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4/04/11 15:45:42
Name   카르스
Subject   절반의 성공을 안고 몰락한 정의당을 바라보며
메이저 진보정당인 정의당이 반세기만에 원외정당으로 전락했습니다.
그리고 그나마 의석을 얻은 진보정당들은 양당제에 영합했다고 욕 먹는 상황이지요.
이러한 진보정당의 위기에 대한 비평들이 곧 많이 쏟아질 겁니다. 특히 민주노동당부터 정의당까지 계보가 내려오는 정의당이 제일 심각합니다.

저도 많은 생각이 들고, 지지자와 당직자 입장에서 많이 쓴 이야기가 나올 거에요.
노동 의제를 버리고 젠더, PC 이슈에 과몰입했다, 노회찬 심상정 말고 중량감 있는 인물이 없다, 엘리트주의적이고 선민의식이 지나치다, 지나칠 정도로 민주당을 적으로 돌렸다, 류호정같은 기회주의자들이 당을 망쳤다, 철학과 비전이 무엇인지 도통 알 수 없다 등등...

여러 이야기가 나오겠지만, 개인적인 소망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정의당이 여러 성과를 일궈냈음은 인정하는 데서 시작하자는 겁니다.
물론 정의당 최근 5-10년의 행보는 한심함과 졸렬함 그 자체이긴 했습니다.
하지만 거기서 이야기를 끝낸다면, 지난 25년 역사에 대한 과도하게 가혹한 평가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에 민주노동당~정의당이 없었으면
- 복지국가화
- 불평등
- 노란봉투법, 노조가입률 등에서 드러나는 노조 권리
- 노동시간
- 보육과 돌봄의 국가 책임화
- 학생 인권
- 대학 등록금 부담
- 군인 인권
- 성소수자 인권

등등, 수많은 의제의 측면에서 지금보다도 더 후진적이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런 의제들이 상식화는 고사하고 거론되기조차 어려웠을 겁니다.

예를 둘만 들자면, 그 윤석열과 이준석조차 무상보육의 큰 기조를 깨부수려고 하지 않습니다.
무상보육 복지 자체가 사회적인 상식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20년 전만 해도 민주노동당이나 주장하는 급진적인 의제였는데, 장족의 발전이죠.
그리고 낙태죄가 폐지되었는데 여권의 반발은 놀라울 정도로 작습니다. 그것도 상식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법의 공백지대 때문에 여러 문제가 생기긴 합니다만은.

지금 정의당의 위기는 정의당의 과거 의제가 실현되었거나 민주당이 가져가면서, 고유한 의제를 잃어버린 문제가 큽니다.
한때 진보정당들만의 급진적 어젠다를, 지금은 민주당까지 공유하게 되었습니다. 국가 단위의 상식이 된 어젠다도 적지 않습니다.
제발 더 이상 민주당이 보수정당이라 하지 마세요.
20-30년 전에는 맞는 말이었지만, 한국 민주당도 꾸준히 좌향좌하면서 세계적으로 봤을때 중도좌파-중도 정도는 됩니다.
유럽 진보좌파 정당보다는 여전히 오른쪽이지만,
거기도 옛날만 세가 못한데, 유럽 진보좌파당을 모범으로 삼는 게 무슨 의미인가 생각만 듭니다.

현 정의당에 비판적인 제가 이렇게 정의당의 성과를 인정하는 글을 쓰는 건,
양쪽 모두에서 진보정당의 분명한 공마저 부정하려 들기 때문입니다.
진보정당을 경멸하는 이들은 말할 것도 없습니다. 정치동아리니 이런 조롱을 계속 쏟아내겠죠.

진보정당 지지자조차 그렇습니다. 무슨 츤데레 마인드라도 되는지, 자랑할 법할 성과조차 모른 척 하는 걸로 보입니다.
겸손한 건 좋아요. 근데 겸손한 걸 넘어 정치적 자존감이 낮은 정치세력을 지지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근래 정의당은 자기들의 분명한 성과를 자랑스러워하고, 그 성과를 확장시키겠다는 포부조차 없잖아요.
툭하면 양당제 폐해로 나라 망한다는 소리나 하는 정당의 언행이라면 더더욱.
비례표 10%대를 여러차례 받은 정당이 그런소리를 하면
'양당제가 고착화되는 데 정의당 책임은 없냐?' '정의당은 나라 망해가는데 뭘 했냐'는 소리가 안 나올 수 없습니다.

