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17/10/16 11:40:37
Name   유리소년
Subject   후분양제 도입시 분양가 7% 상승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9&aid=0004029605

매경발 기사인거 감안하고 보셔야 합니다만,
김현미 장관이 이야기한 후분양제가 과연 의도대로의 결과를 낳을 것인지 궁금해지는군요.



0


사나남편
7프로 상승해도 보고 사야지...물건도 나오기전에 사는게 말이되나....
5
Beer Inside
기본적으로 금융비용이 증가하니까 어쩔 수 없죠.
tannenbaum
올라도 찬성이요.
후분양 안한다고 안올라가나...
1
Dr.Pepper
서울은 최초분양가 대비 입주시 분양가에 붙는 P가 10%면 굉장히 적은 축에 속하니 저정도로 막아지면 오히려 집값 오르는 폭은 더 적어질거같은 느낌이에요.
실제론 그렇지 않겠지만
1
tannenbaum
옳소!!
우주최강워리어
근데 아파트 보통 짓는데 2년 걸리지 않나요. 그럼 그냥 딱 금융비용인거같은디...
유리소년
사실 3년 물가상승률 생각하면 7퍼로 막아지면 나쁘지않죠.
CONTAXS2
1. 우선 (시행사 or) 건설사의 입장에서보면 중소 건설회사는 고사할껍니다. PF를 해야되는데 (은행귄에서 돈을 빌려야되는데) 시공사가 보증을 물고 들어갈 수가 없을꺼에요. 부채비율도 상승해서 조달금리가 폭발하겠죠. 매출 5천억하는 건설회사가 중소규모 단지 시공하는데 2년간 2천을 빌려야한다면 쉽지 않겠죠.

2. 캐시 플로우가 나빠서 흑자도산하는 경우도 생길껍니다. 일정규모 이상의 건설회사는 현장에 2~30개가 넘죠. 돌아가면서 분양대금을 받아서 회사의 운전자금을 마련해야할 수 있을텐데, 현장 7~8개 있는 중규모, 소규모의... 더 보기
1. 우선 (시행사 or) 건설사의 입장에서보면 중소 건설회사는 고사할껍니다. PF를 해야되는데 (은행귄에서 돈을 빌려야되는데) 시공사가 보증을 물고 들어갈 수가 없을꺼에요. 부채비율도 상승해서 조달금리가 폭발하겠죠. 매출 5천억하는 건설회사가 중소규모 단지 시공하는데 2년간 2천을 빌려야한다면 쉽지 않겠죠.

2. 캐시 플로우가 나빠서 흑자도산하는 경우도 생길껍니다. 일정규모 이상의 건설회사는 현장에 2~30개가 넘죠. 돌아가면서 분양대금을 받아서 회사의 운전자금을 마련해야할 수 있을텐데, 현장 7~8개 있는 중규모, 소규모의 경우는 일시적 자금경색으로 턱. 하고 숨이 막히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겠죠.

3. 그렇다면 그 7%는 누가 냈었냐면, 당연히 최종 부담자는 소비자입니다. 선분양일때도 내고 있고, 후분양일때도 낼 껍니다. 그냥 어떤 형태로 내느냐만 다를 뿐입니다. 선분양일때는 은행에 내가 돈을 빌려서 (물론 중도금을 위해 초저리 집단대출을 하기도 하지만 암튼) 이자를 납부한다면,
후분양일 때는 그게 다 분양가에 포함이 되겠죠. 그냥 zero sum게임일 뿐이죠. 누군가가 지불해야하는데, 소비자가 직접 내느냐, 건설사를 통해 내느냐 정도의 차이.

