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4/08/05 11:58:34
Name   the
Subject   정부 '서울 그린벨트 해제' 카드 꺼낸다…'노른자 땅' 주택 공급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375840?ntype=RANKING

정부가 서울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대규모 해제를 검토하는 것은 수요가 몰리는 ‘노른자 땅’에 주택을 공급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 강남권과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에서 시작한 집값 급등세는 현재 서울 전역과 수도권 일부 지역까지 번지고 있다.

한 개발 업계의 관계자는 “정부가 이미 대책으로 예고한 3기 신도시 조기 공급 및 수도권 (그린벨트 해제를 통한) 택지 공급은 당장 뛰는 서울 집값을 잡는 데는 한계가 있다”며 “서울 알짜 부지에 추가 공급이 이뤄진다는 충분한 신호를 줄 시점”이라고 말했다. 가용지가 부족한 서울에서 그린벨트 해제는 택지를 공급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꼽힌다.

현재로서는 이명박 정권 때 개발했던 보금자리주택 인근의 서초구 내곡동 및 강남구 세곡동 땅과 개발 계획이 앞서 공개된 강남구 수서차량기지 정도가 해제 대상이 되지 않겠냐는 관측이 나온다.

아파트는 왜 지어도 지어도 모자라는가



0


서울로 오고싶은 사람은 많고 나가고자 하는 사람이 적어서요.
아파트가 모자란게 아니라 '서울' 아파트가 모자른 겁니다.
8
메우다 국력 다 소모할듯...
노바로마
윗 짤은 장난이고, 사실 그린벨트 해제는 상당히 우려스러운데요. 지금 서울 과잉 확장 및 스프롤화를 막는 최후의 방벽이 사실 그린벨트였는데 이걸 없애는건...... 개인적으로 생각해보건데 주택공급용 부지가 필요하다면 육사이전 같은 방안도 있을텐데...
허락해주세요
그린벨트 해제는 많이 우려스럽지만 수도권 스프롤은 우려 안하셔도 됩니다.
우리나라 발전 특징 중에 하나가 스프롤이 배제된 고밀도 개발입니다. 기본적으로 사람들이 단독주택을 선호하지 않아서요.
노바로마
저밀도의 주택은 아니라도, 그린벨트라는 방파제가 없이 서울이 과잉개발 될까봐 우려스럽긴 하군요. 지금 당장은 빈땅 써서 공급한다지만 미래는 어쩌려고.....
허락해주세요
서울 생활권역은 이미 그린벨트 설정 구간을 넘은지 한참 되어서 그린벨트는 이미 방파제 역할을 못 하고 있습니다. 과잉개발은 문제가 될 수 있지만 그게 그린벨트 해제 탓은 아닐거에요.

오히려 이것때문에 부동산 경착륙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큰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또 서울의 주거환경이 악화될 수도 있구요.
노바로마
저는 개인적으로 그린벨트가 서울의 미래개발을 위한 종자씨에 해당한다고 생각해서 그게 가장 우려스럽습니다. 당장 배고프다고 종자씨로 밥해먹으면 다음 농사가 안되는데....
노바로마
그나저나 저도 위 글 보니 도시의 과잉확장을 스프롤이라는 표현으로 했는데, 밀도에 따라 스프롤 여부를 논하시는 걸 보니 전문가가 보시기에 적확한 단어선정은 아닌 모양이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당근매니아
미국식 저밀도 스프롤도 아닌 고밀도 스프롤이 탄생하는 중 아닌가요. 이대로면 도쿄보다 넓이는 좁아도 밀도는 높은 단지형 스프롤이 생겨날 듯 합니다.
허락해주세요
스프롤 현상이 문제가 되는 이유가 넓은 구간의 저밀도 개발 탓이고, 일반적으로 스프롤 현상 자체가 저밀도 확산을 의미하는 것이라 이렇게 말씀하시는 것은 주객이 전도된 이야기입니다.

일단 스프롤 현상이 일어나려면 도시권역 경계선 지역에 지가가 낮은 곳에 주거지가 침투하는 현상이 일어나야 합니다. 근데 지금 얘기 나오는건 지가가 높은 곳에 있는 그린벨트를 풀자는 얘기라서, 스프롤 현상과 관계가 없습니다. 오히려 스프롤 현상을 이야기하려면 수도권의 경계(경기도)쪽 이야기가 나와야 합니다.

한마디로 이미 도심지에 있는 땅을 풀어서 집을 짓자는 것인데, 이게 수도권의 외연확장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이죠.
당근매니아
북미의 저밀도 스프롤보다 더 안좋은 형태로 발전해나간다는 의미입니다. 과도하게 넓은 지역에 고밀도 주거시설이 들어차면서, 지하철을 비롯한 인프라 비용을 서울수도권이 모조리 빨아들이고, 지방에 훨씬 더 효율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재원을 지하화 등으로 낭비하고 있으니까요.
허락해주세요
지방균형발전에 대해 말씀하시고 싶다면 단어 선택이 좋지 않습니다. 스프롤 현상은 고밀도 개발에 붙이는 말이 아닙니다. 또 투자 효율 같은 얘기는 고밀도 개발의 장점이지 단점이 아닙니다. 지하화 같은 별 효용 없는 것이 "대안"으로 등장할 수 있는 것 조차도 고밀도 개발로 인해 그게 일말의 효용성이 생겨서에요.