그들이 이런 마인드를 가진 덴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첫번째로 자기들의 성과를 인정하면 자기 집단이 수명을 다했다는 인증이 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두번째로는 진보좌파 특유의 세상이 좋아졌다는 이야기를 금기시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세번째는 인구, 기후, 국제정치, 기술, 불평등 등 복합적인 위기가 다가오는 게 한국, 더 나아가 세계의 현실인 면도 있습니다.

배경은 이해를 합니다.
문제는 그런 배경들 때문에, 지금까지 진보정당 활동의 의의와 한계를 분석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과정이 지체되고 있다는 겁니다.
안 그래도 국내외 환경이 급격하게 바뀌는 상황에서 이 문제는 치명적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양당제 심판이나 하자, 양당제로 한국 멸망한다는 악담이나 하니까 음...
위성정당 꼼수가 통하는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만들어진 데 진보 정당의 책임은 없나요? 분명히 악용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얼마나 많이 나왔는데...
정의당의 원래 목표였던 완전연동형 도입한다고 크게 달라지지 않습니다.
완전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하면 이번에 조국혁신당 73석 나옵니다. (300석 * 비례 득표율 24.25%)
정의당은 봉쇄조항 3% 걸린데다 지역구 0석이니 여전히 원외정당일 거고요.
이것이 당신들의 소원은 아니었을 거라 믿습니다.

정치제도 개혁은 분명 필요하지만, 정의당의 선거제도에 대한 집착을 보면
정당은 본질적으로 지지세력을 만들어내야 하는 존재임을 망각하고, 선거제도로 꿀빨려는 태도로만 보입니다.
그러니 선거제도 개혁의 의의가 소수정당 특혜주는 것 정도로 인식되기 좋습니다.
그러한 인식으로 위성정당 꼼수가 통했고, 선거제도 개혁은 그렇게 개악으로 전락했죠.

진보정당들은 그동안 일군 성과와 한계를 재분석하는 데서 재기의 발판을 만들기 바랍니다.
진보정당들은 위에 언급한 성과에서 볼 수 있듯이, 최소 절반은 성공했습니다.
어떻게 절반의 성공이나마 거둘 수 있었는지, 왜 나머지 절반을 이루는 덴 실패했는지를 분석해 보세요.

그것조차 못 하면, 정의당은 앞으로 영원히 원외정당 신세를 벗어나지 못하겠지요.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4-04-23 07:54)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0
  • 카르추
  • 까르추


