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2/04/28 10:57:46수정됨
Name   [익명]
Subject   이런것도 횡령, 사문서 위조에 해당할까요? 윗선에 보고를 해야할까요?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0


빼박이네요.
2
바닷내음
제 이름이 담당자에 서명되어있고(서명 위조)
---
이 시점에서 이미 선을 넘었는데...
5
바닷내음
잘 생각하셔야되는게 담당자 서명이 본인이름으로 되어있는데 그 밑에 이루어진 내용은 실상 횡령이란 말이죠?
해당 횡령건을 책임지시는 분의 확인 서명이 들어간거에요.
문제가 발각되면 가장 먼저 소환되실분은 저 횡령자가 아닌 글쓴이님이겠죠.
아니라는 소명이 꼭 필요할것같아요.
2
[글쓴이]
네 감사합니다. ㅠ 글씨가 묘하게 다르긴 하니 뭐....
그런 말씀을 듣고 보니 이놈이 정말 더러운 짓을 했네요 다른 사람까지 이용해서....
시간이 지나면 내가 안했다는 걸 밝히기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
[글쓴이]
네. 좋은 조언 감사드립니다.
횡령 보다는 내 서명이 위조당했다는 논지로 윗선에 얘기해봐야겠다는 시나리오가 그려지네요.
다니엘
이 문제로 내가 퇴사해도 상관없다! 그러면 한번 해볼만 하고요.
저 인간 때문에 내가 회사를 나갈 이유가 없다! 그러면 마음 독하게 먹고 진행하셔야 할 듯 합니다.
어쨌든 서명위조 부분때문이라도 그냥 넘어갈 부분은 아닌거 같네요.
1
[글쓴이]
퇴사하면 안되쥬 ㅠ 저도 처자식이 있는 몸인지라.....
두고볼 수밖에 없는걸까요 흑흑 답변 감사드립니다.
에디아빠
걔를 내보내야 거기 오래 다니실 수 있을거 같기도요…
2
세리엔즈
2222저거 안 쳐내면 오래 못다니십니다
2
[글쓴이]
제 이름으로 계속 저 짓을 하면 제가 위험해질 수도 있긴 하겠네요.
사실 저도 들어온지 몇 년 되는데 의심을 시작한 건 1년도 안되서 ㅠ
언제부터 저러고 있었는지 참....
조언 감사드립니다.
cruithne
어떻게 대응하시든 간에 우선 소명자료는 준비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1
[글쓴이]
소명자료는 어떤 게 해당이 될까요?
사실 제가 서류 넘기기전에 스캔 했으면 제일 좋겠지만...
있는 거라곤 서명하기전 지출서류 파일 뿐이네요 ㅠ
앞으로도 같은짓을할테니 모르는척 증거 조금 모아서 이전것들과 묶는것도 좋아보입니다
2
포인트나 마일리지 개인 적립은 회사에 따라 다릅니다.
공기업은 청문회에서 한번 까이고 나서 항공마일리지, 포인트 모두 개인이 적립 못하게 하는 것으로 알고 있고요.
사기업은 개인이 개인카드나 개인형 법인카드 쓰면서 별도로 OK캐시백이나 포인트 쌓는것 까지는 터치 안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법인카드가 법인형이거나 개인형 법인카드인데, 항공 마일리지가 쌓이는 타입이면 그건 회사에서 해당 마일리지까지 관리하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1
[글쓴이]
조언 감사드립니다. 민감한 문제라서 내용 삭제하였습니다. 좀 더 많은 의견을 들어보고 판단하도록 하겠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389 법률집주인이 내부촬영을 요구하는데 들어줘야 하는 부분인가요? 11 오리꽥 22/05/19 5505 0
13387 법률운전자가 설치물 파손시 어디까지 보상할까요? 1 syzygii 22/05/18 4313 0
13338 법률연봉 4억입니다. 세무사한테 가야할까요? 9 [익명] 22/05/06 5286 0
13312 법률로톡뉴스에 대한 법조계 여론은 어떤가요? 4 카르스 22/04/30 4516 0
13304 법률이런것도 횡령, 사문서 위조에 해당할까요? 윗선에 보고를 해야할까요? 16 [익명] 22/04/28 5500 0
13288 법률배상명령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2 ce525 22/04/23 5764 0
13234 법률행소법 43조 위헌 관련 8 한겨울 22/04/11 4663 1
13198 법률(재업로드)4년 전 사건에 대해 고발인이 재판결과 등을 열람등사 할 수 있을까요? 4 RedSkai 22/04/01 3320 0
13139 법률차명계좌 신고 시효가 언제까지…. 2 따뜻한이불 22/03/20 5301 0
13135 법률소년심판 보는데 판사 지휘체계? 있나요? 3 영원한초보 22/03/19 5256 0
13115 법률오피스텔 부가세 환급시기를 놓쳤는데 책임소재가... 6 [익명] 22/03/15 5415 0
13094 법률유류분반환청구에 관하여 질문 올립니다. 11 자공진 22/03/10 3624 0
13087 법률주거침입에 해당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3 [익명] 22/03/10 5349 0
13082 법률임대사업자 전세계약질문 8 거소 22/03/09 5931 0
13076 법률민사 소송비용+변호사 선임 비용에 대해서 8 따뜻한이불 22/03/08 7837 0
13057 법률SNS나 커뮤니티에 누구에게 투표했다고 직접적으로 언급해도 되나요? 2 아재 22/03/05 5057 0
12965 법률자동차 사고 관련 질문 4 한겨울 22/02/11 5183 0
12946 법률최저시급 적용 급여에 관한 질문입니다. 14 [익명] 22/02/08 4685 0
12924 법률행정사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요? 4 제루샤 22/02/03 4860 0
12886 법률[부동산] 전입신고가 두 군데 동시에 안되는 거였나요!! 13 오리꽥 22/01/26 11149 0
12882 법률만약 법정에서 살인예고를 날린다면? 2 Otaku 22/01/25 5391 0
12859 법률소액 민사문제 상담은 어떤 경로로 하는게 제일 합리적일까요? 8 똘빼 22/01/19 4637 0
12851 법률이 입법예고안에 왜 반대 좌표가 찍힌 것일까요? 4 알겠슘돠 22/01/17 5342 0
12826 법률문외한의 변시 표준판례 효용성 7 dolmusa 22/01/14 5252 0
12816 법률월세집 집주인 문제로 질문 드립니다 10 [익명] 22/01/12 5420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