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9/01/18 11:16:15수정됨
Name   덕후나이트
Subject   웹소설 써보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중학생 때부터 톨스토이나 마크 트웨인처럼 명작...보단 한국 장르소설을 좋아했고

지금도 종종 읽고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저런 명작들은 지루하다고 느껴져서...

근데 가끔 웹소설에서 맘에 안드는 부분들이 있어서 "만약 나였다면 저렇게 안쓸텐데..." 이런 생각이 들어서 직접 써보고 싶어졌는데

막상 써보려고 하면 머릿속에서 나오는게 없습니다. 그렇다고 읽었던 소설에서 맘에 안드는 부분만 고치고 나머진 100% 똑같이 쓸 수도 없구요. 요즘 표절이다 뭐다 이야기가 많아서...

혹시 좋은 조언 있을까요?



0


로즈니스
그러니까 창작이 다들 어렵지 않을까 싶읍니다 ㅠㅠ
레지엔
기술적인 문제가 아니라 창작 그 자체라면... 현역 작가들도 '나도 하다보니 되는 것이지 답이 없다'라고 하는 판이라(..)
다람쥐
소설을 쓰려면 엄청 많이 쓰고 남이 쓴 글도 엄청 많이 읽어야 합니다 아니면 아예 읽지 않든지요.
애매하게 많이 읽으면 영향을 많이 받아 나중에 표절처럼 되고, 몇몇 타고난 재능러들 아니라면 소설은 다 이야기+문장+퇴고를 거듭하며 나오는 것이거든요 ㅠㅠㅠ
일단 엄청 많이 가리지 말고 다 읽거나 아예 읽지 마시고, 나였다면 이렇게 쓴다에서 출발하지 말고 처음부터 새로운 이야기를 쓰세요
그리고 쓰고 고치기를 반복하심이 좋겠습니다
덕후나이트
[애매하게 많이 읽으면 영향을 많이 받아 나중에 표절처럼 되고]

이거 같네요. 한국 장르소설 좋아한다고 쳐도...막 한국에 존재하는 장르소설 90% 이상 읽었다든가 그런건 아니라서...그렇다고 외국 소설이나 순수 문학이나 기타 등등...여러 책들을 많이 읽은 것도 아니고
2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웹소설 사이트에 주기적으로 연재하는거고. 하나는 라이트 노벨 브랜드에서 주기적으로 공모전을 여는데 거기에 참가하셔도 되고요. 그리고 표절은..요새는 그냥 다 비슷한 소재에 조금씩 차별점 둬서 돌려먹기라..
덕후나이트
[비슷한 소재] 정도가 아니라...제가 100% 똑같이 베끼지 않으면 못씁니다. 그 정도로 머리가 비었어요...
유료연재 하실거 아니면 홍차넷에 연재해주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ㅎㅎ
3
CONTAXS2
한편 올리실 때마다 탐라권이 주어집니다.
1
파란아게하
개인적인 생각으로
일반인이 창작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건
본인의 눈높이는 높은데 써지는건 허접하니
아예 쓰지를 않게 되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못 쓰는 걸 일단 써서 완결해보는 것이 중요해요.
그럼 대충 훈련이 되고 다음 건 이렇게 써봐야되겠다 스스로
가닥을 잡을 수 있습니다.
못 쓰는걸 일단 써 보세요.

인간의 가장 무서운 무기는
계획-실천-평가 를 반복해 발전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1
파란아게하
또 하나,
'웹'소설을 쓰려고 하시는 거면
한 작품 잘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가 쓰기 싫을 때도 일정수준 이상의 글을 기한에 맞춰서
꾸준히 만들어내는 능력도 중요합니다.
스스로 기한을 정하고 매일 글을 계속 써내는 것도 미리 훈련해 두시면 좋겠습니다.
1
어디다 쓸지 물어보시는게 아니고 어떻게 쓸지 물어보시는 것 같은데...
당장 쓰려고 하기보다 세계관 같은 설정부터 만들고 다듬어 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덕후나이트
쓸 수 있는 사이트는 얼마 없어서 그냥 묻지 않았습니다.
엄마곰도 귀엽다
글도 그림이랑 똑같아요.
쓰면서 연습하는거죠. 백날 머릿속으로 이케이케하면 내가 더 잘 쓰겠다 하는것보다는 하루 한두시간이라도 써보세요. 쓰고 퇴고하고 하다보면 감이 오실거예요
파이어 아벤트
방법이 없어요. 도움이 될만한 것을 많이 읽고 또 많이 써보고..
일단 글쓰기에는 내가 쓰고싶은 이야기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른 글쓰기도 마찬가지긴 한데,
막연하게 글을 써야지...가 아니라,
이런 이야기를 써야지....가 되어야 글이 써지기 시작하는거니까요.
키아핀
글을 많이 읽었고 그쪽에 재능이 있다면 그냥 써지겠지만 드문 경우죠.. 안써진다면 재미있게 읽었던 웹소설 1편 분량을 필사해보세요. 몇편 반복해보면 글의 구조가 좀 보일겁니다. 그럼 품고계신 이야기를 그 구조를 참조해서 써내려가시면 되는거죠. 그런데 품고 있는 이야기가 없다.... 면 사실 답이없습니다. 업으로 삼고있는게 아닌 이상 창작욕이 없다면 진행되지가 않거든요.
메아리
일단 써보는 수밖에 없습니다. 써보고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의견을 물어야죠. 공모전 참가도 방법이죠. 일단 써서 올려 주세요. 서평을 남겨드리지요. 음헤헤헤
아예 경험이 없으시다면 초반 200페이지는 버린다고 생각하시면서 꾸준히 써보는 것이 좋습니다.

