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0/12/01 15:27:52
Name   녹차김밥
Subject   신규 신용카드를 발급할 때 이용한도
일시적으로 큰 돈을 지출할 상황(지방세) 때문에 신규로 신용카드를 발급하려고 합니다.

특정 목적으로 기존 카드의 이용한도를 일시적으로 상향할 수 있다고는 알고 있습니다만, 여러 모로 절차도 번거롭고 그걸로도 부족할 것 같아서요. 차라리 신규로 카드를 발급받는 게 낫겠다 싶습니다.

최대한 높은 이용한도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신규 발급할 때 최대한 이용한도를 높여서 신청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지금까지 신용카드를 발급할 때는 그냥 인터넷으로 신청했는데, 뭔가 설계사를 통하거나 직접 서류를 들고 지점을 찾아가거나 하면 더 높은 한도를 줄까요? 아니면 별 방법이 없으니 그냥 하던 대로 인터넷 신청하는 게 나을까요?



0


직업이나 직장 등의 이유로 초기 한도가 특히 높은 편인 것이 아니면, 신규한도 높이는 것보다는 기존 카드 한도를 높이는 것이 보통 쉽지 않은가 싶은데, 잘은 모르겠습니다. 다만 개인적인 경험으로 은행 쪽보다는 전업 카드사들이 초기 한도도 높고, 한도 증액도 크고 잦은 편이었던 것 같습니다. 은행계열 카드사만 쓰신다면 전업카드사 카드도 하나 만드시는 것도 방법이기는 합니다.

차량구입이라든지, 예식비용, 혼수비용 등 특수한 경우는 꽤 쉽게 특별한도증액;한도임시상향을 해주는 것으로 압니다만, 그런 것은 아니신가 보죠? (증빙서류를... 더 보기
직업이나 직장 등의 이유로 초기 한도가 특히 높은 편인 것이 아니면, 신규한도 높이는 것보다는 기존 카드 한도를 높이는 것이 보통 쉽지 않은가 싶은데, 잘은 모르겠습니다. 다만 개인적인 경험으로 은행 쪽보다는 전업 카드사들이 초기 한도도 높고, 한도 증액도 크고 잦은 편이었던 것 같습니다. 은행계열 카드사만 쓰신다면 전업카드사 카드도 하나 만드시는 것도 방법이기는 합니다.

차량구입이라든지, 예식비용, 혼수비용 등 특수한 경우는 꽤 쉽게 특별한도증액;한도임시상향을 해주는 것으로 압니다만, 그런 것은 아니신가 보죠? (증빙서류를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만)

일단 사용하시는 카드 고객센터에 문의를 한 번 해보세요. 은행계열 카드사도 사용 업종 제한 걸어서 특별한도 증액은 신용이 문제가 있다든지, 현재 한도가 너무 큰 경우가 아니면 잘해주는 것으로 압니다.
세금도 특별한도 증액이 되는 것으로 압니다. 다만, 세금고지서 등 증빙서류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냥 개인적인 경험이지만, 은행계열 중에서는 시티카드 그리고 전업카드사들의 경우인데, 내가 원해서 직접 신청할 때보다 영업 당했을 때(?) 한도를 많이 주는 것 같기는 했습니다. 직접 신청이 천만 원이면 영업 통했을 때는 신규 한도가 바로 몇천 만원 수준으로.
녹차김밥
용도는 부동산 취등록세 납부입니다. 현금으로 한 번에 내자니 버거워서 지방세 무이자 할부가 되는 만큼 최대한 끌어다 써서 미래의 나에게 부담을 전가시키려 했는데, 한도상향을 카드사에 문의했더니 증빙서류로 세금고지서+@를 요구하더군요. 그런데 세금고지서는 잔금/등기 시에 받을 수 있는 것이라 당일에 팩스로 서류를 보내고 진행해야 한다는 이야기였습니다. 큰 돈 들어가는 일에 스텝이 꼬일 수 있는 불확실성을 미리 없애놓고 싶기도 하고, 한도임시상향이 가능한 금액도 기대보다 적었습니다. 이 정도면 어차피 다른 카드 만들어야 되겠다 싶어서.. 답변 감사합니다.
1
계약서로 갈음 안 해주나 보군요. 보통 특별한도가 이 주 정도는 유지되어서 미리 상향해두면 되는데, 까다롭게 나오는군요. ㅠㅠ
회색사과
일시 상향이 월씬 편하실 겁니다.