4. 장점은, 당연히 완성된 집을 보고 살 수 있습니다. 시공 과정에서 시공사도 목숨걸고 품질을 보증하겠죠. 사기분양도 거의 없어질거고, 말도 안되는 깜깜이 분양도 없어질껍니다. 대규모 미분양사태도 많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5. 결국 장점과 단점이 있는데, 시공사는 조금 더 조심해서 아파트를 개발할꺼고 (시행사나 개발사업팀에서), 최대한 안팔릴 아파트를 짓진 않을테니까요. 선분양 미분양은 그나마 어떻게든 흡수라도 할 수 있는데, 후분양 미분양은 그냥 준공후 미분양으로 직행 ㅠㅠ

6. 그 리스크 (리스크는 기회와 위기로 나뉜다고 하죠? Risk = Opportunity + Threat)는 건설사가 다 떠안는데, 시장이 오름세면 지금 3억짜리 아파트 2년후에 p붙어서 4억 5천에 팔리게 되면, 그냥 분양가가 4억 5천만원이 될꺼고(더이상 시세차익을 입주자가 가져갈 수가 없죠), 시장이 내림세면 지금팔면 3억짜리 아파트를 2년후에 2억에 팔아야할 수도 있습니다 (완공후 폭락도 당연히 입주자가 떠안지 않아도 됩니다)
.
리스크를 전문적으로 해석하고 판단할 수 있는 전문가 그룹인 시행/건설사가 그 리스크의 과실도 따먹고, 그 리스크의 저주도 떠안아야겠죠.

아무튼, 돈빌리기 어려운 중소 회사들만 조금 배려해주는 정책만 나오면, 저는 뭐 그냥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안정적인' 분양문화가 정착되지 싶습니다.
2
Beer Inside
결국 지금 같은 조단위의 자금이 들어가는 대단지 아파트는 사라질 가능성도 있겠군요.
CONTAXS2
반대일 수도 있습니다...
조단위를 조달할 수 있는 회사가 있겠고
천억도 조달 못하는 회사가 있겠죠.

주택은 중소 주택 전문회사로 가고
큰 회사는 해외에서 승부를 내는 형태로 가면 좋을텐데. 실제로는 그리 안가겠네요.

대신 뭔가 펀딩방법이 다변화되겠죠. 다 문닫기는 그러니까... 기사에도 살짝 언급은 되었습니다만. 아무래도 1~2금융권 조달비용에 비할바는 아니겠는데,
리스크를 시공 시행사가 가져가는 대응으로 생각하면 뭐 완전 나쁜 것은 아니고, 뭐 딱 엄청 좋은 것은 아니고.. ㅎㅎㅎㅎㅎ
반대급부에 대한 정책 방... 더 보기
반대일 수도 있습니다...
조단위를 조달할 수 있는 회사가 있겠고
천억도 조달 못하는 회사가 있겠죠.

주택은 중소 주택 전문회사로 가고
큰 회사는 해외에서 승부를 내는 형태로 가면 좋을텐데. 실제로는 그리 안가겠네요.

대신 뭔가 펀딩방법이 다변화되겠죠. 다 문닫기는 그러니까... 기사에도 살짝 언급은 되었습니다만. 아무래도 1~2금융권 조달비용에 비할바는 아니겠는데,
리스크를 시공 시행사가 가져가는 대응으로 생각하면 뭐 완전 나쁜 것은 아니고, 뭐 딱 엄청 좋은 것은 아니고.. ㅎㅎㅎㅎㅎ
반대급부에 대한 정책 방향을 봐야 판단이 가능하겠네요.
Beer Inside
사전분양을 해도 조단위의 미분양을 가졌던 두산과 GS가 있었는데, 후분양이면 직원들 후덜덜하겠군요.
CONTAXS2
네, 그래서 건설회사 내에 개발사업을 하는 부서가 있는데,
그 사람들이 진짜 살떨릴 것 같습니다.

선분양이면 차근차근 미분양을 해소하거나 하는 방도가 있는데 (한 3년 말미가 있죠)
후분양이면 그냥 얄짤없죠.

대신 지역의 개발 기대심리로 가격이 오르면 거기서 생기는 개발이익은 고스란히 건설사가 먹는걸루다가 ㅎㅎㅎ

주택 분양시장이 예측가능해진다거나, 안정화된다는 측면에서는 뭐 굳이 색안경을 낄 문제는 아니지만,
암튼 돈을 빌려서 짓기 보다는, 지분을 참여해서 데비던트(이익잉여금인가요?)를 쉐어해주는 쪽으로 선회하... 더 보기
네, 그래서 건설회사 내에 개발사업을 하는 부서가 있는데,
그 사람들이 진짜 살떨릴 것 같습니다.

선분양이면 차근차근 미분양을 해소하거나 하는 방도가 있는데 (한 3년 말미가 있죠)
후분양이면 그냥 얄짤없죠.

