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2/03/09 13:49:20 |
Name | 제루샤 |
Subject | 시력보호용 모니터 필름 & 어플 추천부탁드립니다. |
윈도우 모니터이고, 모니터 성능이 떨어져도 좋으니(?) 시력보호를 강력하게 해줄 수 있는ㅠㅠ 필름과 어플 추천 부탁드립니다. flux 를 깔긴 했는데..더 강하게 하는 게 가능할까요? 어차피 코드만 볼 모니터라서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제루샤님의 최근 게시물
|
요즘 중가 이상(?) 모니터 패널들은 거의 대부분 반사 방지 코팅(편광필름)이 적용되어 있고, 소위 Semi-Gloss 타입이라도 사용 환경의 조명이 강력한 LED에, 각도가 모니터를 직격(?)하거나 모니터 밝기를 극단적으로 낮춰서 쓰지 않는 이상 별도의 필름 부착이 필요한 경우가 잘 없습니다. (아예 없는 것은 아닙니다.) 구형 LCD 모니터들은 화면이 꺼졌을 때는 본인 얼굴이 그대로 보이는 소위 글로시 패널들이 있었습니다. PC방용은 강화유리 모델들도 나왔었고. 요즘 나오는 모니터 부착형 필름 같은 것은 주로 시야각을 제한하는 ... 더 보기
요즘 중가 이상(?) 모니터 패널들은 거의 대부분 반사 방지 코팅(편광필름)이 적용되어 있고, 소위 Semi-Gloss 타입이라도 사용 환경의 조명이 강력한 LED에, 각도가 모니터를 직격(?)하거나 모니터 밝기를 극단적으로 낮춰서 쓰지 않는 이상 별도의 필름 부착이 필요한 경우가 잘 없습니다. (아예 없는 것은 아닙니다.) 구형 LCD 모니터들은 화면이 꺼졌을 때는 본인 얼굴이 그대로 보이는 소위 글로시 패널들이 있었습니다. PC방용은 강화유리 모델들도 나왔었고. 요즘 나오는 모니터 부착형 필름 같은 것은 주로 시야각을 제한하는 보안 목적인 것 같습니다. (프라이버시 필터) 이런 제품 사용시 시야각이 제한되는 것이 단점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모니터 스펙 중에 Haze 값을 알아보시면 어느 정도 감을 잡을 수 있습니다. 물론, 패널 종류나 제조사 따라서 같은 Haze 값이라도 실 사용에서 차이가 있기는 합니다. OLED 패널 같은 경우는 글로시 패널을 쓰지만, 반사 문제가 없습니다. 아무래도 반사가 신경이 많이 쓰이면, Semi-Gloss 제품보다는 Matte 제품이 덜 반사되는 경우가 많은데, 요게 제가 써보니 가습을 많이 하는 경우 Semi-Gloss로 분류되는 경우보다 모니터에 습기찬 것이 눈에 많이 보이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것도 제조사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만.
개인적으로 모니터 색온도는 사용 환경의 조명과 색온도를 좀 연동해주는 것이 좋더군요. 저처럼 밤에 일하는 경우가 많다면, 모니터 상단 전면에 설치하는 바 형 모니터 보조 조명보다는 모니터 뒤쪽에 간접 조명이 좀 더 나은 것 같습니다. 모니터 용 라이팅 바도 다른 서류 등 보고 할 때는 좋습니다. F.Lux의 경우 필립스 휴 등 스마트 조명 제품들과 연동도 됩니다. 색온도 조절은 다른 것보다 수면에 영향이 좀 있는 것 같습니다. 잠들기 전에는 가능하면 조명이나 모니터 색온도를 낮추는 것이 저한테는 수면 싸이클 조절에 도움이 좀 되는 것 같습니다.
모니터 스펙 중에 Haze 값을 알아보시면 어느 정도 감을 잡을 수 있습니다. 물론, 패널 종류나 제조사 따라서 같은 Haze 값이라도 실 사용에서 차이가 있기는 합니다. OLED 패널 같은 경우는 글로시 패널을 쓰지만, 반사 문제가 없습니다. 아무래도 반사가 신경이 많이 쓰이면, Semi-Gloss 제품보다는 Matte 제품이 덜 반사되는 경우가 많은데, 요게 제가 써보니 가습을 많이 하는 경우 Semi-Gloss로 분류되는 경우보다 모니터에 습기찬 것이 눈에 많이 보이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것도 제조사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만.
개인적으로 모니터 색온도는 사용 환경의 조명과 색온도를 좀 연동해주는 것이 좋더군요. 저처럼 밤에 일하는 경우가 많다면, 모니터 상단 전면에 설치하는 바 형 모니터 보조 조명보다는 모니터 뒤쪽에 간접 조명이 좀 더 나은 것 같습니다. 모니터 용 라이팅 바도 다른 서류 등 보고 할 때는 좋습니다. F.Lux의 경우 필립스 휴 등 스마트 조명 제품들과 연동도 됩니다. 색온도 조절은 다른 것보다 수면에 영향이 좀 있는 것 같습니다. 잠들기 전에는 가능하면 조명이나 모니터 색온도를 낮추는 것이 저한테는 수면 싸이클 조절에 도움이 좀 되는 것 같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