠.
    1
    조국신당 포함 범민주 198석 / 개혁신당 3석
    일때 만큼은 아니긴 하지만

    윤석열에 대한 특검, 거부권 돌파, 탄핵 정국에 들어선다면
    이준석이 가장 돋보이게 되겠죠.
    결국 국힘에서 의원을 빼돌리려면 중간 다리는 이준석이 해야하니까요.

    재밌는건 안철수가 여당 대표가 되는게 윤석열과 대립각을 세울 여당 내 카드지만, 이준석과 협치를 해야 한다면?

    발을 뺄지 먼저 나댈지 눈치 보는 싸움이 상당히 재밌을 듯 합니다. ㅋㅋ
    윤석열 특검이나 탄핵정국 까지 가지 않을거라고 보는 입장이고, 설사 그런 국면이 오더라도 누굴 빼오고 중간 다리를 하는 정치력에서 이준석은 낙제점이라고 봐서요. 이준석이 강점을 갖는건 전략을 짜거나 정책 이슈를 던지는거라고 봐서 3명짜리 소수 정당 당대표가 그 역할을 할 수 있을지 회의적이네요.
    아뇨 그정도면 그냥 국힘 반란표로 아주 가볍게 200채우죠

    그리고 본인들이 윤석열 때리기에 가장 앞장선다고 하면서 당선된거라서
    때리는데 미적지근하면 지지층 실망하는걸 막을수없겁니다

    당장 한동훈에 미적지근한 반응 보고 뭐라하는사람들도 있는 판국에...
    i_terran
    대선 때 윤석열과 화해 연설 할 때는 목소리가 애송이 같고 징징대는 느낌이 있었다고 기억해요. 근데 이제는 목소리가 무게감이 있더라구요. 오늘 이준석 관련 유투브만 10편 이상 보고 있어요. 어디선가 한 말인데 민주당하고도 이준석이 잘어울린다고 했는데 민주당 쪽으로 들어와서 일할 수도 있다고 감히 바래봅니다
    호에로펜
    민주당쪽으로는 죽어도 못 들어가죠 제가 생각하기에 이준석이 민주당 들어갈 확률은 국힘에 다시 들어갈 확률보다 낮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뭐 모르죠 정치는 생물이니까

    여기 있는 그 누구도 전 서울시장이 그렇게 최후를 맞이할 거라고는 생각 못했을테니까요
    1
    i_terran
    댓글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제가 상상이 지나쳤던 것 같네요.
    본문 포함 이준석 선거 전략 대부분이 다 당시엔 감다뒤 취급이었던 기억이라... 저는 그냥 정치는 아무도 모르는거구나, 완전히 제 3자의 객관적인 시선으로 보는건 거의 불가능하구나 싶습니다.
    1
    저 선거구 투표인원 평균연령이 34세 였던것도 큰거 같읍니다
    낭만주의
    애기들 다 빠지고도 평균 34세인 동네면 진짜 젋네요 ㅠㅠ
    듣보잡
    저는 후보 등록 후 선거전략들은 베스트였다고 생각하고, 애초에 비례후순위로 안나오고 지역구에 나가는 판단이 썩은 판단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저기서 이겼으니 제 판단이 썩은 거겠죠... 이거 대선 때도 느낀 건데 지금 생각해도 저는 제 판단이 맞는 것 같은데 결국 결과로 보여주니 뭐 할 말은 없네요...
    낭만주의
    정치 몰라요 ㅎㅎ 진짜 하나도 모르겠음
    VinHaDaddy
    당선될 만 해서 당선됐네요.
    3
    집에 가는 제로스

    이준석 인생샷일듯
    7
    집에 가는 제로스

    유세를 얼마나 열심히 했는지 위 사진에서 보이는 아이들의 반응이 보여주네요.
    5
    과장보태서 3프로따리 신당후보가 양당후보를 낀 3자구도에서 개인기로 한달만에 뒤집은 건 정치사를 새로 쓴 캠페인이죠.
    추후에도 도전할 많은 언더독들에게 참고가 될만한 교보제가될겁니다.
    비오는압구정
    이준석의 선거전략이 먹히는 연령대였고 그걸 알고 동탄으로 출마한게 대단한것 같음.
    1
    사람이 죽어도 감성을 판다고 조롱하던분이 선거운동에 감성을 무기로 당선됐는데 어떤생각하고있는지 궁금하네요
    감성을 이용하기로 합리적 선택을 했다고 하면 인지부조화에서 벗어날 수 있읍니다.
    3
    당선 이후 하는 얘기들 들어보면 그때의 자신보다 지금의 자신이 발전했다고 생각할 거 같습니다. 이준석과는 별개로도 결국 정치는 타인을 움직이는 건데 감성을 배제하고 성공할 수 있다는 건 오만인 거 같아요
    오레오
    전장선택이 이순신급이라는 생각이 들었네요.
    2
    https://youtu.be/SZlBetgnAO4?si=qYQPTyDyE3vMEZz1
    출마한 김에 동탄 일주|동탄, 어디까지 가봤니? 이준석은 100개 단지 다 가봤습니다!