인프라 투자 효율성은 고밀도인 쪽이 훨씬 더 좋고, 스프롤은 고밀도로 땅을 적게 쓰면서 살 수 있는 사람들이 넓게 퍼져 삶으로 인해서 토지 효율이 안 좋게 발전하는 것이 문제인 거라서요.

고밀도 개발은 "효율" 같은... 더 보기
지방균형발전에 대해 말씀하시고 싶다면 단어 선택이 좋지 않습니다. 스프롤 현상은 고밀도 개발에 붙이는 말이 아닙니다. 또 투자 효율 같은 얘기는 고밀도 개발의 장점이지 단점이 아닙니다. 지하화 같은 별 효용 없는 것이 "대안"으로 등장할 수 있는 것 조차도 고밀도 개발로 인해 그게 일말의 효용성이 생겨서에요.

인프라 투자 효율성은 고밀도인 쪽이 훨씬 더 좋고, 스프롤은 고밀도로 땅을 적게 쓰면서 살 수 있는 사람들이 넓게 퍼져 삶으로 인해서 토지 효율이 안 좋게 발전하는 것이 문제인 거라서요.

고밀도 개발은 "효율" 같은 측면으로 접근하면 나쁜 점이 거의 없습니다. 심지어 "교통 혼잡"도 고밀도 개발하는 쪽이 저밀도 스프롤 개발보다 훨씬 나아요. 특히 우리나라처럼 저밀도 개발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별로인 곳은 그래서 계획 없이 두면 그냥 둬도 고밀도 개발이 되어 버리는 것이구요.

효율성 같은 것 말고 다른 측면으로 말씀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예를들어 지나친 지가상승, 경쟁적인 사회 문화라든가 전염병이나 재난에 대한 취약성 같은 것들 말이죠.
1
당근매니아
저도 도시시뮬 할만큼해서 관련 어휘가 무슨 의미인지 압니다. 고밀도 개발은 기본적으로 토지 사용면에서 효율적이긴 하나, 지나치게 밀집하면 soc 비용이 지수적으로 증가하죠. 지금도 서울 국회의원과 구청장들이 끊임없이 간선도로 지하화를 공약으로 들고 나오고, 지하철을 점점 더 깊이 파들어 가면서 설치비용이 급증하고 있잖습니까. 그 비용으로 지방거점도시에 인프라를 까는 게 국가적으로 나은 방향이고, 더이상 수도권에 고밀도개발을 때려박는 게 효율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얘깁니다. 계속 단어 정의 가지고 말꼬리 잡히기 싫으니 전 요까지 하겠습니다.
허락해주세요
저는 이 분야 박사학위가 있어요 선생님, 그렇다고 제 말이 꼭 맞다는 얘긴 아니지만 도시 시뮬레이션 게임 해서 안다는게 대체 무슨 말씀이세요...

정의로 말꼬리잡자는 얘기가 아니라 사실관계가 안 맞는 말씀을 하시니까 그렇죠. 인구가 적은 지방에 인프라 까는건 경제성 측면에서 효율적인 투자가 아니지만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국가에서 밀어줘야 하는 건데 왜 그걸 더 효율적인 투자라고 하십니까. 그게 효율적이면 도시화가 일어날 이유가 없잖아요.
2
닭장군
안그래도 서울집중이 한국 미래를 갉아먹는다고 난린데...
초밥은연어

이건 가불기입니다

왜냐면 지방에 안 내려가니까요....

안 내려가면 도시 수용력을 최대치로 늘리는거 밖엔 답이 없죠
은하스물셋
정치인들이 사회의 오피니언 리더가 되어서 서울 집중화를 해소할 방안을 만들어 내주면 좋겠지만,
민주주의 사회에서 정치인의 수준이란 국민의 수준에 따르기 마련이고,
그러므로 국민들이 바라는 서울 집중화를 정치인들이 나서서 해결할 수는 없죠.

정치인들이 한 직업인으로서 소명의식을 가지고 해 볼 수 있는 정도라고는, 그린벨트 해제해서 국민들이 바라는 대로 서울에 더 많은 사람이 살 수 있도록 공급을 늘려주는 것 정도가 아닐까 합니다.

