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0/02/24 15:50:00
Name   한신
Subject   30대 중반 코딩 배워서 관련 진로로 가는것 어떤가요?

특별한 경력도 없이 고시생활을 오래하다가 어느덧 30대도 몇 해 넘겨버렸습니다.

근데 시장에 나와보니 정~~말 경쟁력 없더라구요.


그러다가 코딩학원의 존재를 알게됐는데, 코딩이라는게 컴퓨터 언어라는것만 알지 문과졸업후 공대쪽 지식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찾아본 학원은 '코드스테이츠'라는 곳인데, 보니까 코딩교육 (6~8개월)후 취업까지 시켜주는 학원이더라구요.
뭐라도 해보자는 심정으로 등록을 고민중인데 이쪽 경험이 전혀 없다보니 현직자분들 계시면 조언을 좀 구하고 싶습니다.

1. 이 학원말대로 일반인이 6~8개월 배워서 취업이 가능한가요? 한마디로 1인분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2. 향후 진로를 전혀 모르겠습니다. 앱, 홈페이지 개발을 한다 뭐 이런건 이해가 되는데 그래서 회사에 가면 무슨 일을 하는건지, 커리어는 어떤식으로 나가게 되는지도 모르겠고요. 업계의 페이나 워라밸도 전혀 몰라요.

3. 친구말로는 문과적 감성(기획이 되는) + 코딩을 안다는게 꽤 강점이 될거라고 꼬시는데, 이게 가당키나 한소린지 잘 모르겠어요. 이미 업계에 그런 기획되면서 코딩실력도 갖추신 분들이 많지 않을까 싶은데...

주변에 어디 물어볼곳도 없고 답답하네요 ㅠㅠ 으휴 이 나이 되도록 뭐했나 질책해주시면서 현실적이고 냉정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열심히 할 자신은 있어요 흑흑)



1


맥주만땅
문제는 적성과 체력입니다.

일 좀 할만하면 40대인데..... 그 때가 되면 체력이....
우선 답변감사드립니다. 체력은 그렇다하고, 적성이라는건 어떤 항목(?)이 필요할까요. 쌩초짜도 지금 배워도 무리는 없다는 말씀이신가요?
맥주만땅
꼼꼼함과 생산력이겠지요.
컴퓨터 하드웨어에 관심이 있어서 조립을 직접 하신다던가, 뭔가 프로그램에 원하는 옵션이나 기능이 있을거 같아서 검색으로 찾아보고 직접 해결하고 주변에 아는 사람들이 컴퓨터 관련 질문들을 해올 때 이케저케 하라고 알려 줄 수 있는 정도면 적성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영어 문서를 잘 읽는지도 적성과 크게 관계됩니다.
와우.. 놀랍게도 두개다 저와 거리가 먼 이야기네요 흐흐
2020禁유튜브
저도 java 배우고 있는데....적성은 충분하군요 ㅋㅋㅋ
컴퓨터랑 친하다면 8개월쯤 후 쥬니어 1인분이 가능하긴 합니다. 근데 낮은 페이와 높은 근무강도를 견뎌야 하구요. 그렇게 3년 이상 근무하면서 실력이 늘면 업계에 계속 남아있을 수 있겠으나 절반이상은 이 쪽은 아니구나 하고 돌아갑니다. 적성이 맞아야 합니다.

저도 20년 전에 그렇게 학원에서 배운 지식으로 시작했었습니다. 다만 30대에 시작하는건 어떤 느낌일지 잘 모르겠습니다.