일단 '소설을 써본 경험이 없는 경우'하고 '판타지 소설을 써본 적이 없는 경우'는 조금 다르다고 생각하는데, 일종의 작법일 수도 있지만 저도 비슷한 경험을 해봤기 때문에 한번 천천히 써 보겠습니다.

첫 번째는 대사와 설명을 나누는 것입니다. 맨 처음 가장 어려운 것이 대사입니다. 구어체와 문어체를 나눠 가면서 쓰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특히 자신이 평소에 하는 시답잖은 추임새까지 다 대사에 넣으면 뭔가 산만해 보이고, 그렇다... 더 보기
아예 경험이 없으시다면 초반 200페이지는 버린다고 생각하시면서 꾸준히 써보는 것이 좋습니다.

일단 '소설을 써본 경험이 없는 경우'하고 '판타지 소설을 써본 적이 없는 경우'는 조금 다르다고 생각하는데, 일종의 작법일 수도 있지만 저도 비슷한 경험을 해봤기 때문에 한번 천천히 써 보겠습니다.

첫 번째는 대사와 설명을 나누는 것입니다. 맨 처음 가장 어려운 것이 대사입니다. 구어체와 문어체를 나눠 가면서 쓰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특히 자신이 평소에 하는 시답잖은 추임새까지 다 대사에 넣으면 뭔가 산만해 보이고, 그렇다고 너무 압축적으로 쓰면 대화 같지가 않기 때문에 어렵습니다. 이 부분은 솔직히 필사를 하시는 게 좋아 보여요. 기존 대화를 쫓아가면서 조금씩 자기 느낌대로 고쳐 보면서 적당한 대화를 잡아야 합니다. 그래서 초반에는 제일 많이 하는 실수가 대화의 흐름대로 설명도 일종의 '타령'식으로 구구절절하게 나갈 수도 있습니다. 이건 작가마다 문체에 따라 달라지는데, 도스토예프스키 죄와 벌에서 소냐 아버지가 술 쳐마시는 장면을 보면, 문어체와 설명을 갖고 대사를 친다는 생각이 듭니다. 반대로 드라마 작가 김수현 글을 보면 문어체가 대사까지 점령했죠.

두 번째는 묘사입니다. 자기 입장에서는 선명한 이미지를 독자가 이해할 수 있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간단한 인물묘사부터 시작해 보면, 키는 몇이고, 체구는 어떻고, 머리칼은 무슨 색깔이고, 얼굴에 흉터가 있고... 식으로 시작하기 마련입니다만, 사실 인물표현을 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인상'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키나 외양 묘사는 간단하게 처리하더라도 그 사람이 풍기는 인상을 제대로 표현할 수 있으면 나머지 이미지의 여백들은 독자가 알아서 메꿉니다.

그런데 이 '인상'이란 게 이영도 같은 경우는 꽤 잘해냅니다만, 이우혁의 초기작만 봐도 개판이었고 전민희도 솔직히 세월의 돌 초반부는 개인적으로 별로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어느 정도 숙련된 작가의 후기작들을 보면서, 과연 처음 등장하는 인물들을 이 작가는 어떤 식으로 묘사하는가? 식으로 접근해서 읽으면 좋습니다.

이게 일단 기본입니다. 묘사, 설명, 대사만 쓸 수 있으면 일단 글이 '전개'가 됩니다.

