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2/01/04 22:20:49
Name   구글 고랭이
File #1   1.jpg (96.2 KB), Download : 37
File #2   2.jpg (62.4 KB), Download : 36
Subject   英 저명한 학자 "SNS는 인스턴트 음식..외로움 막기 위해 경제적 불평등 막아야"




https://news.v.daum.net/v/20220104184601548


“소셜미디어 교류는 인스턴트 음식을 먹는 것과 같습니다. 배고플 때 손쉽게 자주 먹지만, 먹고 나면 허기는 채워질지 몰라도 금세 기분이 안 좋아지죠.”

소셜미디어라는 초연결 세계에 갇혀 고립되고 있는 사회상을 짚은 ‘고립의 시대’ 저자이자 정치경제학자인 노리나 허츠(54)는 지난달 15일 서울신문과의 화상 인터뷰에서 이렇게 밝혔다.

그는 억만장자 조지 소로스가 신뢰하는 학자이며 경제와 연관된 외교적 협상이나 중대한 결정을 할 때 전 세계 리더들이 가장 신뢰하는 자문위원으로 꼽힌다.

허츠 교수는 “한국은 미국, 중국, 싱가포르 등 주요 나라에 비해 외로움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글로벌 여론 조사기관 입소스가 지난해 2월 발표한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글로벌 인식’ 보고서에 따르면 ‘외로움을 느낀다’는 한국 응답자(만 16~74세)의 비율은 38%였다. 조사가 이뤄진 28개국 중 한국은 9위를 기록했다.

허츠 교수는 외로움을 느끼는 한국인이 많은 것을 두고 “급격한 도시화와 기술 발전, 그리고 경제적 불평등이 심화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의 정보통신기술(ICT) 발달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사람들이 불편함 없이 비대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허츠 교수는 “그 과정에서 우리가 얼마나 연결될 수 있는지 잊으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알고리즘 시청·문어발 소통.. 액정 꺼지는 순간, 공허함이 켜진다
https://news.v.daum.net/v/20220103050614198


코로나19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소셜미디어 사용이 크게 늘었다.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유튜브 사용량이 급증했고, 청년층은 단순한 소통을 넘어 가상현실인 메타버스(가상과 현실이 상호작용하는 3차원 세계)에서 만나 교류하는 시대가 됐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언제 어디서든 타인과 연결될 수 있는 ‘초연결시대’에 살게 된 것이다. 소셜미디어가 사람 사이의 물리적 거리감을 좁혀 주긴 하지만 실제 만남을 대체하지는 못한다. 오히려 소셜미디어 사용으로 얕은 관계만 남거나 실제 대면을 꺼리게 될 경우 외로움과 고립감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도 있다.

전문가들은 적당한 소셜미디어 활용은 한시적인 외로움을 완화시켜 줄 수 있지만 지나치게 사용하거나 장기화될 경우 오히려 외로움과 고립감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권준수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비대면으로 소통을 하다 보면 서로 연결돼 있다는 착각이 들 수 있지만 직접 만나는 것과는 감정 교류의 질적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다”면서 “계속하면 만족감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sns 교류는 인스턴트 음식을 먹는 것과 같다. 배고플 때 손쉽게 자주 먹지만, 먹고 나면 허기는 채워질지 몰라도 금세 기분이 안좋아진다.
- 한국은 주요 나라에 비해 외로움을 심하게 느끼는 상위권 나라에 속하는데, 이는 급격한 도시화와 기술 발전, 그리고 경제적 불평등이 심화되었기 때문이다.
- sns 이용자는 본인이 올린 게시물에 '좋아요'가 얼마나 달렸는지, 팔로어 수가 늘었는지, 게시물이 리트윗되었는지를 반복적으로 확인한다. 이런 관심을 받지 못하면 스스로가 존재하지 않는 사람이 된 것처럼 느끼고 고립감을 호소하게 된다. 이런 점에서 sns 사용은 마치 마약을 하는 것과 유사하다.
- 영국의 '온라인 안전법'은 소셜미디어 이용으로 발생한 심리적 피해에 대해 소셜미디어 기업에 형사 처벌 등 책임을 묻는 법안이다. 곧 의회 통과를 목전에 두고 있다.
- k세대(1994~2004년생)는 sns 초연결 시대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세대이면서 여기에서 벗어나려는 욕구도 매우 강하다. 몇몇 젊은층에서 sns 앱을 지우는 움직임을 보이기도 한다.
- 집단과 사회 전체의 이익보다는 개인의 이익과 개인이 성취할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타인과의 연결이 끊어지는 추세이다.
- 신자유주의가 가져온 불평등은 사회의 양극화를 가져왔고,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보살핌을 못 받는다 느끼어 외롭게 만든다. 외로움이 기저에 깔리면 외부 집단에 대한 배타성이 커지고 도널드 트럼프 현상처럼 정치적 포퓰리즘이 퍼질 판을 만들게 되기도 한다.
- 개인은 의식적으로 sns에서 벗어나 타인과 직접 대면해 소통하는 시간을 늘려야 한다.
- 모든 정부 부서가 협동해서 외로움 위기에 대해 총체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의료 지원, 노인돌봄시설, 공공 도서관, 청소년 클럽 등 친공동체적인 사회 생활기반을 형성해야 한다. 이를 위한 재원 확보를 위해 증세해야 한다.


