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7/01/05 14:45:29
Name   매일이수수께끼상자
Subject   글쓰기는 어떻게 교육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듣보잡 매체의 국제부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요즘 기자=기레기라는 인식도 많고... 대형 일간지가 아니면 지원하는 사람이 없어서...
3~4년 경력자는 아예 뽑을 수가 없고 신입도 반년씩 잡코리아에 모집공고를 올려야 겨우 한 명 뽑힐까 말까한 분위기 속에서

아주 귀한 신입 한 명이 들어왔고.. 제가 교육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약 한 달 교육을 진행한 결과... 이 친구가 구사하는 한국어가 묘합니다.
한국인이고 한국에서 고등학교까지 다녔지만 그 후로는 외국에서 오래 살기도 했고...
결정적으로는 부모님 중 한 분이 외국인이라 그런지

아주 미묘한 뉘앙스 조절이라든가... 은/는/가/를/에게/의/그리고/또한/실제... 이런 걸 엉뚱하게 붙입니다.
그 실수란 것들이 너무 미묘해서.. 제가 문법적으로나 논리적으로 설명을 풀어줄 수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나라면 이렇게 썼을 거야.. 라고 리라이팅을 해서 주곤 합니다.
그런데 그 차이를 잘 이해하지 못합니다.
제가 고쳐써준 게 어순부터 단어까지 완전히 달라도, "제가 쓴 거랑 같은 말 아닌가요?"라고 묻습니다. 정말 순진하게;;;

교포처럼 말하는 것도 아니고... 심지어 어려운 국어 단어들도 곧잘쓰곤 하는데...
너무 기초적이어서 '느낌적 느낌'만으로 '뭔가 이상하고 어색해..'라고 느껴질 법한 지점에서 고개를 갸웃거립니다.

성격이 나쁜 것도 아니고.. 기자로서 알고자 하는 집요함도 갖추고 있어서... 아예 가능성이 없는 건 아닌데...
뭐랄까... 가끔 국어가 이렇게 어려운 건가 하는 생각도 들게 했다가...
어차피 인공지능이 기자도 대체할 거라고 하는데, 한 살이라도 어렸을 때 다른 일 찾아보라고 해야 하나 고민도 됐다가...
혼자 멘붕에 빠집니다.

한글 잘 쓰도록, 어떻게 교육시켜야 할까요?
여기도 회사인지라 하루종일 필사만 시킬 수도 없고... 책 읽어오라고 숙제를 주고 매일 확인을 하고는 있지만 이건 머 몇년을 읽어야 글빨로 발휘가 될지는 알 수가 없고요....

글쓰기 교육 해보신 분 계신가요? 아니면 글쓰기 강좌를 듣고 글쓰기가 향상되었다거나...