박정희가 다시 총칼로 정권 잡지 않는 한, 집값이 떨어질 때 까지 서울에 집을 공급하는 것 말고 정치인이 할 수 있는 게 뭐가 있을까요.
1
당근매니아
행정수도 이전을 비롯한 지방거점도시 투자라는 선택지도 있었죠... 늦긴 했다지만 지금 시점에서라도 추진할 가치는 있다고 봅니다. 그럴 생각들이 없는 게 문제죠.
4
절름발이이리
서울 집중과, 서울 주택 공급은 득실이 다른 문제입니다. 서울 자가보유자는 서울 집중이야 좋겠으나, 추가 공급을 선호할 이유는 없습니다. 물론 서울 자가보유자가 국민 중 소수긴 한데, 주택공급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는 지자체는 그 서울시민의 목소리가 중요하므로..
절름발이이리
그리고 수도 집중과 그로 인한 주택난 문제는 사실 어느 선진국도 시원하게 해결한 적이 없지만, 그 양태는 또 각기 다릅니다. 대표적으로 유럽권은 공급이 지극히 제한적으로 유지되고 있지요.
허락해주세요
서울에다 뭘 할 생각 말고, 지방에다가 뭘 해야죠.
행정수도 이전이라든가 하는 선택지들이 있습니다.
허락해주세요
서울 집중화 문제는 서울에 집을 안 짓는게 해결방안이 아니라, 지방지역에 기관과 기업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더 근본적인 내용입니다.

지방에 왜 안가느냐, 이것이 중요하지 서울에 집 더 짓는다고 해서 서울 집중화가 더 심해지거나 안 짓는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죠.
서울 재건축 재개발 활성화시켜서 주거환경 평균을 개선시키는게 더 좋지않나 싶은데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8568 정치일본, 사도광산 ‘강제’ 표기 묵살…들통난 윤 정부 굴욕외교 5 오호라 24/08/06 5640 0
38567 정치첩보요원 신상 털려놓고...“휴대폰 전원 제출” 제보자 색출만 혈안인 정보사 [저격] 4 매뉴물있뉴 24/08/06 1176 0
38566 정치민주당, `티메프 사태` 국회 청문회 추진…`온플법` 추진 속도↑ 7 활활태워라 24/08/06 1062 0
38565 기타"못생길수록 수명 짧다"…졸업앨범 추적한 충격 연구 결과 23 swear 24/08/06 1749 0
38564 사회또 전기차 주차장 화재… 이번에는 기아 EV6 7 swear 24/08/06 1127 0
38563 사회"대체 우린 어디서"…사용도 환불도 막힌 수천억대 해피머니 2 다군 24/08/06 1378 0
38562 정치용산 "안세영 폭로, 尹도 인지…협회 진상조사 나설 것" 4 the 24/08/06 982 0
38561 사회‘딴 데 써도 모른다’ 티메프 퇴직금 체불로 이어진 퇴직기금 제도 12 dolmusa 24/08/06 1564 0
38560 정치탄핵이 기각되면 의원의 직무도 정지해야 16 당근매니아 24/08/06 1550 1
38559 경제"갑자기 막혔다" 배달비 수십억 꽁꽁…'티메프 사태' 판박이 12 활활태워라 24/08/06 1803 0
38558 스포츠안세영 "배드민턴, 양궁처럼 체계적이었으면…분노가 내 원동력" 10 the 24/08/06 1393 1
38557 경제한국, 주 49시간 일하면 빈곤탈출…OECD 평균보다 적어 7 카르스 24/08/06 1560 0
38556 정치사도광산과 잡배들 3 오호라 24/08/05 978 0
38555 스포츠'충격' 안세영 金 직후 돌연 은퇴 선언 "대표팀에 정말 많이 실망했다" 작심 발언 14 the 24/08/05 2482 1
38554 경제'청라 화재' 벤츠 전기차 中파라시스 배터리 장착 8 the 24/08/05 1148 1
38553 사회경찰, '집게손 피해자' 고소 각하...이유 황당 8 야얌 24/08/05 1594 0
38552 정치이종찬 광복회장 "신임 독립기념관장 후보에 뉴라이트 인사 포함‥전면 무효" 2 매뉴물있뉴 24/08/05 798 0
38551 정치통일부 “北에 수해 지원, 진정성 갖고 제의…긍정적 호응 기대” 3 닭장군 24/08/05 952 0
38550 정치[뉴스 '꾹'] "저런 방송엔 왜 나가십니까?" "가세연 운영자가 후배라.." (2024.07.25/MBC뉴스) 3 치즈케이크 24/08/05 1054 0
38549 사회인천소방 "청라 아파트 단지 전기차 화재, 스프링클러 작동 안 돼" 9 the 24/08/05 1243 0
38548 기타올해 열대야 12일 달해…'사상 최악 폭염' 2018년보다 많아 7 다군 24/08/05 1178 0
38547 정치'이재명의 난'은 성공하기 어렵다 11 오호라 24/08/05 1319 1
38546 국제"이란 이르면 5일 보복"…바이든, 백악관 상황실 안보회의 소집 15 다군 24/08/05 1470 0
38545 경제정부 '서울 그린벨트 해제' 카드 꺼낸다…'노른자 땅' 주택 공급 24 the 24/08/05 1470 0
38544 스포츠“선수에게 고맙다” 공 돌린 정의선 회장, “협회는 도왔을 뿐” 겸손한 소감 9 swear 24/08/05 1228 1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