판타지 소설의 경우에는 '설정'이 주로 추가됩니다. 현대소설에서는 그런 설명이 그다지 필요하지 않은데 판타지는 세계 배경 자체가 기존 세계와 다르기 때문에 조금 달라지는 것이죠. 이를 저는 '세계 조형造形의 문제' 라고 하는데 어떻게 효과적으로 설정을 전달할 것이냐의 문제를 고민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엔더의 게임>을 쓴 오슨 스콧 카드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합니다.

“당신은 이야기를 시작한 후 당신의 독자들에게 가능한 한 빨리 그것이 판타지가 될 것인가, SF가 될 것인가를 알려야 한다. 만약 글이 SF고 당신이 그것을 독자들에게 알렸다면, 당신은 엄청난 수고를 던 것이다. 왜냐하면 당신의 독자들은 이야기에서 보여주는 곳 외에는 알려져 있는 자연법칙이 모두 적용되리라고 가정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초반에는 어떤 세계를 구축했고, 그 세계가 기존에 독자들이 알고 있는 것과 어떤 점이 다른지를 보여주는 상황을 만들어서 독자들에게 빠르게 세상을 인식시키는 작업들이 보통 필수적으로 들어갑니다. 이걸 가장 허섭하게 하면 눈을 떠 보니 달이 두 개였다 따위가 되지만요.

마지막으로 플롯과 소설의 전개에 관한 것인데, 소위 요즘의 웹소설들은 항상 고구마-사이다 루트를 타려고 하고, 사이다패스라는 말도 나오지만, 이것이 사실 어떻게 보면 기초적인 전개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어떻게 기-승-전-결을 할 것이냐의 문제이고, 개인적으로 서술 트릭이나 반전 등은 나중에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초반에는 기본적인 기승전결의 스토리를 전개할 줄 알아야 한다고 보거든요.
3
엘에스디
마크 트웨인 이세계물 쩌는데염 ㅇㅅㅇ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33 문화/예술웹소설 써보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19 덕후나이트 19/01/18 2886 0
6330 문화/예술한국에서 오타쿠의 기준은 뭘까요? 8 [익명] 19/01/18 2658 0
6329 문화/예술일본은 개인주의인가요 집단주의인가요 5 [익명] 19/01/18 3992 0
6315 문화/예술[난이도상][완료]옛날 국내힙합좀 찾아주세요ㅜㅜ 25 벚문 19/01/16 4097 0
6310 문화/예술어둠속의 기다림 같은 책 6 파트라슈 19/01/15 2989 0
6293 문화/예술일본어 어떻게 공부하셨나요. 6 [익명] 19/01/13 2860 0
6292 문화/예술피아노 기타 중 뭐가 배우기 좀 더 쉬울까요 15 파란세포 19/01/13 5885 0
6271 문화/예술숏 앵클 부츠 브랜드에 대해(여성) 5 psyredtea 19/01/10 3653 0
6253 문화/예술이 영화 제목이 뭔지 알고 싶어요 3 얼음산책 19/01/08 3276 0
6231 문화/예술오이디푸스가 죽을 때 테세우스를 목격자로 세운 행동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9 homo_skeptic 19/01/04 4127 0
6196 문화/예술올해 최고의 애니메이션 6 [익명] 18/12/31 2693 0
6195 문화/예술아시아권 역사 질문입니다. 3 구밀복검 18/12/31 3321 0
6158 문화/예술산업디자인 관련도서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익명] 18/12/26 3535 0
6147 문화/예술[책 추천 해주세요] 올 해 남은 기간동안 읽으면 좋은 책은 무엇일까요? 5 化神 18/12/25 2934 0
6113 문화/예술sg워너비-라라라 2절 개사 아이디어 좀 주세요~!! 2 [익명] 18/12/19 2568 0
6107 문화/예술서간체소설 잘 쓰여진 원서 찾고 있어요! 11 우리온 18/12/18 5475 0
6106 문화/예술12월 영화 뭐 볼까요~?? 8 [익명] 18/12/18 2429 0
6098 문화/예술딥 펜 캘리그라피 하시는 분? 2 Dr.Pepper 18/12/17 3519 0
6097 문화/예술이 헤어스타일은 이름이 뭐에요? 4 [익명] 18/12/17 2864 0
6071 문화/예술잘생겨지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27 [익명] 18/12/13 5167 0
6059 문화/예술이번 배틀그라운드 vikendi 트레일러의 1 Algomás 18/12/10 4967 0
6033 문화/예술서양인들은 왜 닭가슴살을 좋아하나요? 4 [익명] 18/12/06 2834 0
6007 문화/예술- 4 reika 18/12/01 4246 0
5997 문화/예술영화 보헤미안 랩소디 마지막... 5 파란 회색 18/11/30 3528 0
5992 문화/예술영화를 찾습니다. 7 여름 18/11/29 313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