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4/08/20 11:37:24 |
Name | moqq |
Subject | 수능 이원화 · 내신 외부평가제 도입 논의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Id=N1007767754&plink=ORI&cooper=NAVER&plink=ORI&cooper=NAVER&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논의 내용. 수능을 둘 로 나눔 수능 1은 언어와 수리, 수능2는 선택과목. 근데 둘다 절대평가함. 지금처럼 등급제 안함. 더 중요한 내용은 내신을 공신력있는 외부 기관에서 시험을 쳐서 평가한다고 함. 어.. 그럼 그게 내신인가.. 학력고사지.. 현재 논의하고 있는 내용이 최종 확정되면, 오는 2026년부터 적용될 국가교육발전 계획에 담기게 됨. 2026년부터 적용이 된다는 건 아닐테고. 26년에 적용되는 국가교육발전계획에 담기는 거니까, 실제 시행이 언제인지는 추후 정하기 나름.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moqq님의 최근 게시물
|
수능의 목적은 줄세우기인데 이걸 절대평가하면 대학들이 또 자체적인 평가 방법을 강화할거고 그러면 거기에 적응하기 위해 사교육이 떡상하겠죠.
도대체 어떤 이익을 위해 추진하는 제도인건지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도대체 어떤 이익을 위해 추진하는 제도인건지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알탈 님// 절대평가가 된다고 해서 국영수 모든 점수를 합해서 반영할 거라는 것 역시 알탈님 생각일 뿐이죠. 지금도 많은 대학에서 과목별로 반영한다고 말씀드렸잖아요. 걍 등급제와 점수제의 다른 예시를 들어드린 것 뿐입니다.
https://www.newsfreezo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9350
5년 전 영상에서 천공 "수능, 몇 년 뒤에 없어져···내가 대학 가는 방법 다 바꿀 것"
그렇죠 당연히 있어야죠!
5년 전 영상에서 천공 "수능, 몇 년 뒤에 없어져···내가 대학 가는 방법 다 바꿀 것"
그렇죠 당연히 있어야죠!
걍 제도 ㅈ같아도 좋으니 그냥 냅두는게 나아보이는데요
왜 자꾸 뭘 바꾸려고 하는지 이해가 잘 안가요, 사교육비는 결국 불안비용이라는 걸 이해를 못하는듯
왜 자꾸 뭘 바꾸려고 하는지 이해가 잘 안가요, 사교육비는 결국 불안비용이라는 걸 이해를 못하는듯
사실 9등급제가 말이 9등급제지…표준점수와 백분위가 다 제공되는 환경이니 실질적으로는 완전한 상대평가였죠. 영어 뿐만 아니라 국어/수리까지 모두 객관식 절대평가로 바꾸면 대학에서 어떤식으로 학생들을 변별하도록 할지 궁금하네요. 그냥 대학이 알아서 지원한 학생들 점수 모아다가 줄세워야하려나
사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수능2로 보이네요. 서술(논술)형+절대평가+선택과목 이 세개는 정말…공정성 확보하기가 쉽지 않아보이거든요. 기존에는 선택과목이 있더라도 객관식+표준점수로 어느정도 공정성있는 기준을 세울 수 있었는데 말이죠. 저 위원회에 계신 분들이 정말 심사숙고해서 부작용 없이 제도 만드시면 좋겠는데, 쉬운 과제로 보이진 않아요.
사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수능2로 보이네요. 서술(논술)형+절대평가+선택과목 이 세개는 정말…공정성 확보하기가 쉽지 않아보이거든요. 기존에는 선택과목이 있더라도 객관식+표준점수로 어느정도 공정성있는 기준을 세울 수 있었는데 말이죠. 저 위원회에 계신 분들이 정말 심사숙고해서 부작용 없이 제도 만드시면 좋겠는데, 쉬운 과제로 보이진 않아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