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0/12/15 14:08:58
Name   [익명]
Subject   경제학 책을 읽고 싶습니다
연말 휴가기간 동안 경제학과 관련된 책을 읽어보고 싶은데, 어떤 책을 읽어야할지 잘 모르겠어서 추천을 부탁드리게 되었습니다.
미시적인 부분보다는 어렵더라도 거시적인 부분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정통 경제학자가 쓴 책이면 좋겠구요.
영어여도 상관없으니 경제학을 잘 아시는 분들께서 많은 추천을 해주시면 진심으로 감사드리겠습니다.



0


불타는밀밭
무조건 경제학과 들어가자마자 교수님들이 읽게 만드는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부터 시작해 보시고 나오는 경제학자 중 맘에 드는 사람부터 파보시면 됩니다.
[글쓴이]
감사합니다..! 하지만 추천해주신 책은 아쉽게도 이미 읽어보았습니다 ㅜㅜ
경제학의 향연 추천드립니다.
다즐링
"Naked Economics" 추천합니다. 더불어 같은 저자의 "Naked Statistics" 저는 원서로 읽었는데 한국 번역판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내용은 쉬워서 읽기 편합니다.
가이브러시
있습니다! 절판되서 저는 못봤지만. 이분의 책 네이키드 머니도 잼있더라고요.
경제학 서적에 입문이라면 사실 장하준의 '사다리 걷어차기'가 여러가지 화두를 읽어내는 데에 좋습니다. 다소 비주류로 평가받는 감이 있기는 하지만요.

저는 대부분의 널리 알려진 경제학자들은 시대적 정치성이 짙다고 여겨서, 맥락과 환경을 풀어서 해석하는 경제학 서적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경제학 서적은 아니지만, 설혜심의 '그랜드 투어'는 근대의 세계관에서 급격한 경제 구조의 변화가 곧 오늘날 '경제'라고 일컫는 현대의 그것과 유사한 형태로 자리잡으며 변화하는 생활상을 볼 수 있어 좋습니다.

역사적으로 '경제'라는 개념 ... 더 보기
경제학 서적에 입문이라면 사실 장하준의 '사다리 걷어차기'가 여러가지 화두를 읽어내는 데에 좋습니다. 다소 비주류로 평가받는 감이 있기는 하지만요.

저는 대부분의 널리 알려진 경제학자들은 시대적 정치성이 짙다고 여겨서, 맥락과 환경을 풀어서 해석하는 경제학 서적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경제학 서적은 아니지만, 설혜심의 '그랜드 투어'는 근대의 세계관에서 급격한 경제 구조의 변화가 곧 오늘날 '경제'라고 일컫는 현대의 그것과 유사한 형태로 자리잡으며 변화하는 생활상을 볼 수 있어 좋습니다.

역사적으로 '경제'라는 개념 자체가 근대 이전에는 사실상 개념이 없었기 때문에(흔히 상업을 경제와 혼동하고, 장사와 기업, 경제와 금융을 각각 잘 구분하지 못하죠) 이러한 오늘날 '경제' 개념의 형성이 무엇으로부터 촉발되었는지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경제 전체에 대해서 살펴보고 순차적으로 이해하기를 원하시면, DK출판사의 '경제의 책'을 추천합니다. 거의 교과서처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출판사의 이 시리즈들이 아주 완성도가 높아 성인 누구에게나 추천합니다. 몇 년 전부터 번역서들이 한국어로도 출간된 것으로 아는데, 일반적인 책과 달리 교과서처럼 쓰일 수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영문으로 읽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습니다.
소원의항구
흠..저는 맨큐의 경제학 읽었는데 재밌더라고요.
5
교과서 종류(?)를 좋아하시면,

경제학 이해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83867254

요즘은 요것도 많이 보더군요.

제가 학교 다닐 때는 이준구 교수님 책이나,

새뮤얼슨의 경제학 세트
... 더 보기
교과서 종류(?)를 좋아하시면,

경제학 이해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83867254

요즘은 요것도 많이 보더군요.

