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0/08/27 22:07:54 |
Name | 거소 |
Subject | 정부, 의사파업에 '강·온 대응'..."처벌로 문제 푸는 것 바람직 안해" |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0082712151342178?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0DKU 보건복지부가 제안한 최종 의정합의문(안) 1. 보건복지부는 의대정원 확대, 공공의대 신설 추진을 수도권 코로나19 확산이 안정화 될 때까지 중단하고 코로나19 안정화 이후 협의체에서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대한의사협회와 협의한다. 협의 기간 중에는 의대 정원 통보 등 일방적 정책 추진을 강행하지 않는다. 2. 보건복지부와 의료계는 대한의사협회가 문제를 제기하는 4대 정책의 발전적 방안에 대해 협의체에서 논의한다. 찾아보니까 이걸 의협에서는 수용 60퍼정도 나왔고 전협?(잘 모릅니다)에서는 반대가 강해서 파국났다는데 위 합의문만 봐서는 통수 맞을 걱정이 있는건 당연해 보이지만 원래 노조싸움도 그렇고 그런건 다 생각해두고 하는거라서.. 이걸 받고 정책추진하면 명분을 훨씬 강하게 얻는건 의사쪽인데 왜 거절했지 싶네요. 이걸 받으면 협의체 구성가지고 최저임금협의체처럼 의료계 n명 보건부 n 명 민간 n명 뭐 이런식으로 가자고 할수도있고 협의체 자체를 구성하는 방식으로도 많이 싸워볼수있는데.. 실제 이걸 안받은 찐 이유가 궁금하긴 합니다. 저는 이정도면 파업을 중단하고도 싸워볼만하다 싶은 상태로 만든거 같은데, 현재 참여자들은 코로나상황에서 우리쪽에 칼이 있으니 강성으로 나가면 폐기하고 굴복할 것이다 뭐 이런 생각을 갖는걸까요. 근데 정부 정책은 폐기해봐야 그냥 또 다시 한다고 올려버리면되고 그렇다고 지금 추진중인걸 법률로서 금지하는 입법을 할것도 아닐텐데 잘 모르겠네요... 이런건 정부입장에선 그냥 얼굴마담 갈아치우고 순서 바꿔서 또 진행할수있는 건들인데.. 여튼 의견은 저정도면 일단 받았어야지 라는 생각이 듭니다. 대신 지금 업무개시명령 불응하고 파업하고 이제까지 벌어진 일에대해 책임소급 없이 간다곤 꼭 붙여야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거소님의 최근 게시물
|
최대집은 저도 싫지만 정당한 과정으로 선출된 회장이고 다른 임원처럼 국회의원 하겠다고 설친 것도 아니어서 비대위 체계로 가지 않는 이상 바꾸지 못합니다
지금 비대위 체제로 간다고 해서 강성이 아닌 사람이 나온다는 보장도 없구요
지금 비대위 체제로 간다고 해서 강성이 아닌 사람이 나온다는 보장도 없구요
비슷한 생각이고 저도 최대집을 싫어합니다만.. 현재 의사들이 최대집을 싫어하는건 진정성을 못믿어서
바뀐 집행부는 더 강성일 수 밖에 없지요. 반대로 이야기하자면 최대집은 정부측에서 그나마 이용가능한 카드라고 평가할겁니다.
바뀐 집행부는 더 강성일 수 밖에 없지요. 반대로 이야기하자면 최대집은 정부측에서 그나마 이용가능한 카드라고 평가할겁니다.
이걸 받으면 바보입니다. 이미 저렇게 하고 뒤통수를 계속 쳐왔고, 당장 아예 법률에 정해져있는 '협의'를 법무부장관이 어떻게 처리하는지 모두가 보지 않았습니까? 결정당일 오전에 보내고 의견내라 의견들었다 했죠.
위원회 두번 열고 이렇게 합시다 의협의견은? 반대하시는군요 참고하겠습니다. 협의 끝에 의견통일은 이루어지지 못했으나 시급하여 시행합니다. 땅땅
이걸로 끝입니다. 여러 공공기관, 갈등상황에서 이 정부가 무엇을 협의라 부르는지 어떻게 처리하는지 목도했습니다.
이건 가정적 상황이 아닙니다. 요 2년간 여기저기서 ... 더 보기
위원회 두번 열고 이렇게 합시다 의협의견은? 반대하시는군요 참고하겠습니다. 협의 끝에 의견통일은 이루어지지 못했으나 시급하여 시행합니다. 땅땅
이걸로 끝입니다. 여러 공공기관, 갈등상황에서 이 정부가 무엇을 협의라 부르는지 어떻게 처리하는지 목도했습니다.