타자화되는 게 모든 소수자성의 숙명이긴 하지만, 거기 익숙해지는 건 쉽지 않네요. ㅋ
3
카르스
혹시 제 분석에서 타자화를 느끼는 부분이 있었나요?
하나씩 짚으며 댓글을 쓰다 보니 시작도 끝도 정할 수 없을만치 넓어진 말이 온갖 방향으로 새어 나가서 회의감과 무력감이 지배하는 상태가 되어 쓰던 댓글을 지워버리고 자조적인 감상으로 끝내기로 했지만 그냥 끝내기엔 제가 너무 찌질해서 그 감상을 그대로 남겨버리고 만 댓글이었습니다.
7
그러네요
이런 댓글조차도 사실은 타자화의 결과입니다.
타자화의 방향성만 다를 뿐이고.
2
내부에서 이런 자성의 논조가 나오면 참 좋겠습니다만..
외부에서 들어오는 이런 [아주 강한 어조의 쓴소리]를 소화할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싶습니다 ㅎㅎ
5
듣보잡
글은 추천했읍니다. 현재 진보를 자처하는 양반들이 글쓴이보다 딱히 수준이 높다고 생각하지는 않아서 앞으로도 이쪽에 대한 기대치는 없을 것 같읍니다. 현재 보수라는 양반들이 노답인 것과 마찬가지로 진보 또한 완전히 새로운 물결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읍니다.
3
명절은추석
좋은 글입니다. 진보정당 당직자와 그 지지자들에게 보여주고 싶네요.
1
내도 당원이었는데... 민주당하고 계속 주고받으면서 흥할 방법을 찾든, 혹은 크지못하고 퇴장하더라도 유종의 미를 거둘 방법을 찾든 그렇게 하리라고 기대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지지했었죠. 대놓고 빨갱이라고 핍박받던 시절을 거쳐 민주노동당 국회 입성하고 정의당이 이름있는 제 3당까지되던 그때까지 참 상전벽해라고 생각했는데... 상전벽해는 한번만 발생하는게 아니더라고요. 어느날 어느순간 뭐가 문제였는지 순식간에 공감이 안가는 선택을 하기 시작하더라고요. 이게 원인인지 결과인지는 모르겠지만.
희망을 보고 희망을 만들어 보려던 사람들은 자의... 더 보기
내도 당원이었는데... 민주당하고 계속 주고받으면서 흥할 방법을 찾든, 혹은 크지못하고 퇴장하더라도 유종의 미를 거둘 방법을 찾든 그렇게 하리라고 기대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지지했었죠. 대놓고 빨갱이라고 핍박받던 시절을 거쳐 민주노동당 국회 입성하고 정의당이 이름있는 제 3당까지되던 그때까지 참 상전벽해라고 생각했는데... 상전벽해는 한번만 발생하는게 아니더라고요. 어느날 어느순간 뭐가 문제였는지 순식간에 공감이 안가는 선택을 하기 시작하더라고요. 이게 원인인지 결과인지는 모르겠지만.
희망을 보고 희망을 만들어 보려던 사람들은 자의반 타의반으로 다 흩어지고, 마치 수구들을 미러링 한듯한 사람들로 채워지고... 제 기준에서는 그랬죠.
망했다 싶고 마음도 더이상 안가서 외면 중입니다.
뭐 저기 빈자리 줏어먹는 진보당도 싹수 노랗긴 매한가지라...
2
바방구
올해 만큼 정의당 뽑는 데 저어되는 때는 없었던 것 같아요. 정의당 당직자분들에게 공유하고 싶은 글입니다. 잘 읽었습니다.
1
키티호크
일리있는 말씀입니다. 우파는 좌파들로부터 영양을 봉급받아 명을 이어가죠.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44 정치/사회 2월 28일, 미국 우크라이나 정상회담 파토와 내용 정리. 11 코리몬테아스 25/03/01 1850 29
1442 정치/사회목요일 대학살 - 믿을 수 없이 부패한 트럼프 16 코리몬테아스 25/02/19 1962 24
1441 정치/사회화교는 상속세를 내지 않는다는 말 18 당근매니아 25/02/11 3262 17
1440 정치/사회무엇이 한국을 분열시킬 수 있는가? 5 meson 25/02/09 1207 7
1429 정치/사회민주당을 칭찬한다 13 명동의밤 25/01/15 2357 34
1427 정치/사회탄핵심판의 범위 및 본건 탄핵심판의 쟁점 6 김비버 25/01/06 1152 14
1424 정치/사회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제2차 변론준비기일 방청기 8 시테 25/01/03 1487 26
1423 정치/사회그래서 통상임금 판결이 대체 뭔데? 16 당근매니아 24/12/23 1624 13
1422 정치/사회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차가운 거리로 나서는 이유 10 삼유인생 24/12/08 1816 84
1420 정치/사회 나는 더이상 차가운 거리에 나가고 싶지 않다. 9 당근매니아 24/12/08 1904 43
1415 정치/사회명태균 요약.txt (깁니다) 23 매뉴물있뉴 24/10/28 2545 18
1400 정치/사회한국 언론은 어쩌다 이렇게 망가지게 되었나?(3) 26 삼유인생 24/06/19 3297 35
1398 정치/사회낙관하기는 어렵지만, 비관적 시나리오보다는 낫게 흘러가는 한국 사회 14 카르스 24/06/03 3483 11
1396 정치/사회한국 언론은 어쩌다 이렇게 망가지게 되었나?(2) 18 삼유인생 24/05/29 3574 29
1395 정치/사회한국언론은 어쩌다 이렇게 망가지게 되었나?(1) 8 삼유인생 24/05/20 3082 29
1392 정치/사회취소소송에서의 원고적격의 개념과 시사점 등 9 김비버 24/05/02 2622 7
1385 정치/사회이준석이 동탄에서 어떤 과정으로 역전을 했나 57 Leeka 24/04/11 5143 6
1384 정치/사회절반의 성공을 안고 몰락한 정의당을 바라보며 10 카르스 24/04/11 3141 20
1383 정치/사회의대 증원과 사회보험, 지대에 대하여...(펌) 45 cummings 24/04/04 9053 37
1380 정치/사회UN 세계행복보고서 2024가 말하는, 한국과 동북아에 대한 의외의 이야기 17 카르스 24/03/26 3553 9
1373 정치/사회노무사 잡론 13 당근매니아 24/03/04 3229 17
1369 정치/사회업무개시명령의 효력 및 수사대응전략 8 김비버 24/02/21 2638 16
1363 정치/사회10년차 외신 구독자로서 느끼는 한국 언론 32 카르스 24/02/05 4475 12
1345 정치/사회한국 철도의 진정한 부흥기가 오는가 31 카르스 23/12/16 3595 7
1343 정치/사회지방 소멸을 걱정하기에 앞서 지방이 필요한 이유를 성찰해야 한다. 42 Echo-Friendly 23/12/05 4297 18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