    제 지역구 아니라서 관심 없었는데 지역구 다 돌면서 모두의 니즈를 언급한거 대단한것 같습니다. 말만 잘한다? 말도 못하고 본인 지역구에 별 관심도 없는 정치인이 태반입니다.
    1
    초밥은연어
    자기 지역구가 어딘지도 모르면 지는게 맞긴 하죠.
    실제로 졌고요.
    페스토
    차력쇼는 잘 봤고 이제 좀 더 진중한 모습으로 정치하길 바랍니다. 일단 화성을에서 기대치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잘 해야겠죠
    바방구
    지인들이 좀 사는데, 무슨 마음으로 뽑았는지 물어봐야겠네요ㅎㅎ 그나저나 이준석 만큼만 해도 당선되는데, 이 정도 정성쏟기+감성팔이하기도 안 하는데 당선되는 지역도 많으니..
    1
    에디아빠
    아파트단지 투어 유튜브 기절하겠네요. 저정도 하면 없던 진정성도 생기겠네
    당근매니아
    공영운이 전국 단위 언론에 의해서 유세기간 내내 억까/정까 섞어서 이미지 개박살이 났다는 점을 빼놓고는 설명할 수 없다고 봅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44 정치/사회 2월 28일, 미국 우크라이나 정상회담 파토와 내용 정리. 11 코리몬테아스 25/03/01 1850 29
    1442 정치/사회목요일 대학살 - 믿을 수 없이 부패한 트럼프 16 코리몬테아스 25/02/19 1962 24
    1441 정치/사회화교는 상속세를 내지 않는다는 말 18 당근매니아 25/02/11 3263 17
    1440 정치/사회무엇이 한국을 분열시킬 수 있는가? 5 meson 25/02/09 1207 7
    1429 정치/사회민주당을 칭찬한다 13 명동의밤 25/01/15 2357 34
    1427 정치/사회탄핵심판의 범위 및 본건 탄핵심판의 쟁점 6 김비버 25/01/06 1152 14
    1424 정치/사회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제2차 변론준비기일 방청기 8 시테 25/01/03 1487 26
    1423 정치/사회그래서 통상임금 판결이 대체 뭔데? 16 당근매니아 24/12/23 1624 13
    1422 정치/사회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차가운 거리로 나서는 이유 10 삼유인생 24/12/08 1816 84
    1420 정치/사회 나는 더이상 차가운 거리에 나가고 싶지 않다. 9 당근매니아 24/12/08 1904 43
    1415 정치/사회명태균 요약.txt (깁니다) 23 매뉴물있뉴 24/10/28 2545 18
    1400 정치/사회한국 언론은 어쩌다 이렇게 망가지게 되었나?(3) 26 삼유인생 24/06/19 3297 35
    1398 정치/사회낙관하기는 어렵지만, 비관적 시나리오보다는 낫게 흘러가는 한국 사회 14 카르스 24/06/03 3483 11
    1396 정치/사회한국 언론은 어쩌다 이렇게 망가지게 되었나?(2) 18 삼유인생 24/05/29 3574 29
    1395 정치/사회한국언론은 어쩌다 이렇게 망가지게 되었나?(1) 8 삼유인생 24/05/20 3082 29
    1392 정치/사회취소소송에서의 원고적격의 개념과 시사점 등 9 김비버 24/05/02 2623 7
    1385 정치/사회이준석이 동탄에서 어떤 과정으로 역전을 했나 57 Leeka 24/04/11 5143 6
    1384 정치/사회절반의 성공을 안고 몰락한 정의당을 바라보며 10 카르스 24/04/11 3142 20
    1383 정치/사회의대 증원과 사회보험, 지대에 대하여...(펌) 45 cummings 24/04/04 9053 37
    1380 정치/사회UN 세계행복보고서 2024가 말하는, 한국과 동북아에 대한 의외의 이야기 17 카르스 24/03/26 3554 9
    1373 정치/사회노무사 잡론 13 당근매니아 24/03/04 3229 17
    1369 정치/사회업무개시명령의 효력 및 수사대응전략 8 김비버 24/02/21 2639 16
    1363 정치/사회10년차 외신 구독자로서 느끼는 한국 언론 32 카르스 24/02/05 4475 12
    1345 정치/사회한국 철도의 진정한 부흥기가 오는가 31 카르스 23/12/16 3596 7
    1343 정치/사회지방 소멸을 걱정하기에 앞서 지방이 필요한 이유를 성찰해야 한다. 42 Echo-Friendly 23/12/05 4297 18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