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 19/03/08 21:57:54 |
Name | 메아리 |
Subject | 서평 『웃는 늑대』 - 쓰시마 유코 |
이 소설은 1950년대 말 일본을 배경으로 두 아이가 여행을 하면서 겪게 되는 여러 일들을 담고 있다. 17세인 미쓰오는 중1인 유키를 꼬셔 같이 열차를 타고 여행을 다닌다. 그러나 그들의 여행은 평범한 듯 평범하지 않다. 이 이야기를 아이들의 정상적이고 평범한 가출 여행에 대한 이야기로 봐버리면 곤란하다. 이들의 여행은 혼돈 그 자체다. 첫째, 시간의 배열이 마구 흐트러져 있다. 유키코가 중학교 1학년생이 된 해가 쇼와 34년(1959)이다. 그러니까 그들의 여행은 1959년 5월에 출발한 것이다. 그러나 여행 중간 중간에 쇼와 20년대에 실제로 벌어졌던 사건들이 나타난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그들이 오사카 역에 내려 우동을 사먹을 때 가지고 있던 동전을 사용하지 못한다. 돈을 받은 식당 주인은 가짜 돈이라고 쇼와 27년에 만든 돈이 어떻게 가능하냐고 소리친다. 아직 그때도 되지 못했는데. 둘째로 이들이 어떤 위기에 처하게 되면, 다시 열차 안으로 돌아와 버린다. 미친개들의 습격을 받았을 때도, 콜레라가 퍼진 귀국선에 올라탔을 때도 그들이 다시 정신을 차린 곳은 열차 안이다. 그들은 자신들이 어떻게 다시 열차 안으로 돌아 왔는지 알지 못한다. 겪은 사건들이 꿈이 아니라는 흔적은 몸 여기저기에 남아 있다. 이들의 여행은 가능한 여행이 아니다. 이들은 열차를 통해 공간을 여행할 뿐 아니라 시간도 여행한다. 이 여행을 통해 전후 일본에서 일어났던 크고 작은 사건들과 생활상을 볼 수 있다. 일본이 폭발적 성장을 하기 직전의 상황, 전후의 상처를 극복하지 못한 채 그 아픔에 고스란히 노출되어 신음하던 그 당시 일본을 보여주고 있다. 웃는 늑대는 미쓰오를 가리킨다. 길들여지지 않은 자유로운 영혼으로서의 늑대는 유키 유괴사건이 해결됨으로써 멸종되어 버린다. 작가가 ‘길들여지지 않음’을 통해 일본을 말하려 한다. 그것은 일본적이지 않음을 통해 일본을 말하려 한다는 것과 같은 뜻이다. 작가는 일본에게 그 ‘길들여지지 않음’, 야생성이 사라져 버렸다 말한다. 가야하는 학교에 가지 않고 아무 열차나 휙 올라타 떠나버리는 그런 야생. 비단 일본만의 문제는 아니다. 문명이 무르익어 갈수록 야생은 사라지기 마련이다. 그렇다고 야만과 야생을 혼동해서도 안 된다. 문명도 야만스러울 수 있다. 야생이란, 도전의 자유로움이다. 그 다음 일을 걱정하지 않고 도전할 수 있는 태도다. 길들여진다는 것은 고려해야할 게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스스로가 어떤 도전을 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할 것들이 많다면 그것은 그만큼 길들여져 있다는 반증이다. 우리가 굳이 야생의 삶을 살 필요는 없다. 언제나 도전뿐인 삶은 쉬이 지치기 마련이니까. 다만 생각은 야생성을 잃으면 안 된다. 너무 많은 것을 고려하여 사고의 자유로움까지 담보해 버려서는 곤란하다. 적어도 사고만이라도 야생성을 남겨두어야 한다. 스스로를 자유로운 존재로 여기고 싶다면 말이다. 가끔은 그것이 행동으로 올라올 수 있어야 하니까. 5
이 게시판에 등록된 메아리님의 최근 게시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