대신 지역의 개발 기대심리로 가격이 오르면 거기서 생기는 개발이익은 고스란히 건설사가 먹는걸루다가 ㅎㅎㅎ

주택 분양시장이 예측가능해진다거나, 안정화된다는 측면에서는 뭐 굳이 색안경을 낄 문제는 아니지만,
암튼 돈을 빌려서 짓기 보다는, 지분을 참여해서 데비던트(이익잉여금인가요?)를 쉐어해주는 쪽으로 선회하지 싶습니다.

안그러면 부채비율 어쩔 ㅠ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827 사회후분양제 도입시 분양가 7% 상승 12 유리소년 17/10/16 2195 0
16722 정치후보자 빼고 '피의자 조국'이라고 한 황교안 "정권 종말 시작" 6 The xian 19/09/08 2692 0
8851 정치후보는 없고 여론은 안좋고..한국당 '내우외환' 4 Credit 18/03/27 2352 0
17681 스포츠후보 제외된 모드리치, 시상식 참석 "예의 지켜야" 5 swear 19/12/03 3410 1
19138 의료/건강후베이 봉쇄 5일 빨랐으면 감염1/3로 줄어 3 DX루카포드 20/03/09 3063 0
18571 사회후배들 정신교육 한다며 보닛에 태워 내리막길 주행 20대 실형 2 swear 20/02/09 2587 1
33913 사회후배 집 현관문에 CCTV 설치·침입 시도, 20대 의사 입건 4 다군 23/03/23 2183 0
16568 사회후배 여경에 "나 이혼해 혼자 산다" 문자한 경찰 간부..法 "감봉 정당" 6 The xian 19/08/27 3721 0
24175 사회효도와 취향 사이…어머니는 자장면을 진짜 싫어할 수도 있다 5 swear 21/05/08 4933 3
9774 스포츠효도르 48초 만에 KO승…UFC 챔프 6명째 격파(KO짤 추가) 3 하트필드 18/04/29 4898 0
12324 사회횡단보도에 투광기 설치했더니 야간 교통사고 사망자 30% 줄어 2 이울 18/08/20 2455 0
8606 사회횡단보도서 아이 잃고도.. 교통사고로 인정안돼 두번 웁니다 알겠슘돠 18/03/14 2337 0
2594 사회횡단보도·정류장에 1분만 정차해도 '딱지' 1 알겠슘돠 17/04/03 2315 0
17405 사회횡단보도 천천히 건넌다고 '욱'…다짜고짜 주먹질 18 swear 19/11/07 3057 0
29847 사회횡단보도 앞 사람 서있으면 차량 무조건 일시정지해야 11 CheesyCheese 22/06/14 3065 1
7558 사회획기적 유아교육 혁신안은 어쩌다 ‘영어수업 금지 논란’이 됐나 1 Messi 18/01/19 2189 0
37466 사회회전교차로 사고 매년 천 건↑...운전자 64% "통행 방법 몰라" 23 the 24/03/20 2656 1
22261 스포츠회전 수 증가의 비밀이 콜라? "거의 모든 투수가 부정투구" 7 맥주만땅 20/11/10 4246 0
10025 사회회원수 120만 아동음란물 사이트 운영자 잡고보니…韓 20대 백수 3 Credit 18/05/09 2466 0
2087 문화/예술회원 가입란엔 기혼, 미혼 뿐.. 미완성품 취급에 부들부들 7 NF140416 17/02/25 3524 0
29993 사회회원 11만 명.. 경찰, 온라인 결합한 기업형 성매매 일당 검거 11 겨울삼각형 22/06/21 3066 1
6459 사회회식? 요즘 누가 신발 벗고 앉나요 2 유리소년 17/11/21 2674 2
205 기타회식 후 상사 집 갔다가 베란다서 추락사…法 "업무상 재해" 2 Beer Inside 16/09/25 4211 0
8497 사회회식 줄고 장기자랑 사라지고 문제 소지 발생 기회 원천 차단 5 tannenbaum 18/03/09 2328 2
21447 사회회식 술자리 뒤 노래방서 女도우미 부른 경찰 간부들 6 Schweigen 20/08/22 3824 1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