3은 갖다붙인 얘기라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아무도 그걸 장점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것 같아요.
답변감사해요. 일이 고되고 힘들군요. 흑흑. 안 그런일이 어디있겠습니까만...
가장 필요한 적성은 어떤게 있을까요? 끈기인가요?
위에 댓글 달아봤습니다
다람쥐
컴퓨터와 웹, IT 전반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와 관심인 것 같습니다
안드로이드 기반과 ios는 이렇게 다르구나
익플은 이렇구나 크롬은 저렇구나
이런거요
제생각엔 30대 중반은 쉽지 않은 것 같아요 40대면 코딩 하시던 분들이 많이들 관리자로 옮겨가시더군요
그러니까 그 나이면 팀장급이 되어야한다는거져.....
그쵸. 근데 사실 제 나이에 어딜 신입으로 가도 마찬가지긴 하더라구요. 그나마 비벼볼곳이 공무원인데 공부하는건 이제 질려버렸고.
공기업은 나이를 안본다 이런말이 있던데 이것도 실제 면접에 가면 경력사항이나 이런 부분에 대해서 물어본다곤 하더라구요.
다람쥐
공기업은 시험 잘보면 가능성 있는것 같습니다 모쪼록 건승을 바랍니다!!!
답변감사합니다 ^^
3번은 이상한 이야기입니다.
30대 중반은 현실적으로 이야기드리자면 뭔가를 시작하기엔 늦은 편인데 이 바닥은 실력만 있으면 되는 판이니 아직 모르죠.
뻔한 이야기같지만 적성이 중요합니다
1
적성이라는게 일단 해보지 않으면 모르는거 같아서 일단 학원 등록하고 맛을 한번 보긴해야겠습니다. 답변감사합니다
참 취업을 시켜주는 부분은 학원에서 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모든 학원들이 알선을 해준다고는 하지만... 결국 그 부분은 본인이 해결한다(지원서 내고 면접 봐서 뚫어낸다)라고 생각하시는게 좋겠습니다.
30줄에 코드스테이츠 같은 교육기관보다는 안좋은 국비교육과정으로 들어와서 2년차 웹개발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1. 6~8개월에 가능하지만 정말 공부를 열심히 해야하고, 이 기간동안 한가지 공부를 그렇게 할 수 있다면 사실 저는 다른 어지간한 직업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 냉정하게 6~8개월 교육 아웃풋들의 8~9할은 2400만원~600만원에 형성된 초급 SI 업체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파견사원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심지어 이것마저 못가기도 하고, 교육 아웃풋의 5할 이상은 개발자가 되는 것에 실패한다고 생각합니... 더 보기
30줄에 코드스테이츠 같은 교육기관보다는 안좋은 국비교육과정으로 들어와서 2년차 웹개발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1. 6~8개월에 가능하지만 정말 공부를 열심히 해야하고, 이 기간동안 한가지 공부를 그렇게 할 수 있다면 사실 저는 다른 어지간한 직업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 냉정하게 6~8개월 교육 아웃풋들의 8~9할은 2400만원~600만원에 형성된 초급 SI 업체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파견사원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심지어 이것마저 못가기도 하고, 교육 아웃풋의 5할 이상은 개발자가 되는 것에 실패한다고 생각합니다. 해당 교육 커리큘럼의 아웃풋이 상당히 뛰어나다면 좀 더 나은 대우를 해주는 업체를 갈 가능성은 있습니다. 그러나 커리큘럼이 아무리 뛰어나도 결국 소화는 자기 몫입니다. 워라벨은 좋지 않은 편이지만, 3~5년 이상의 경력이 생기며 동년배보다 뛰어난 실력과 경험이 있다면 높은 페이나 워라벨 둘 중 하나는 성취할 수 있는 직종입니다. 결과적으로, 6~8개월 배워서 직업을 얻는 시점에서 공부가 끝나지 않고 훨씬 더 많은 공부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3.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한 개발자라는 직책은 매력있는 것이지만 그게 개발 실력보다 앞서지는 않습니다. 개발 능력이 뒷받침 되는 상황에서 문과전공자 특유의 협업태도나 커뮤니케이션의 능동성을 기대하는 거지 일단 개발 능력이 베이스가 되어야합니다.


P.S

개인적으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30중반이면 늦었다고 생각하고요. 30중반에 시작해서 이 일로 커리어를 쌓으시려면 그냥 40까지는 인생 반납하고 일과 공부만 하신다고 생각해야합니다. 사실 이 업계가 세부 파트마다 다르지만 잘하는 인력에 대한 수요는 늘 있는 반면 신입의 문턱이 낮지 않고, 신입이 잘 하는 중견으로 발전하는 비율도 높지 않습니다. 게다가 최근 대두되는 AI, 빅데이터와 같은 부분이 아니라면 기존 웹/앱개발 시장의 잡은 많은 부분이 통합되고 있는데, 이는 기술의 발전이 같이 엮여서 그렇습니다. 즉, 과거보다 1인 개발자가 다룰 수 있는 지식과 역량의 넓이가 넓어졌고, 그래서 더 공부하기 힘듭니다.

적성이나 재미를 물어보는 이유는, 업무중에 잘, 열심히 하려고 하는건 기본이고 업무 외 시간에도 끊임없이 훈련과 습득을 해야하는 직업이라 그렇습니다. 게다가 대부분의 좋은 잡은 컴퓨터사이언스의 학부전공수준에 대한 기반지식을 함께 요구하기 때문에, 비전공자는 일을 하고 실무기술을 습득하면서 공학과정을 따로 더 공부해야합니다. 게다가 자신이 일하는 분야에 대한 도메인지식도 최근에는 요구받고 있고.. 이런 상황에서 재미나 적성, 재능이 없으면 지속하기 어렵습니다.