어차피 새로 만드셔도 소득/신용 수준으로 나오고, 특별 상황에 맞춰 늘려줄 거라서요...

친구는 연봉 4천도 안되는데도 주택 구매 취득세 낸다 하니 바로 올려줬었습니다.
녹차김밥
그러게요.. 당연히 충분히 상향시켜줄 것을 기대했는데 생각보다 적은 금액을 이야기해서 계획이 좀 달라지는 것 같아요. 찾아보니 같은 고민을 한 사람들 중에 '차라리 새로 발급받는 게 덜 번거로움' 하면서 새로 발급받는 사람도 있기에 여러 모로 고민 중입니다.
회색사과
아.. 앗싸리 큰 금액이 아니고 한도를 조금 넘는 그런건가보네요..

잘 처리되시길 빕니다 -!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698 경제주택 매매 시기가 불일치할 경우... 방법이 없나요? 3 [익명] 20/12/24 3957 0
10684 경제쌍용차의 생사 여부에 대한 설문격 의문 입니다. 9 알겠슘돠 20/12/22 4622 0
10659 경제만29세 중고차구입, 자동차보험싸게하려면? 2 [익명] 20/12/18 5282 0
10646 경제임대차 3법이 없어진다면 전세 상황이 나아질까요? 3 방사능홍차 20/12/16 4344 0
10631 경제경제학 책을 읽고 싶습니다 10 [익명] 20/12/15 4561 0
10630 경제해외주식 매도 관련 질문 드립니다 8 Yossi 20/12/15 4526 0
10625 경제구매직무(or관련 전공자)이신분들께 질문 3 [익명] 20/12/14 4317 0
10614 경제주택청약 지금 넣어도 괜찮을까요..? 6 [익명] 20/12/13 4104 0
10583 경제보험에 대해 가르침을 주십시오. 14 은명 20/12/09 4257 0
10568 경제rx100mk7 풀세트 팝니다(가격 인하) 13 업무일지 20/12/07 4520 0
10551 경제삭제 예정입니다 20 [익명] 20/12/03 4144 0
10537 경제신규 신용카드를 발급할 때 이용한도 7 녹차김밥 20/12/01 6105 0
10426 경제기본소득을 다루는 책 추천해주세요. 4 소반 20/11/10 4743 1
10400 경제서울 집값은 안내려간다고 보는거죠? 20 [익명] 20/11/05 4399 0
10344 경제금융? 통장 관련 질문입니다 3 헬리제의우울 20/10/29 3848 0
10291 경제하이브리드카 중고 구매 2 [익명] 20/10/18 3828 0
10267 경제집값이 오르는 이유 12 [익명] 20/10/13 4283 0
10210 경제분양받은 아파트 공동명의 해야 할까요? 12 [익명] 20/10/05 5412 0
10209 경제주식 문의 9 [익명] 20/10/04 3740 0
10204 경제주식할 때 회사 재무지표 2 [익명] 20/10/03 3955 0
10157 경제임대사업자 집주인이 5프로 인상+시세만큼 1억 차용하자고 하는데요... 9 dawn 20/09/22 6322 0
10132 경제신용대출을 받아야 할까요? 3 [익명] 20/09/17 3740 0
10127 경제수협은행 직장인대출은 1금융권인가요? 4 [익명] 20/09/16 4296 0
10121 경제CBDC를 발행하면 마이너스 금리 부과 가능하다는데... 2 [익명] 20/09/15 3724 0
10120 경제똑같은 위치의 집일때 집 종류에 따른 가격 차이 25 헌혈빌런 20/09/14 5629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