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6/11/26 14:38:00
Name   눈부심
Subject   인터넷글들, 서버
혹시 서버라는 게 이렇게 생긴 실물인가요?


저런 서버가 많으면 인터넷 트래픽도 빨라지고 그런 건가요? 그러면 저런 실물장치에 우리가 올리는 글들이 모두 들어있나요? 토비님이 이 사이트를 닫아버리면 모든 글들은 어떻게 되나요? 쓰던 서버를 간직해 두기만 하면 복구가 가능하나요? 전 공중에 둥둥 떠다니는 줄 알았어요.



0


April_fool
사진의 것은 [스위치허브]라는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네트워크 안에서 여러 컴퓨터들을 서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장비입니다.

서버의 수가 많다고 해서 꼭 처리속도가 빨라지는 것만은 아닙니다. 작업의 분배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거든요. 이건 임산부 10명을 모았다고 해서 아기를 1달만에 낳을 수는 없는 이치와 같습니다.

실물장치(구체적으로는 DB 서버)의 하드디스크 또는 SSD에 우리가 올리는 글의 내용이 들어가 있습니다. 만약 토비님이 이 사이트를 닫는다고 해도, 서버의 저장장치가 ... 더 보기
사진의 것은 [스위치허브]라는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네트워크 안에서 여러 컴퓨터들을 서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장비입니다.

서버의 수가 많다고 해서 꼭 처리속도가 빨라지는 것만은 아닙니다. 작업의 분배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거든요. 이건 임산부 10명을 모았다고 해서 아기를 1달만에 낳을 수는 없는 이치와 같습니다.

실물장치(구체적으로는 DB 서버)의 하드디스크 또는 SSD에 우리가 올리는 글의 내용이 들어가 있습니다. 만약 토비님이 이 사이트를 닫는다고 해도, 서버의 저장장치가 멀쩡하다면야 복구가 가능하겠죠. 공중에 둥둥 떠다닌다는 것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상상하신 것 같은데, 클라우드 서비스라도 결국에는 어딘가에 있는 실물 장치에 글이 저장될 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우에는 그 저장되는 위치를 우리가 알기가 매우 힘들죠. 사실상 알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눈부심
답변 고맙습니다. 그렇다면 인터넷의 모든 글은 어떤 실물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거고 그 실물이 온전히 보관이 돼야 인터넷 글들도 존속이 가능한 거군요. 인터넷이 본격적으로 활발하게 된 게 1990년대 말인 것 같은데 그렇다면 그동안 지구인의 인터넷 글들은 실물서버의 유무에 따라 복구가 가능하기도 하고 불가능하기도 한 거겠네요. 실물서버란 건 영구적일 수 없으므로 결국 인터넷에 올려둔 글일지라도 200년, 300년이 지나면 그냥 안녕인 건가요. 아니면 실물 A에서 실물 B로 정보이동이 가능한가요.
April_fool
원론적으로 디지털 정보라는 것은 실물 A에서 실물 B로 정보이동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하기 힘든 경우도 있을 수 있고, 또 안 하면 아무 소용이 없지요. 생각하신 인터넷 정보의 휘발성은 정보의 보존을 중요시하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미 널리 알려진 문제입니다. 이 쪽 연구의 선구자는 미국인데, 왜냐면 컴퓨터를 발명한 나라다 보니까 오래된 컴퓨터에서 생산한 정보를 후대에 읽지 못하는 문제를 그만큼 빨리 알아챘기 때문이지요. 1960년대 컴퓨터에서 자기 테이프에 저장해둔 정보를 지금 와서 읽으려고 한다고 생각하면(실제로 미... 더 보기
원론적으로 디지털 정보라는 것은 실물 A에서 실물 B로 정보이동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하기 힘든 경우도 있을 수 있고, 또 안 하면 아무 소용이 없지요. 생각하신 인터넷 정보의 휘발성은 정보의 보존을 중요시하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미 널리 알려진 문제입니다. 이 쪽 연구의 선구자는 미국인데, 왜냐면 컴퓨터를 발명한 나라다 보니까 오래된 컴퓨터에서 생산한 정보를 후대에 읽지 못하는 문제를 그만큼 빨리 알아챘기 때문이지요. 1960년대 컴퓨터에서 자기 테이프에 저장해둔 정보를 지금 와서 읽으려고 한다고 생각하면(실제로 미국에서 있었던 일이라고 합니다) 문제가 무엇인지 알아챌 수가 있지요. 설령 정보를 읽어들였다고 해도, 이걸 어떻게 해독할 수가 있을까요? 이 때문에 최근에는 후대에 전해져야 하는 중요한 정보는 그걸 생산한 소프트웨어와 함께 묶어서 저장해두는 추세입니다.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면 비교적 오래된 OS와 소프트웨어라도 구동시킬 수 있으니까요.
눈부심
정말 많은 도움이 됐어요. 고맙습니다!
서버에는 저렇게 랜선을 많이 꽂아놓지는 않지만 저런 장비 바로 옆에 붙어있어요. 아파트 층층이 쌓아옿린거 처럼 랙 하나에 차곡차곡 쌓여있지요. 저 사진과 비슷한 느낌입니다.

