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3/06/30 16:23:18
Name   뉴스테드
Subject   미·일은 북·중에 손짓···한국만 대립 최전선에
https://n.news.naver.com/article/033/0000045866?cds=news_media_pc

대결과 공존 발언을 동시에 발산하는 미·일과 달리 윤석열 정부는 여전히 한·미·일 삼각협력 강화에만 집중하고 있다. 뚜렷한 대북, 대중국 정책을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이 이를 방증한다. 문제는 이러한 상황은 미국과 일본의 정책 변화에 따라 한국의 정책이 결정되는 구조적 모순을 낳는다는 점이다. 전형적인 ‘반응국가’ 문제다.

원래 반응국가 가설은 1980년대 일본의 대외경제정책을 설명하기 위해 미국의 국제정치학자인 켄트 콜더(Kent E. Calder·1948~ )가 제기한 이론이다. 국가에 내재된 힘에 걸맞은 대외정책을 추진하지 못하는 상황을 설명한다. 이를 구성하는 내용 중 하나가 소극적 외교노선의 문제다. 일본은 이른바 ‘요시다 독트린’에 따라 방위는 미국에 맡기고, 경제성장에만 집중하는 전략을 유지했다. 이러한 반응국가의 문제는 콜더가 지적한 것처럼 “적극적 외교노선을 추구할 수 있는 능력이 있고, 심지어 그것이 국익에 도움이 되는 상황에서도 소극적 행태를 보인다”는 점이다.

1980년대 일본과 현재의 한국의 상황이 완전히 부합하지는 않는다. 다만 한국이 미·일과 동조화하면서 적어도 미·일이 대화 분위기로 전환을 시도 중인 북·중·러와의 관계에서는 ‘반응국가’가 되고 있다. 한국 외교정책은 동북아에서 북·중·러와의 대결구도가 심화할수록 긍정적 평가를 받는 구조다. 반면 미·일이 이들과의 협력을 진전시켜 나갈 경우 사실상 외교적 옵션이 없다. 한국이 미·일 대외정책의 종속변수가 된다. 바꿔 말하면 미·일이 중국과 관계변화를 시작하면 한발 늦게 따라가는 후행 국가라는 뜻이다. 국제질서에 대한 전략을 미·일과의 동조화에만 맞추다 보니, 이들 국가 외의 관계에서는 국제질서를 논의하는 사례도 찾아보기 어렵다. 대신 전부 경제협력만 강조한다. 전형적인 ‘반응국가’의 패턴에 가깝다.

그렇다면 왜 ‘반응국가’가 되는가의 문제가 남는다. 이에 대한 해답도 이미 나와 있다. 한 국가의 외교정책이 반응국가 수준에 머문다면, 이는 보통 국내의 정치적 필요에 따른 결과다. 한국에 적용하면 ‘종북’, ‘친중’ 논란이다. 싱하이밍 대사의 발언이 여야의 정쟁거리로 넘어가는 과정은 왜 윤석열 정부의 대외전략에 미국, 일본을 제외하면 뚜렷한 지향점이 없는지를 잘 설명해준다. 김준형 한동대 교수(전 국립외교원장)는 “혐중을 하면 국익 측면에서는 손해볼 요소가 많지만, 국내 정치 측면에서는 관계가 나빠질수록 이득인 상황”이라며 “싱하이밍 대사 문제도 대통령이 직접 나선 결과, 한국이 외교적으로는 아무것도 얻지 못했지만 반중 정서에 올라탄 윤석열 정부가 국내적으로 손해본 것은 없다”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의 외교는 북·중·러와의 대결국면에서는 ‘적극국가’, 화해국면에서는 ‘반응국가’로 이중화되고 있다. 그 결과 한국의 외교정책이 ‘어제는 맞고, 오늘은 틀린 것’처럼 보이는 상황이다. 특히 북한 문제에는 한·미와 일본의 이해관계가 완벽히 일치한다고 보기도 어렵다. 일본은 국내정치적으로 ‘납북자 문제’가 걸려 있다. 북한이 ‘북·일 국교 정상화’를 전략적으로 이용한다면 관계가 진척될 수 있다. 이 경우 한반도 문제의 해결이 일본의 중재를 반드시 거쳐야 하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힘에 의한 현상 변경에 반대한다’는 원칙은 지켜나가되, 북·중·러 3국과의 외교적 선택지를 지금보다 훨씬 더 다양화시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

