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0/10/13 13:16:01 |
Name | 무더니 |
Subject | 서버 개념에 대한 이해 |
업무하는데 서버 및 ftp 쪽 이해가 매우매우매우매우매우 부족해서 지시사항을 못알아먹고있습니다 ㅠㅠ (종적 서버 dw서버라는데 뭔말인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세팅 업무 단계를 현재 진행중입니다. 참고할만한 완전 기초 서적이나 자료같은거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
종적 서버 dw서버는 저는 뭔지 감이 잘 안오네요.
FTP를 사용한다면 단순히 서버에 업로드, 다운로드 하는 정도의 간단한 개념 이해로 가능한 업무가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FTP는 File Transfer Protocol 인데요. (파일 전송을 위한 규칙/약속) 정도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서버는 웹드라이브 정도의 느낌이고, 거기에 파일을 업/다운 하려면 FTP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하는 것이지요. FTP 프로그램이 탐색기 정도의 역할을 합니다. (실제로 탐색기로도 FTP 파일 전송이 되기도 합니다.)
업무시에 FTP라고 말하는 것은 FTP 프로그램을 말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셔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FTP를 사용한다면 단순히 서버에 업로드, 다운로드 하는 정도의 간단한 개념 이해로 가능한 업무가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FTP는 File Transfer Protocol 인데요. (파일 전송을 위한 규칙/약속) 정도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서버는 웹드라이브 정도의 느낌이고, 거기에 파일을 업/다운 하려면 FTP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하는 것이지요. FTP 프로그램이 탐색기 정도의 역할을 합니다. (실제로 탐색기로도 FTP 파일 전송이 되기도 합니다.)
업무시에 FTP라고 말하는 것은 FTP 프로그램을 말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셔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FTP를 사용해서 업무를 하는게 굉장히 구식 방법이라 (저도 여전히 쓰고 있기는 합니다만...)
그런걸 잘 설명하는 유명한 책 같은건 없습니다. 물론 관련한 내용이 포함되어있는 서적이 있긴 하겠지만...
어떤 업무를 하시는지 좀 더 자세히 알아야 도움을 드릴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알아도 못드릴 가능성이 높지만)
그런걸 잘 설명하는 유명한 책 같은건 없습니다. 물론 관련한 내용이 포함되어있는 서적이 있긴 하겠지만...
어떤 업무를 하시는지 좀 더 자세히 알아야 도움을 드릴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알아도 못드릴 가능성이 높지만)
종적은 아마vertical 의 의미일거같고
종적 서버라는건 서버의 스케일링을 수평확장하느냐/종적확장하느냐의 차이인거같아요.
빅데이터 dw 서버면 데이터를 서비스 운영이아니라 데이터 분석을 위해 끊임없이 저장-조회-이동 용도로 사용하시는 서버일 것 같고(로우데이터 엄청 때려박고 조회해서 분석을 위한 기기에 다운로드한다든가 조회한다든가)
해당 서버는 변경이 잦은 서버여서 데이터 베이스를 어떻게 쓰는지 모르겠지만 수평 확장보다 (스케일 아웃) 종적 확장 (스케일 업 - 보통 서버 사양을 올리는 방식) 을 통해 유지보수 하는 서버가 ... 더 보기
종적 서버라는건 서버의 스케일링을 수평확장하느냐/종적확장하느냐의 차이인거같아요.
빅데이터 dw 서버면 데이터를 서비스 운영이아니라 데이터 분석을 위해 끊임없이 저장-조회-이동 용도로 사용하시는 서버일 것 같고(로우데이터 엄청 때려박고 조회해서 분석을 위한 기기에 다운로드한다든가 조회한다든가)
해당 서버는 변경이 잦은 서버여서 데이터 베이스를 어떻게 쓰는지 모르겠지만 수평 확장보다 (스케일 아웃) 종적 확장 (스케일 업 - 보통 서버 사양을 올리는 방식) 을 통해 유지보수 하는 서버가 ... 더 보기
종적은 아마vertical 의 의미일거같고
종적 서버라는건 서버의 스케일링을 수평확장하느냐/종적확장하느냐의 차이인거같아요.