서버는 생긴것만 달랐지 하는 동작은 PC랑 똑같다고 보시면 돼요. 그냥 컴퓨터 한대인거죠.

집에 있는 PC로 서버를 돌릴 수도 있지만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전력과 인터넷 회선을 공급하는 문제나 온도, 정전대비 등등을 위해서 IDC라는 서버 저장건물에 둡니다. 그 공간에서 회선과 전기를 빌려쓰는거죠. 그래서 IDC를 서버호텔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속도는 인터넷 회선과 서버의 처리속도 두가지에 영향을 받는데요. 둘 중 더 느린쪽이 병목이 됩니다. 속도는 병목이 되는 요인을 개선해야 빨라지거든요.

홍차넷의 경우에는 접속자가 많지 않은 편이라 서버보다는 회선이 병목이 됩니다. 해외 회선은 접속자가 많으면 제한이 걸려서 더 그렇구요. 안정적인 해외 접속을 위해서는 별도 회선료를 많이 내야 합니다. 그렇더라도 거리가 있기 때문에 일정 속도 이상으로 올리기가 어려운 한계도 있습니다.

글들은 저장장치. 즉 하드디스크에 저장이 됩니다.
글을 보존하려면 하드를 잘 보관해도 되고... 더 보기
속도는 인터넷 회선과 서버의 처리속도 두가지에 영향을 받는데요. 둘 중 더 느린쪽이 병목이 됩니다. 속도는 병목이 되는 요인을 개선해야 빨라지거든요.

홍차넷의 경우에는 접속자가 많지 않은 편이라 서버보다는 회선이 병목이 됩니다. 해외 회선은 접속자가 많으면 제한이 걸려서 더 그렇구요. 안정적인 해외 접속을 위해서는 별도 회선료를 많이 내야 합니다. 그렇더라도 거리가 있기 때문에 일정 속도 이상으로 올리기가 어려운 한계도 있습니다.

글들은 저장장치. 즉 하드디스크에 저장이 됩니다.
글을 보존하려면 하드를 잘 보관해도 되고, 하드에 있는 데이터를 미리 복사해놓아도 됩니다. 이걸 백업이라고 하는거죠.