제가 학교 다닐 때는 이준구 교수님 책이나,

새뮤얼슨의 경제학 세트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9054709

요것의 원서를 봤습니다.

교과서 종류가 없으시면 그런 종류도 한 권 보는 것도 괜찮은 것 같습니다.
1
남강부엉이수정됨
위에도 나왔는데 맨큐의 경제학 정도면 꽤 쉽게 읽을 수 있습니다. 단지 이 사람의 성향이 시장경제에 치우친 공화당 지지자라는 게 좀 거슬릴 수도 있지만요. 이준구, 정운찬, 맨큐 3중에는서는 맨큐가 부담없이 읽기에 좋죠. 국내 위주면 이준구도 괜찮은데 몇몇 포인트가 좀 이해안되는 부분이 나옵니다. 1종, 2종 오류같은 내용은 통계지식이 없으면 ??? 하죠.
샨르우르파
요즘 국제시사 쪽에 특화하자면 아비지트 배너지와 에스테르 뒤플로가 지은 '힘든 시대를 위한 좋은 경제학' 추천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659 경제만29세 중고차구입, 자동차보험싸게하려면? 2 [익명] 20/12/18 5244 0
10646 경제임대차 3법이 없어진다면 전세 상황이 나아질까요? 3 방사능홍차 20/12/16 4300 0
10631 경제경제학 책을 읽고 싶습니다 10 [익명] 20/12/15 4516 0
10630 경제해외주식 매도 관련 질문 드립니다 8 Yossi 20/12/15 4478 0
10625 경제구매직무(or관련 전공자)이신분들께 질문 3 [익명] 20/12/14 4276 0
10614 경제주택청약 지금 넣어도 괜찮을까요..? 6 [익명] 20/12/13 4082 0
10583 경제보험에 대해 가르침을 주십시오. 14 은명 20/12/09 4216 0
10568 경제rx100mk7 풀세트 팝니다(가격 인하) 13 업무일지 20/12/07 4486 0
10551 경제삭제 예정입니다 20 [익명] 20/12/03 4102 0
10537 경제신규 신용카드를 발급할 때 이용한도 7 녹차김밥 20/12/01 6069 0
10426 경제기본소득을 다루는 책 추천해주세요. 4 소반 20/11/10 4697 1
10400 경제서울 집값은 안내려간다고 보는거죠? 20 [익명] 20/11/05 4365 0
10344 경제금융? 통장 관련 질문입니다 3 헬리제의우울 20/10/29 3807 0
10291 경제하이브리드카 중고 구매 2 [익명] 20/10/18 3794 0
10267 경제집값이 오르는 이유 12 [익명] 20/10/13 4242 0
10210 경제분양받은 아파트 공동명의 해야 할까요? 12 [익명] 20/10/05 5372 0
10209 경제주식 문의 9 [익명] 20/10/04 3709 0
10204 경제주식할 때 회사 재무지표 2 [익명] 20/10/03 3921 0
10157 경제임대사업자 집주인이 5프로 인상+시세만큼 1억 차용하자고 하는데요... 9 dawn 20/09/22 6285 0
10132 경제신용대출을 받아야 할까요? 3 [익명] 20/09/17 3703 0
10127 경제수협은행 직장인대출은 1금융권인가요? 4 [익명] 20/09/16 4267 0
10121 경제CBDC를 발행하면 마이너스 금리 부과 가능하다는데... 2 [익명] 20/09/15 3663 0
10120 경제똑같은 위치의 집일때 집 종류에 따른 가격 차이 25 헌혈빌런 20/09/14 5592 0
10117 경제주택담보대출은 일단 나오는 만큼 받는게 나은건가요? 9 오늘 20/09/14 5007 0
10100 경제아마존 직구를 하려 하는데요. 6 [익명] 20/09/11 3257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