영어를 잘하면 무척 좋고, 꼼꼼함과 끈기는 당연하고, 여러가지 세상의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추상적으로 생각하여 추상화시키고 문제를 해결하는 생각을 많이 해 본 사람이 유리합니다. 수학 잘하면 좋고요. 컴퓨터에 흥미가 있는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이 일의 대부분은 지루하고 반복적이며 꼼꼼해야 하는 시간을 필요로 합니다. 그 시간들을 겪고 마무리 하는게 즐겁지 않다면 다른 직업이 낫습니다.


저는 이쪽 공부를 시작하려는 사람들에게 늘 해보라고 하는게 생활코딩의 웹어플리케이션 만들기나 노마드코더(유투브)의 무료 카피코딩을 처음부터 끝까지 따라해보라고합니다. 이해가 안되어도 좋고 뭔 소린지 모를 수도 있지만 그냥 끝까지 해보라고 해요. 이걸 끝까지 쭉 하는 과정이 즐겁고 재밌고, 노는 시간을 아끼고 싶어지면 저는 그게 적성이라고 생각합니다. 근데 이것이 다른 재밌는 일들에 밀린다면 30중반에 도전하라고 말씀드리고 싶진 않습니다. 한번 2주에서 한달정도 쭉 따라서 해보세요. 돈 안들이고 최소한의 적성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겁니다.
9
원하는 답변을 대부분 얻었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맨 아래 문단은 답변 다신후에 추가했습니다
파란아게하
고고씽 예!!!!!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질문 게시판 이용 규정 11 토비 15/06/19 25230 4
16842 여행서울 숙소를 찾습니다. 흰긴수염고래 25/07/07 8 0
16841 경제미국 주식 하는 회원님들. 여러 증권사를 사용하시는지요? 8 + 오리꽥 25/07/07 203 0
16840 기타복도식 아파트에 가스관에 우산 거치 괜찮은건가요? 4 알로에비누 25/07/06 545 0
16839 의료/건강남성 니플패치 추천 부탁드려요 5 [익명] 25/07/06 313 0
16838 과학수능이나 모고 같이 평가원 주관인 시험에서 8 물리물리 25/07/05 468 0
16837 기타출퇴근 가방 추천 받고 싶어요... 26 + dongri 25/07/05 625 0
16836 체육/스포츠러닝할 때 급수 방법? 11 두부곰 25/07/05 454 0
16835 기타서울에서 다양한 전통주를 취급하는 매장을 추천 부탁드립니다. 23 자공진 25/07/04 589 0
16834 홍차넷홍차넷 제재 풀리는건 수동입니까 9 노는꿀벌 25/07/04 514 0
16833 댓글잠금 IT/컴퓨터아이폰 문자 내보내기 기능 1 [익명] 25/07/04 352 0
16832 기타인테리어 관련 고민이 있습니다 12 당근매니아 25/07/03 397 1
16831 기타서울에서 가족사진 촬영 잘하는 곳을 알고 싶어요! 4 Klopp 25/07/03 246 0
16830 기타인테리어 중문 질문드려요 2 어둠달골짜기 25/07/02 372 0
16829 경제내집마련디딤돌 대출 질문 11 [익명] 25/07/01 554 0
16828 의료/건강아버지께서 당뇨에 걸리셔서 고민입니다... 5 빈U 25/06/30 689 0
16827 기타주류 보관 및 음용 타이밍 등 질문드려요. 4 wwe13kane 25/06/29 407 0
16826 문화/예술요즘 한국 음악 생태계 질문? 2 영원한초보 25/06/29 405 0
16825 연애남자친구와의 이별을 고민 중입니다. 50 깍두기 25/06/28 1760 0
16824 기타영어학습용으로 스픽 결제해서 쓸만한지요? 6 홍당무 25/06/27 538 0
16823 연애김이 식은 프로포즈를 어떻게 해야 감동있게 만들수 있을까요? 23 [익명] 25/06/27 862 0
16822 가정/육아부모님 핸드폰 청약철회 맟 번호이동 관련 문의드립니다 3 G.a. 25/06/26 336 0
16821 가정/육아선물할 그릇 추천해주세요! 40 니나 25/06/26 689 2
16820 가정/육아동생과의 관계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15 [익명] 25/06/26 876 0
16819 법률지인이 필라테스 먹튀당했는데요... 4 [익명] 25/06/25 810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