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9/01/06 13:47:08수정됨
Name   풀잎
Subject   유발 하라리의 2050년을 대비한 자녀교육
얼마전 칼텍, 캘리포니아 공대 캠퍼스 구경을 갔는데요. 그 동네 엘에이에 있는 어느 대학교 학부생이 과외가 필요하다고
칼텍으로 올 수도 있다고 선생님 구함!! 이라는 전단지를 학교 캠퍼스에 붙여놓은 걸 보았어요.
대학공부가 그만큼 어렵고 어릴때부터 사교육으로 큰 학생들은 대학에서도 과외선생님이 필요한가봅니다.

유발 하라리가 이야기합니다. 2050년을 대비한 자녀교육 어떻게 우리 자녀들을 키워야 하는지를...기사를 미디엄에서 읽게 되었는데요.

번역은 엉망이지만, 편하게 보시길 바랍니다.

https://medium.com/s/youthnow/yuval-noah-harari-21-lessons-21st-century-what-kids-need-to-learn-now-to-succeed-in-2050-1b72a3fb4bcf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what is important and what is unimportant, and, above all, to combine many bits of information into a broad picture of the world.
무엇이 중요하고 무엇이 중요하지 않은지, 그이상으로 많은 정보들을 커다란 세상이라는 그림아래에 정렬할 수 있는 기술...


"So, what should we be teaching? Many pedagogical experts argue that schools should switch to teaching “the four Cs” —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collaboration, and creativity. More broadly, they believe, schools should downplay technical skills and emphasize general-purpose life skills. Most important of all will be the ability to deal with change, learn new things, and preserve your mental balance in unfamiliar situations. To keep up with the world of 2050, you will need to do more than merely invent new ideas and products, but above all, reinvent yourself again and again.

그렇다면, 무엇을 우리는 가르쳐야 하는가? 많은 교육학자들은 학교는 네가지 Cs 를 가르치도록 교육제도를 개편해야한다고 주장합니다.
비평적 사고, 대화, 협동, 창의력... 학자들은 학교는 세부적인 테크니컬 스킬을 가르치는 것을 덜하고 삶의 목적인 라이프 기술을 가르치는데 강조해야한다고 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기술은 변화에 deal 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새로운 것들을 배우고 익숙치 않은 환경에서 정신력의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는(평정심) 능력입니다. 2050년을 대비하려면,  새로운 아이디어와 제품을 를 만들어내는것 이상으로 스스로를 재창조해야합니다.

-현재 진행형

아이가 아직 입시를 치루지 않았기에 저도 현재진행형이어서 뭐라 말하기가 곤란해요.
아이 키우면서 자녀를 어떻게 양육할까 하는 문제는 참 어려운데요.

여행을 많이 하게 해서 아이들의 견문을 넓혀준다는 부모님들도 있는데요. 경제적으로 많은 재력이 필요한 대목이 아닌가 싶어요.
그래서 그 외에 부모로써 아이를 키우며 유의하는 어떻게 양육할까 하는 고민을 이야기해볼까 해요.

유발 하라리 기사를 읽으면서 평소에 제가 생각하는 아이들 교육에 있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도 이야기해봅니다.

제 생각에는 사회적 경제적으로 다른 다양한 사람들을 많이 만나게 해 주는 것
아이의 브레인 두뇌를 말랑말랑하게 경직되지 않은 유연한 사고를 할 줄 아는 사람으로 키우도록 노력하는 것
봉사하고 경험하게 하는것이 아이에게 엄청난 자산이 된다고 생각해요. 그런 경험을 통해서 스스로 판단력과 인지력을 기른다고 생각하거든요.
또한 편협한 사고에서 벗어나는 기회가 될 수도 있고 온실이나 자신의 환경과 다른 이의 환경을 비교하면서 세상이라는 그림을 그리는데 있어서
자신의 위치를 가늠하고 높낮이가 아니라, 자신의 성장을 위해 무엇을 배워야하는지에 대한 관찰자적인 이해에요.
그리고 그 바탕으로 인해서 타인을 이해하고 성장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위의 유발 하라리의 말처럼 라이프 스킬을 배우는 것에 많은 부모들이 좀 더 아이들에게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유치원 초등학생때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여러가지 체험학습을 하거나 미술수업 만들기 같은 것을 엄청 많이하게 해서 아이들이 시각적 촉각적으로 그리고 음악듣기교육을 통한 청각훈련, 운동을 통한 근력 지구력 생활체험을 하는 것, 중고등학교때 생활습관을 정하고 이불을 정돈하고 빨래를 하며 요리하는 것, 자기 앞가림을 하는것 등등이 어느 하나 소중하지 않은 것이 없는 것 같아요. 이런 과정을 자연스럽게 거친 아이들이 스스로를 잘 매니징할 수 있는 사람이 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간과하지 말아야할 아카데믹 파운데이션이 탄탄함이 중요하다고 보아요. (저는 개인적으로 물리,수학에 대한 이해가 없는 것이
늘 아쉽습니다. 세상에 알아야하는 뭔가를 모르고 살고 있는듯..그래서 나중에 은퇴하고 물리 수학공부를 해봐야겠다는 ㅠㅠ ...) 제가
아이들에게 강조하는 것이 수학 과학 인문학의 중요성인데, 이건 제 욕심이 지나친것이겠지요.