홍차넷은 자동백업을 걸어놓기는 했습니다만, 홍차넷 하드에서 홍차넷 하드로 복사하는거라 홍차넷 하드가 망가지면 복구가 불가합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저장장치를 설치하고 자동백업을 걸어놓는 방법이 있지요. 돈이 좀 더 들어갑니다.
아니면 주기적으로 제가 제 PC로 백업을 해둔다던가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만, 사람은 믿을것이 못되기 때문에... ㅎㅎ
눈부심
오.. 정말 재밌어요. 예전에 무슨 온라인대학의 서버룸 같은 곳을 사진으로 본 적이 있는데 엄청 큰 방 안에 그림과 같은 코드가 잔뜩 연결되어 있고 사람 키보다 크더라고요. 문득 그게 서버였나란 생각이 듦과 동시에 이것저것이 궁금하더라고요. 저는 인터넷에 올리는 글들은 공중에 어디 둥둥 떠 있어서 주파수만 잘 찾으면 라디오가 들리듯이 공중에 있는 뭔가를 잘 잡아내면 되나? 이래 생각한 적도 있어요 -_-
실제 가보면 이렇게 생겼습니다.
거의 대부분 이래요 ㅋ 삭막한 곳이에요.
사진 한장 더
레코드
이건... 감옥이군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799 연애그녀여서 였을까요? 그 시절이어서였을까요? 24 Hadji 16/11/21 4318 0
1800 IT/컴퓨터아이폰 잘 활용하는 법이 정말 너무 궁금합니다. 20 No.42 16/11/21 4972 0
1801 기타샤오미 보조배터리 질문입니다 6 김치찌개 16/11/22 3234 0
1802 의료/건강방사능치료로 사마귀는 없앨 수 없는건가요? 16 몽유도원 16/11/22 4468 0
1803 IT/컴퓨터아이북스에 저장해둔 pdf를 피씨로 꺼내고 싶습니다. 12 DoubleYellowDot 16/11/22 8457 0
1804 기타인스타그램 쓰시는분 2 Xeri 16/11/22 3475 0
1805 문화/예술클래식 음악 추천받고 싶습니다. 27 마투잘렘 16/11/23 6650 0
1806 기타2016년 애니 추천 부탁드립니다. 8 쉬군 16/11/23 4617 0
1807 IT/컴퓨터모니터 거치대(높이조절) 추천 부탁드립니다. 2 kpark 16/11/23 4252 0
1808 IT/컴퓨터. 4 사나운나비 16/11/23 3483 0
1809 IT/컴퓨터애플워치 나이키 에디션 어디서 구입할 수 있나요? 4 기쁨평안 16/11/23 3442 0
1810 IT/컴퓨터저장용 하드디스크를 사려고 하는데.. 7 Arsene 16/11/23 5878 0
1811 게임디아3 지금 시작해도 될까요 5 피아니시모 16/11/24 4158 0
1812 법률전경한테 맞으면 어떤식으로 대응해야 하나요? 12 인디게이머 16/11/24 3408 0
1813 기타어제 뉴스에서 전봉준 투쟁단(?)을 봤어요 9 엄마곰도 귀엽다 16/11/24 2893 0
1814 IT/컴퓨터기프티콘 온게 있는데 다른 사람에게 줄 수 있나요? 가능하면 받으실분!!! 15 tannenbaum 16/11/24 4448 3
1816 의료/건강불안할때 뭐 어떻게 해야 하나요? 10 Ben사랑 16/11/24 3088 0
1817 IT/컴퓨터Synology NAS 관련 질문입니다. Beer Inside 16/11/24 3138 0
1818 기타대학로에 11시넘어서 밥먹을만한곳이 있을까요? 7 F minor 16/11/24 2930 0
1819 기타라면 추천해주세요 24 Ben사랑 16/11/25 4189 0
1820 기타겁이 많은 성격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8 똘빼 16/11/26 11405 0
1821 기타오바마 관련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진준 16/11/26 3004 0
1822 IT/컴퓨터인터넷글들, 서버 11 눈부심 16/11/26 2981 0
1823 법률받아야 할 지분을 못받은 경우 3 멜로 16/11/26 3288 0
1824 진로평생 운전면허 안 따도 되나요? 43 Ben사랑 16/11/26 6585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