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7/07/20 21:26:06 |
Name | 커피최고 |
Subject | 세상 넓고, 인재들도 드럽게 많네!!! 라고 느낀 경험있으신가요? |
오늘 그런 경험을 해버린지라... 축구웹진을 하고 있기에, 외국 것들을 많이 참고하는 편입니다. 본고장 유럽의 축구담론 수준은 그곳에서 축구를 공부하고 오신 분들이 있는지라 평소부터 강하게 느끼고 있던 바입니다만... 제가 접근하는 방식과 굉장히 유사하게, 훨씬 힙하게 하고 있는 일본의 젊은 친구들을 알게 되었네요. 시작도 저희보다 2년 빠르고.. 때마침 한국 잠깐 들어와서 내일 당장 찾아가서 만나려고 합니다... 경험담 좀 들려주세요...ㅠㅡㅠ 0
|
에티오피아 갔을때요. 아프리카 여기저기서 제 분야 대학원생들이 다 모인 자리였는데 평등을 믿는다는건 재능이란 지역과 인종에 무관하게 고르게 분포되어있지만 그 재능을 발휘할 기회와 지원이 불균형하게 제공되고있다고 믿는것이고, 그렇기에 그것을 고치기 위해서 끝없이 노력하는 것이라는 말이 생각나더군요.
짧은 경험이였지만 그런 아프리카의 학생들이 그런 아이디어가있고 그런 열정이있는데 제삶안에 유의미한 변화를 보지 못한다면 그건 적어도 그 사람들이 모잘라서가 아니라 그들의 통제밖에있는 더 큰힘의 장애물들이 있기 때문이라고 믿기에는 충분했습니다.
짧은 경험이였지만 그런 아프리카의 학생들이 그런 아이디어가있고 그런 열정이있는데 제삶안에 유의미한 변화를 보지 못한다면 그건 적어도 그 사람들이 모잘라서가 아니라 그들의 통제밖에있는 더 큰힘의 장애물들이 있기 때문이라고 믿기에는 충분했습니다.
아하.. ㅋㅋ
저는 인공지능쪽 주로 보는데.. 요즘은 하루가 멀다하고 논문들이 수도없이 쏟아져서 도저히 따라잡을 수가 없네요.
어떤 착한 사람이 최근 머신러닝 저널들 중 퀄리티가 좋은 것들을 정리한 사이트가 있는데
https://github.com/terryum/awesome-deep-learning-papers
여기입니다.
그런데 대부분 테크니컬한 것들이라 그다지 재미는 없으실거에요.
저는 인공지능쪽 주로 보는데.. 요즘은 하루가 멀다하고 논문들이 수도없이 쏟아져서 도저히 따라잡을 수가 없네요.
어떤 착한 사람이 최근 머신러닝 저널들 중 퀄리티가 좋은 것들을 정리한 사이트가 있는데
https://github.com/terryum/awesome-deep-learning-papers
여기입니다.
그런데 대부분 테크니컬한 것들이라 그다지 재미는 없으실거에요.
다른 분들의 사례보다는 좀 많이 어릴 때고 수준이 낮을 수도 있는데 외국어고등학교에 입학한 지 얼마 안되었을 때 있던 일입니다.
친구들과 대화하다보니 입학시험에 관한 얘기가 나왔습니다. 당시 영어 에세이 주제로 "한글을 세계에 알릴 방안에 대해 써보아라"라는 주제가 나왔었습니다.
서로 어떻게 썼냐고 물어보고 있었는데 저는 자랑스레 외고뽕에 가득 찬 채로 "한류 드라마나 음악을 수출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라고 썼다고 얘기했었죠. 아직 K-Pop이라는 개념이 생기기도 전이었으니 나름대로는 혁신적인 답이라고 생각했고 지금도 어느... 더 보기
친구들과 대화하다보니 입학시험에 관한 얘기가 나왔습니다. 당시 영어 에세이 주제로 "한글을 세계에 알릴 방안에 대해 써보아라"라는 주제가 나왔었습니다.
서로 어떻게 썼냐고 물어보고 있었는데 저는 자랑스레 외고뽕에 가득 찬 채로 "한류 드라마나 음악을 수출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라고 썼다고 얘기했었죠. 아직 K-Pop이라는 개념이 생기기도 전이었으니 나름대로는 혁신적인 답이라고 생각했고 지금도 어느... 더 보기
다른 분들의 사례보다는 좀 많이 어릴 때고 수준이 낮을 수도 있는데 외국어고등학교에 입학한 지 얼마 안되었을 때 있던 일입니다.
친구들과 대화하다보니 입학시험에 관한 얘기가 나왔습니다. 당시 영어 에세이 주제로 "한글을 세계에 알릴 방안에 대해 써보아라"라는 주제가 나왔었습니다.
서로 어떻게 썼냐고 물어보고 있었는데 저는 자랑스레 외고뽕에 가득 찬 채로 "한류 드라마나 음악을 수출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라고 썼다고 얘기했었죠. 아직 K-Pop이라는 개념이 생기기도 전이었으니 나름대로는 혁신적인 답이라고 생각했고 지금도 어느 정도는 그렇게 생각했는데...
"나는 한글을 알리는 방법을 왜 영어로 쓰냐고 썼는데?"
친구가 이러더군요. 겨우 17살 때였는데 이게 외고구나..라고 처음 느껴봤었습니다. (근데 3년 다녀보니 다 사람 사는 곳이었습니다.)
친구들과 대화하다보니 입학시험에 관한 얘기가 나왔습니다. 당시 영어 에세이 주제로 "한글을 세계에 알릴 방안에 대해 써보아라"라는 주제가 나왔었습니다.
서로 어떻게 썼냐고 물어보고 있었는데 저는 자랑스레 외고뽕에 가득 찬 채로 "한류 드라마나 음악을 수출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라고 썼다고 얘기했었죠. 아직 K-Pop이라는 개념이 생기기도 전이었으니 나름대로는 혁신적인 답이라고 생각했고 지금도 어느 정도는 그렇게 생각했는데...
"나는 한글을 알리는 방법을 왜 영어로 쓰냐고 썼는데?"
친구가 이러더군요. 겨우 17살 때였는데 이게 외고구나..라고 처음 느껴봤었습니다. (근데 3년 다녀보니 다 사람 사는 곳이었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