1


소노다 우미
그럴경우 한국어 -> 외국어 -> 한국어 로의 번역을 시키는건 어떨까요. 물론 내용은 까먹게 텀을 두고 해야겠지만요...
매일이수수께끼상자
아... 그럼 본래 한국어랑 자기가 사용한 한국어의 비교가 가능하겠군요.. 괜찮아 보입니다만..
제가 죽어날 거 같아서 망설여집니다 ㅎㅎ
베누진A
그러니까 전반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게 아니라, 미묘한 한국어 어감을 못 잡는다는 말씀이신가요? 그것은 의식적인 교육으로 고치기 힘들 것 같은데..;;
매일이수수께끼상자
제가 가끔 이 생각이 들어요;; 이게 교육으로 커버가 가능한 영역일까?? ㅜㅜ
레퍼런스를 많이 읽게 해서 경험치를 먹이는 방법이 있을거 같긴 합니다.
매일이수수께끼상자
같은 내용을 놓고 선배의 기사 vs. 자기 기사의 비교... 일과 후 독서 과제(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 이걸 계속 관리하고는 있는데
이 외에 어떤 레퍼런스가 또 있을까요?
예전에 훌륭한 기자 선배님들이 쓴 기사들도 있을거고요. 지금 막 떠오르는건 김훈작가님이 한겨러에 연재했던 거리의 칼럼이 있네요.
원고지 3매 내외 분량으로 몹시 기사스러운... 칼럼을 썼었는데 저도 이거 보면서 공부 많이 했거든요.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05100034/home01.html
매일이수수께끼상자
오... 몹시 기사스럽네요 진짜 ㅋㅋㅋ 감사합니다
좋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난커피가더좋아
좋은 기사 매일 수기로 베끼기가 제일 좋을 거 같은데요.
매일이수수께끼상자
넵 저도... 이게 나을 듯 합니다... 일단 제가 편하다는 면에서;;
뜻밖의
구체적인 예를 들어주시지 않으셔서 잘 모르겠지만, 조사나 부사의 쓰임은 외국인 입장에서 어려울 것 같습니다.
한국인이 영어 배울 때도 전치사나 부사의 적절한 사용은 어렵잖아요.
대개 그런건 같은 내용의 다른 문장(또는 구문) 여러개를 같이 외워버리는걸로 극복하는 듯 합니다.
서점 가면 한국어 배우는 교재 많은데 그런 교재도 있지 않을까요?
매일이수수께끼상자
외국인까지는 아니에요.ㅎㅎㅎㅎㅎ
근데 확실히 모국어 사용자가 공통적으로 '이상하다'고 느낄만한 부분에 대한 감각이 떨어져 보이긴 합니다.
한국어 교과서 은근 괜찮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긴 하는데;; 얘가 상처받을 것 같...
다람쥐
본인이 한국어 구사를 잘 못한다는 자각이 아예 없으면 개선이 어려울 것 같아요.....
매일이수수께끼상자
일단 컴플렉스 비슷할 정도로 자각이 있긴 있어요.
근데 같은 의미를 가지고 여러 뉘앙스로 전달하는 고 미묘한 차이를 캐치 못해서... '비교'식으로 진행하는 학습이..별 효과가 없는 거 같아서 고민입니다.
다람쥐
그건 노력해도 고칠수없을 것 같네요 ㅠ 같은 명작을 번역가별로 다른 뉘앙스로 번역한것을 보여주고 차이를 알겠냐고 물어보세요. 다르다는걸 모르면 알게하는게 먼저고, 물론 다르다는것정도는 알아도 실제로 그렇게 구사하지 못할 가능성이 아주 높아 보여요
아예 기사문에서 쓰이는 주술구조, -문장순서구조를 알려주고 그대로만 쓰라고 하면 어떨까요?
언론고시 대비로 무슨 언론인을위한 글쓰기강좌같은거 예비언론인대상으로 하던걸 본적이있는데 자존심상해할까요...?
숙제를 맞춤법 교정기에 넣어 돌린 다음 스스로 익히도록 하는 것은 어떨까요?
http://speller.cs.pusan.ac.kr/PnuWebSpeller/
이미 아시는 링크겠지만 요기를 그냥 통과하는 문법의 오류인가요?
매일이수수께끼상자
이거 생각 못했네요.
여기에 우수수 걸릴 거 같긴 해요..ㅋㅋ
Beer Inside
문제 인식을 못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군요.

좋은 글을 많이 읽어보도록 해야하겠군요.
매일이수수께끼상자
넵. 그래서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를 읽히고 있습니다.
대선배 여기자가 취재해서 쓴 것이기도 하고.. 번역도 매우 잘 되어 있는 편이고...
근데 너무 재미없어해요;;;;;
홍차의오후
오류가 눈에 들어와야 할텐데, 시험을 보는 거라면 토익 보듯 외우면 되지만 글쓰기/말하기는 잘 아시듯 다른 영역이니까 그저 문법 공부만으로는 어려울 것 같고요.. (역으로 사실 토익 문제도 영어가 익숙하면 이거 좀 뭔가 이상한데? 하고 고르면 답이 되는 것처럼요).