국내 정치에 매몰되어 국제정세를 간과하는건 국익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을꺼라고 생각이 듭니다만
현정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것 같다는 예감이 틀리기를



0


서포트벡터
저는 혐중문제는 그냥 국민들 인식이 그게 다인게 문제의 핵심 아닌가 싶어요.
3
이건 민주당을 비난하기 위해 외교를 정치적으로 소모하고 국민들을 세뇌한 결과죠. 운신의 폭을 스스로 좁혀놨어요.
3
서포트벡터
저는 그 점에 대해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민주당 지지층조차도 혐중인식이 상당히 심각한 편인데요.

현 정부 2년만에 국민 세뇌가 완료되어서 혐중인식이 생겼나요? 전혀 아닙니다. 그게 가능했다면 현 정부는 생각보다 프로파간다 능력이 뛰어난 집단이겠죠.

다만 현 정부가 이걸 본인들 포퓰리즘에 적극적으로 사용하는게 차이점인 거죠.
아뇨 2년만이 아니라. 지난 정권부터 수년간요. 문정권이 경제적인 이유로 중국에 강하게 나가지 않는다고 친중몰이를 해댔잖아요. 어쨌거나 세뇌라는 말은 너무 나간것 같습니다. 무시해주세요.
2
서포트벡터
친중몰이를 하고 여당이 됐을때 자기네들이 친중하는 것이면 몰라도, 그 말대로 자기네들은 외교에서도 혐중 열심히 하고 있는데 그건 몰이라고 볼 수 없죠.

사실 저는 그게 포퓰리즘을 위한 친중몰이였으면 했는데 그게 아니라서 짜증나는군요.
저는 미일이 손내미는 지금 입장을 바꾸지 못하는게 여론을 혐중으로 끌고간 업보라고 생각해서요.
1
뉴스테드
혐중하게 만드는 중국의 태도가 원인이라고 봐요.
괜히 우리 국민들이 애먼 중국을 혐오하는건 아니지 않습니까. ㅎㅎㅎㅎㅎ
서포트벡터
중국의 태도는 우리 입장에서 주어진 환경이니 이걸 따지는건 무의미합니다. 중국이 원인인게 맞다고 해도 우리가 손쓸 수 있는 일이 아니니까요.

1. (이유가 뭐든) 혐중여론이 팽배해서 실리외교를 하면 지지율에 해롭다.
2. 그걸 극복하고 실리외교를 할만한 지지율이 없다.
3. 지금 행정부의 선택지에서 실리외교는 소거된다.

현재 상황은 이렇게 요약되지 않겠습니까? 옳다 그르다를 떠나서, 혐중 외교를 강요하는건 국민들이죠.
현 정부는 국민들의 강요를 극복하고 실리외교를 택할 만큼의 용기도 없고 능력도 없고 의지도 없으니까요.
4
뉴스테드
현정부 말로는 국익을 위하는 길이라면 지지율에 신경쓰지 않겠다고는 하는데 믿어주는 사람이 별로 없어서 ㅋㅋㅋㅋㅋㅋㅋ
고기먹고싶다
진짜 제대로 된 정치집단이라면 국민들을 설득해야하는데 참...
Beer Inside
북, 중과 붙어 있어서 적극적으로 친해지기도 쉽지않지요.
뉴스테드
친해지지 않더라도 굳이 적대할 필요까지야 있을까 싶습니다.
Beer Inside
북한은 미사일 쏴 대지....

중미는 서로 줄 잘서라고 하지...... 쉽지 않은 것은 사실이지요.