꽤 괜찮은 sns 초연결 사회에 대한 진단이 있어서 기사를 가져와봅니다.



4


Cascade
인스턴트 먹으면 기분 좋아지는데 뭘 모르네
2
엄마곰도 귀엽다
이거라도 안 먹으면 굶는 저같은 사람도...
1
cummings
요즘 sns로 벌어지는 일들을 보면, [아는게 병]이라는 생각이 절로...

비싼차 좋은집 잘난사람 있는거 모르고 그냥 적당히 외로움 좀 느끼면서 살다가 죽는게 더 행복할것 같음다.
1

먼저 영국에서 SNS의 해악을 지적한 분이 계신데....
1
솔직히 없애도 좋다고 생각해요.
치킨마요
라면도 비타민 들어있는 완전식품인데
2
홍차넷 하지 말라고요?
3
하우두유두
홍차넷 못잃어 ㅠ
하우두유두
좋은 말입니다. Sns가 나쁘진 않지만 그 안에 먼저 나자신 그리고 가족을 소중히해야.
1
바닷내음
음? 아무리 그래도 100%가 가능한가요 반올림인가
맥주킬러
근데 홍차넷도 SNS 느낌이 좀 납니다 킁킁
경계인
인스턴트 마시쩡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45 정치"박통, 엘사처럼 끔찍한 일 벗어나 해피엔딩이면 좋겠다" 10 샌만 16/12/18 2830 0
11741 국제(수정) SK건설 "라오스 댐 붕괴 아닌 범람"..인명구조 지원 총력 7 퓨질리어 18/07/24 2830 0
27362 기타"직구 배송대행업체서 카드정보 유출…해외 부정사용 피해" 2 다군 22/01/04 2830 0
31461 정치미국 의원들, 윤 대통령 욕설 보도에 “당신 나라에 집중하라” 17 구밀복검 22/09/23 2830 2
29230 경제우리은행 직원 회삿돈 500억원 횡령 파문 8 먹이 22/04/27 2829 0
12855 사회"여경들, 이건 아니지 않나요" 교통사고 대응 논란.. 진실은? 7 tannenbaum 18/09/29 2829 1
10313 의료/건강[건강한 인생] 스마트폰 청색광 장시간 노출땐 황반변성 위험 2 메리메리 18/05/23 2829 0
22601 사회"조두순 막아라"가 "유튜버 막아라"로.. 주민들만 이중고 10 Schweigen 20/12/14 2829 2
14672 정치국회의원 해외 출장보고서의 끝판왕 '표창원' 7 CONTAXS2 19/02/20 2829 5
4737 경제삼성, 싸이월드에 50억 상당 투자..AI시대 콘텐츠 승부수 12 empier 17/08/22 2829 0
19844 경제한국, 코로나 위기 최빈국 채무상환 연말까지 미뤄준다 1 The xian 20/04/18 2829 0
14476 경제한전공대, 전남 나주 부영CC로…"큰 산 넘었지만, 과제 산적" 7 Dr.Pepper 19/01/28 2829 1
11409 경제가상화폐 정부자료 유출자, 공무원 아닌 기자 3명 확인 2 빠독이 18/07/12 2829 0
6088 사회원세훈 "법 지키며 일할 거면 국정원 왜 필요" 9 Credit 17/10/28 2829 0
3793 방송/연예가수 길, '또' 음주운전 적발…면허 취소 수준 12 벤젠 C6H6 17/07/01 2829 0
28885 국제러시아 자충수에 에너지 패권 미국으로 넘어갔다 8 empier 22/04/03 2829 0
8422 방송/연예전효성, 시크릿 복귀 없다 "이미 TS와 신뢰 파탄"(공식) 3 벤쟈민 18/03/06 2829 0
5864 IT/컴퓨터연간 4조원 수출품 '게임'..한국에선 아직도 '불량품' 5 알겠슘돠 17/10/17 2829 0
21996 국제1500달러에 팔려가서 목숨 잃는 시리아 젊은이들 3 메오라시 20/10/11 2829 1
20231 정치방통위원 "녹취록 '검사장' 맞나" 묻자 채널A 대표 '끄덕' 토끼모자를쓴펭귄 20/05/14 2828 2
18186 정치"일산 망쳤다" 시민 항의에…김현미 "동네 물 나빠졌네" 비아냥 19 ebling mis 20/01/14 2828 0
29225 경제"입주 못막아"..'왕릉뷰 아파트' 사실상 철거 불가할듯 6 empier 22/04/27 2828 0
12084 방송/연예'PD수첩' 김기덕·조재현, 추가 피해자 충격 증언 "처벌 받게 해달라" [종합] 벤쟈민 18/08/08 2828 0
20279 국제미 바이오기업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서 항체 형성" 2 swear 20/05/19 2828 0
21593 스포츠한화 이글스, 일부 선수 자가격리 해제 요청했다가 거부당해 3 The xian 20/09/03 2828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