자신은 없습니다만 저도 첫 댓글에서 소노다 우미님이 추천하신 방식이 좋겠다고 생각해요. 조금 첨언하자면, 직접 번역해서 일을 늘리시는 대신 외국어 책과 그 번역본을 놓고, 괜찮은 문단들을 외국어 책에서 선택해서 한글로 써보라고 한 후 번역본과 대조해 보는 방식으로 연습을 시키면 어떨까요. 가능한 직역을 하시는 번역가를 선택하셔야 겠지만요.
매일이수수께끼상자
그러네요. 여러 번역본이 존재하는 텍스트를 찾으면 되겠네요 와우..
최고십니다. 이래서 똑똑한 사람들한테 물어봐야...
본인이 어느정도 문제를 인식하는 지가 중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 이후에 본인이 하고자한다면 방법은 여러가지를 적용해볼 수 있겠지만요. 위에서 가르쳐주는 건 한계가 있지 않을런지요. 읔..쓰고 보니 이미 나온 내용이네요. 같은 주제의 글을 여러 예문으로 읽어보는 방법이 생각나네요. 제가 영어를 학습하면서 같은 주제의 문장이지만 여러 출판사의 다른 저자들 문장을 반복해서 읽어보니 조금씩 느는 것 같아요. 갈 길은 멀지만서두요.
매일이수수께끼상자
노력은 해요. 되바라지지도 않아요. 한국어에 대한 컴플렉스도 있어요 ㅎㅎ
근데 제가 골라준 텍스트들과 전혀 맞지 않는 것 같은 반응이 .. ㅜㅜ
제가 사실 뭔갈 가르쳐주는 걸 되게 못해서요;;;
기쁨평안
유시민의 글쓰기 강좌에 좋은 내용이 많습니다.
매일이수수께끼상자
찾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영알못
읽기/쓰기에선 모국어가 한국어가 아닌 경우네요. 모국어가 없는 경우 alingual 일 것도 같고요. 병렬 텍스트 적극 활용하세요. 그 친구가 쓴 글과 비슷한 주제(내용), 논리, 어휘를 사용한 글을 가져다주고 비교해서 뭐가 다른지를 계속 가르치셔야 해요. 또한 과제를 내실 때는 차이점을 분석해오라고 시키세요.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게끔 만들어야 합니다. 피드백(타인) + 분석(스스로) 합쳐져야 개선됩니다. 글 읽을 때 그냥 읽지 말고 글의 배경, 글로 드러나는 문자적 의미, 실제로 필자가 의도하는 바를 생각하고 정리하면서 글 읽으라고 시키세요. 그래야 조사 및 어휘 사용에서 생산되는 의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게 뭐가 다르냐라고 순진하게 물어보면 속이 터지겠지만, 계속 설명하고 가르쳐서 주입시키는 수밖에 없습니다.
매일이수수께끼상자
크읍.. ㅜㅜ 감사합니다.

근데 그 친구 못 버티고 나갔.... ㅜㅜ
뒤에 들어오는 후임들 교육시킬 때 거듭 참고하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035 교육글쓰기는 어떻게 교육해야 할까요? 27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7/01/05 4119 1
2022 교육광주시내 도서관에 대해서 8 OshiN 17/01/03 3284 0
2014 교육글씨 연습 교재 좋은게 있을까요? 7 불타는밀밭 17/01/02 3564 0
1961 교육대학생분들께 질문합니다. 헌 교과서 거래하는 어플이 있다죠? 3 OPTIK 16/12/23 2910 0
1939 교육아마존에서 책 주문시 신용카드 외의 결제수단도 되나요? 8 Ben사랑 16/12/20 3399 0
1862 교육영어문법 질문 24 눈부심 16/12/04 4659 0
1861 교육영어 문장구조 질문입니다. 5 성의준 16/12/04 3937 0
1850 교육'손은 눈보다 빠르다'를 어떻게 영어로 설명할까요? 49 tannenbaum 16/12/01 8216 0
1760 교육이공계 분들 봐주세요!!! (수학, 물리 이론 분야) 21 진준 16/11/11 3779 0
1746 교육영어공부를 하면서 드는 의문인데 23 불타는밀밭 16/11/07 3755 0
1705 교육[과외비] 문제 풀어주면서 한 문제당 얼마 받을까요? 12 진준 16/10/30 3669 0
1675 교육양질의 책 리뷰를 볼 수있는 곳 추천 바라요 5 Cogito 16/10/23 4255 0
1621 교육영어 공부 교재 추천해주세요. 제가 공부합니다. ㅠㅠ 35 Darwin4078 16/10/07 4759 0
1616 교육어렸을때 기하학 문제 좋아하셨나요? 30 Cogito 16/10/06 5550 0
1472 교육말싸움들 어떻게 하시나요? 15 님니리님님 16/09/02 4549 0
1470 교육볼펜 추천 부탁드릴께요. 14 님니리님님 16/09/02 6295 0
1339 교육요즘 토익 어렵나요? 5 도라에몽 16/07/27 4657 0
1230 교육일본어 중급 회화 정도 배울 컨텐츠 있을까요? 9 세계구조 16/06/27 3187 0
1216 교육영어 한문장 해석 부탁드립니다. 11 성의준 16/06/23 4301 0
1148 교육박사가 3년만에 따지나요?? 13 하니남편 16/06/01 16218 0
1111 교육통일신라, 남북국 시대 11 Fore 16/05/24 4081 0
1009 교육폴 크루그먼에 대해 질문 있어요. 5 눈부심 16/04/20 4874 0
997 교육논문 읽기와 쓰기 관련 질문 12 하늘밑푸른초원 16/04/14 4664 0
995 교육요즘 보기에 가장 괜찮은 삼국지는 뭐가 있을까요? 6 쉬군 16/04/12 4363 0
994 교육영어레슨을 만들었어요. 22 눈부심 16/04/12 5306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