이건 가정적 상황이 아닙니다. 요 2년간 여기저기서 ... 더 보기
이걸 받으면 바보입니다. 이미 저렇게 하고 뒤통수를 계속 쳐왔고, 당장 아예 법률에 정해져있는 '협의'를 법무부장관이 어떻게 처리하는지 모두가 보지 않았습니까? 결정당일 오전에 보내고 의견내라 의견들었다 했죠.
위원회 두번 열고 이렇게 합시다 의협의견은? 반대하시는군요 참고하겠습니다. 협의 끝에 의견통일은 이루어지지 못했으나 시급하여 시행합니다. 땅땅
이걸로 끝입니다. 여러 공공기관, 갈등상황에서 이 정부가 무엇을 협의라 부르는지 어떻게 처리하는지 목도했습니다.
이건 가정적 상황이 아닙니다. 요 2년간 여기저기서 일어난 일들이죠. 추상적인 협의는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합의'이거나, 협의체 구성, 의사결정, 인적구성방식, 결정의 구속력에 대한 구체적 합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위원회 두번 열고 이렇게 합시다 의협의견은? 반대하시는군요 참고하겠습니다. 협의 끝에 의견통일은 이루어지지 못했으나 시급하여 시행합니다. 땅땅
이걸로 끝입니다. 여러 공공기관, 갈등상황에서 이 정부가 무엇을 협의라 부르는지 어떻게 처리하는지 목도했습니다.
이건 가정적 상황이 아닙니다. 요 2년간 여기저기서 일어난 일들이죠. 추상적인 협의는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합의'이거나, 협의체 구성, 의사결정, 인적구성방식, 결정의 구속력에 대한 구체적 합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거야 그렇긴한데 원래 약한놈이 센놈이랑 싸울때 이런거 협의하고 문서화하고 이름남기고 명분얻고 통수치면 새판짜고 그런거 아닙니까ㅋㅋ 그래서 저걸받는것도 판새로짜고 마지막문단처럼 문서남겨서 코로나이후에 이거이거이거에대해 협의체 이렇게 해서 구체화된 합의하나씩 하는거고요 일단 강행을 코로나기간동안 못하게하는건 단기목표아니었나요
저는 저 내용으로는 문서화해도 의미가 없다고 봐요. 사실 의료계는 중단하고 다시 싸울 준비같은건 못합니다. 이쪽은 올인한타병력 일꾼까지 나온거고 솔까말 연장전가면 이미 진거거든요.
합의문?? 대전협이 정부에게 그래 다 좋으니까 문서화하자고 했는데 끝까지 구두 약속만 하겠다고 버틴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렇게 합의문이 나온게 아니고 입으로만 씨부린 겁니다. 말로만 저렇게 하면 누가 믿나요 유구한 통수의 역사를 자랑하는 정부인데
좀 다른 얘기지만 그냥 여기 좀 빌려 쓸게요.
보건복지부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을 통해 실시한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보고서는 2018년 12월에 복지부에 제출됐고 2019년 12월에 발표됐습니다. 정부 시행 연구조차도 의사 수 늘리는 건 지역별 의사 불균형 문제의 해결책이 아니라고 하는데 의사 수 증원을 들고 나왔군요. 조건부 면허 의사 제도 도입을 함께 묶어서 말이지요. ㅎㅎ
http://www.mohw.go.kr/react/modules/download.jsp?BOARD_ID=320&CONT_SEQ=352714&FILE_SEQ=283854
근데 의사뿐만아니라 정부나 모기업을 상대하는 다수집합체들은 다 그렇긴 합니다..-_- 의사결정주체가 다수일수록 의견이 통합되기 어렵고 반대잡음나오기 쉽고 갈라치기 당하기 쉽고 그런거죠. 저쪽은 위에서 결정하면 따르는 거라 의견조율과정이 심플하고 이쪽은 다 평등하니까 의견조율과정이 어렵지요. 민주주의는 효율이 낮고 독재는 효율이 높고. (의사결정단계에서)
독재의 '효율높은 의사결정 결과' 독재자가 정한 방향이 멍청하면 아주 효율좋게 망할 수 있기 때문에(소위 멍부라고 부르기도 하는.. ) 사회전체 효용은 다시 민주주의가 높고 그런거죠. 지금이 그 효율좋게 망하려는 상황이고
독재의 '효율높은 의사결정 결과' 독재자가 정한 방향이 멍청하면 아주 효율좋게 망할 수 있기 때문에(소위 멍부라고 부르기도 하는.. ) 사회전체 효용은 다시 민주주의가 높고 그런거죠. 지금이 그 효율좋게 망하려는 상황이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