빅데이터 dw 서버면 데이터를 서비스 운영이아니라 데이터 분석을 위해 끊임없이 저장-조회-이동 용도로 사용하시는 서버일 것 같고(로우데이터 엄청 때려박고 조회해서 분석을 위한 기기에 다운로드한다든가 조회한다든가)
해당 서버는 변경이 잦은 서버여서 데이터 베이스를 어떻게 쓰는지 모르겠지만 수평 확장보다 (스케일 아웃) 종적 확장 (스케일 업 - 보통 서버 사양을 올리는 방식) 을 통해 유지보수 하는 서버가 아닐까 싶네요. 제 전문분야가 아니라서 틀릴수도 있습니다. dw는 일반 데이터베이스보다 훨씬 많은 데이터를 창고처럼 쌓아놓는다고해서 데이터 웨어하우스 줄임말로 쓰이는거같고 이건 실운영용 데이터가 아니라 분석용 데이터를 쌓고 확인하는 목적으로 쓰는 서버 같아요
위 내용대로라면 파일질라같은 무료 ftp 소프트웨어를 특정 서버의 ip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다운받아 뭔가 처리하시는 과정이 아니실까 싶은데 그러면 보안키파일이나 (ppk같은) 접속환경설정만 해서 접속해 원하는 파일을 받고 그러시면 될 것 같긴해요.
말씀하신 부분의 서버 관련 지식은 빅데이터 관련 데이터베이스랑 리눅스 서버, 네트워크 인프라 관련 지식을 주는 책이 있어야 하는 것 같은데 딱 한권짜리 기본서 이런건 찾기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서버의 개념 자체는 그냥 좋은 컴퓨터가 다수의 이용자의 요청에 대한 데이터를 서빙해준다 이상도 이하도 아니긴 하니까.. 그 이상은 쓰시는 용도와 특성에 따라 백엔드 지식에 필요한 여러가지 지식들(컴퓨터 하드웨어 지식, 네트워크지식, 운영체제 지식, DB지식)이 혼합되어있을거란 생각이 듭니당.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종적 서버라는건 서버의 스케일링을 수평확장하느냐/종적확장하느냐의 차이인거같아요.
빅데이터 dw 서버면 데이터를 서비스 운영이아니라 데이터 분석을 위해 끊임없이 저장-조회-이동 용도로 사용하시는 서버일 것 같고(로우데이터 엄청 때려박고 조회해서 분석을 위한 기기에 다운로드한다든가 조회한다든가)
해당 서버는 변경이 잦은 서버여서 데이터 베이스를 어떻게 쓰는지 모르겠지만 수평 확장보다 (스케일 아웃) 종적 확장 (스케일 업 - 보통 서버 사양을 올리는 방식) 을 통해 유지보수 하는 서버가 아닐까 싶네요. 제 전문분야가 아니라서 틀릴수도 있습니다. dw는 일반 데이터베이스보다 훨씬 많은 데이터를 창고처럼 쌓아놓는다고해서 데이터 웨어하우스 줄임말로 쓰이는거같고 이건 실운영용 데이터가 아니라 분석용 데이터를 쌓고 확인하는 목적으로 쓰는 서버 같아요
위 내용대로라면 파일질라같은 무료 ftp 소프트웨어를 특정 서버의 ip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다운받아 뭔가 처리하시는 과정이 아니실까 싶은데 그러면 보안키파일이나 (ppk같은) 접속환경설정만 해서 접속해 원하는 파일을 받고 그러시면 될 것 같긴해요.
말씀하신 부분의 서버 관련 지식은 빅데이터 관련 데이터베이스랑 리눅스 서버, 네트워크 인프라 관련 지식을 주는 책이 있어야 하는 것 같은데 딱 한권짜리 기본서 이런건 찾기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서버의 개념 자체는 그냥 좋은 컴퓨터가 다수의 이용자의 요청에 대한 데이터를 서빙해준다 이상도 이하도 아니긴 하니까.. 그 이상은 쓰시는 용도와 특성에 따라 백엔드 지식에 필요한 여러가지 지식들(컴퓨터 하드웨어 지식, 네트워크지식, 운영체제 지식, DB지식)이 혼합되어있을거란 생각이 듭니당.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