그거 잘하라고 선출된 것이기는 하지만....
뉴스테드
중미가 앞에서는 줄서라고 강요하면서 지들끼리는 뒤로 거래를 하니 깝깝합니다.
제 3 선택지를 만들고자했던 문통 당신은 대체..
“우리에겐 영원한 동맹도 없고, 영구한 적도 없다. 우리의 이익만이 영원하고 영구하며, 그 이익을 따르는 것이야말로 우리의 의무이다.”

- 파머스턴, 영국의 전 외무장관 / 전 총리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605 국제"불빛 탓에 잠 못잔다"…옛 트위터 본사 'X' 로고 철거 4 퓨질리어 23/08/01 1955 0
35602 국제화상 환자 속출... 저는 피닉스에 살고 있습니다 6 매뉴물있뉴 23/07/31 2695 0
35596 국제"학부모 악마화는 해법 아냐" 교권 붕괴 먼저 겪은 일본서 배운다 21 카르스 23/07/31 2683 13
35582 국제日방위백서, 올해도 "독도는 일본땅"…'반격능력' 확보 강조도 5 덕후나이트 23/07/29 2378 0
35572 국제UFO 청문회에서 "미 정부, 인간 아닌 생명체 보관 중" 10 캡틴실버 23/07/28 2704 0
35547 국제美 옥수수밭서 사라진 3세 아이, 헬기 '적외선 카메라'로 발견 4 swear 23/07/25 2569 0
35542 국제WSJ "우크라, 올해 대반격에 큰 돌파구 없을 듯" 진단 3 오호라 23/07/24 2700 0
35539 국제"아무도 죽이고 싶지 않다"…전사한 31세 러시아 군인의 일기 / 연합뉴스 4 트린 23/07/24 2718 3
35473 국제다시, 가짜뉴스를 위대하게! 4 뉴스테드 23/07/18 2741 3
35468 국제'포장도 안 뜯은' 1세대 아이폰, 경매서 2억4천만원에 팔려 4 다군 23/07/18 2643 0
35465 국제1년 만에 종말 맞은 흑해곡물협정…세계경제 다시 혼돈 속으로 다군 23/07/17 1851 0
35460 국제주윤발 멀쩡히 등장…뇌졸중·혼수상태설 '가짜뉴스'였다 6 뉴스테드 23/07/17 2713 0
35456 국제'버킨백' 영감 준 英 가수 겸 배우 제인 버킨 별세…향년 76세(종합2보) 3 다군 23/07/16 2698 0
35438 국제“우린 ‘아마존’ 아냐”…우크라 불만에 피로감 내비친 나토회의 6 오호라 23/07/14 2693 0
35387 국제"푸틴, 반란 닷새 후인 지난달 29일 프리고진 만났다" 4 매뉴물있뉴 23/07/10 2323 0
35302 국제"프랑스가 제공한 경전차 쓸모없어" 우크라이나군 불만 30 오호라 23/07/04 2697 0
35291 국제美 '경제사령탑' 옐런 6일 방중…관세·환율·디리스킹 담판(종합2보) 12 다군 23/07/03 2287 0
35287 국제뉴질랜드 의사, 목에 닭뼈 걸린 환자에게 '콜라 처방'…효과는? 7 다군 23/07/02 2706 0
35283 국제'비행기 타고 통학' 美 버클리대생 화제…"월세보다 저렴" 9 다군 23/07/02 2679 0
35282 국제평생 갇혀 산 ‘실험실 침팬지’, 처음 세상과 마주한 순간 6 뉴스테드 23/07/02 2545 2
35268 국제미·일은 북·중에 손짓···한국만 대립 최전선에 16 뉴스테드 23/06/30 2248 0
35267 국제태국 방콕 공항서 여행객 무빙워크에 껴 다리 절단 사고 4 다군 23/06/30 2690 0
35261 국제美대법 "대입 때 소수인종우대 정책 위헌"…광범위한 파장 예고(종합2보) 6 다군 23/06/29 2684 0
35252 국제프리고진, 러 국방 투톱 생포하려다 들키자 무장 반란 3 Beer Inside 23/06/29 2370 0
35241 국제이스라엘, 美 반대에도 정착촌 확장 강행…5천600채 건설 승인 4 오호라 23/06/28 2324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