미국서부의 딥스프링스 칼리지는
2년 제 대학이고 1,2학년 학부 수업만 합니다. 졸업생의 다음행보는 4년제 대학으로의 편입을 하는데 놀랍게도 졸업생의 대다수가 아이비리그를 비롯한 명문대학에 진학하며 통계적으로 졸업생의 절반이 박사학위를 소지한다고 하는데요.
목장에 자리한 대학이고 하루 5시간의 노동을 의무화화기 때문에 학생들은 각기 다른 자기만의 업무를 갖고 있고요. 때론 4시 30분부터 시작되는 트랙터 운전, 헤이 풀정리, 요리, 우유 짜는 일, 소 여물을 주는 일 등의 업무가 학기 마다 달라진다고 해요. 강의는 모두 토론식으로 진행된다고 하는데요.

그만큼 유발 하라리의 21세기를 위한 자녀교육에 부합한 학교가 아닌가 싶습니다.

드라마에서 보이는 입시만을 위한 경쟁을 최우선으로하는 교육을 받아 입학한 학생들이 아닌,
위에서 이야기한 라이프 스킬을 갖추고 아카데믹한 능력을 함께 갖춘 학생들이 아마도 21세기가 요구하는 숲을 바라볼 수 있고 물가에 끌고 가지 않고 혼자서 찾아가는, 자신의 앞가림을 하는 학생,익숙치 않은 환경에서 유연성을 보일 수 있는 사회와 기업이 요구하는 인재가 아닌가 싶습니다.
참...위의 4c 에서 협동도 물론 간과할 수가 없습니다. 팀웍과 사회성의 중요성도 엄청나게 중요하구요.
이기적이지 않은 커뮤니티, 다양성을 이해하는 생각하는 자녀로 키우는 것... 참 어려운데 많은 부모님들의 숨은 노력이 자녀들의 성장 배경속에 있는 것 같습니다.


흠... 그래도... 코디선생님 어떻게 자녀를 키우라는 말입니까? 스팩을 가르쳐주세요. 라고 묻는 부모들이 있기는 한 듯 싶습니다. ㅎㅎ

자녀들 교육에 있어서 어떤 점을 중요하게 우선하시는지 나누어주시면 저에게도 도움이 될 듯.. 감사하겠습니다.
홍차넷 자녀분들이 21세기에 준비된 자녀들이었으면 해요.




8


    좋은 글 소개시켜 주셔서 감사합니다.
    늘 좋은 말씀들때문에 많이 배우게되는걸요.
    사나남편
    저는 첫째는 아이돌 시키고 둘째는...지인생 지가 살겠죠...
    2019영어책20권봐수정됨
    .
    2
    사나남편
    2
    원래 시키는것보다 옆에서 도와주라고 하던데요. 어려운것 같아요. 그나저나.. 첫째는 누구 닮았나요? 외모 가창력..ㅎㅎ
    사나남편
    엄마보단 이쁘고...춤은 아빠 닮았고...노래는 모릅니다.
    호라타래
    저는 자녀가 없어서 모르겠다만, 인문학 혹은 사회과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삶에 대한 객관화 + 표현하되 매이지 않고 마음을 흘러가게 만들 수 있는 솔직하고 단순한 태도가 중요하지 않나 싶어요. 타고난 성정, 가족 내 역동, 개인의 내적 동기, 또래 집단에서 겪을 경험, 우연이라 칭할 수 밖에 없는 기회가 각자의 삶을 어떻게 이끌지는 알 수 없으니...
    삶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솔직하고 단순한 태도를 가지게되려면 스스로의 부단한 자기성찰이 필요한것 같아요.
    그건 아이때뿐 아니라 평생 마지막 순간까지 지속적으로...

    교육법이 많이 있지만 뭐가 좋을런지, 각자 환경에서 아이한테 부모들이 관심을 가지고 함께 시간을 보내는것이 중요한것 같아요.
    배워보자
    저는 개인적으로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대한 이해도와 적응력이 높은 아이로 키우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양육에대한 책들을 보면 인터넷,게임 등에 대한 우려 때문인지 아이들을 아날로그 방식으로 키우라는 얘기들이 많이 보입니다. 심하게 얘기하면 '디지털은 악의 소굴이고 종이 텍스트가 최고다' 라는 입장이지요. 하지만 제기준으로 본다면 결국 앞으로 사회 변화와 그에 따르는 기회는 대부분 디지털에서 오지 싶습니다. 디지털에 편하게 적응하고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태도와 능력이 바로 환경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봅니다. 최근 급격히 성장한 분야나 혹은 도태되어 사라진 분야 모두 그 배후에는 디지털이 촉발시킨 변화가 있다고 봅니다. 다만... 이런 생각대로 아이가 자라는 것도 아니고 무시할 수 없는 부작용도 있을 수 있으니 쉽지는 않습니다.
    텍스트가 최고라는 입장은 물론 문제가 있다고 생각해요.

    어떤 사물에 대한 이해도와 적응력이 높아질려면 먼저 아날로그 방식으로 생각하는 훈련을 많이한 아이들이 적응도 빨리하는 것 같아요. 아날로그 방식이 강조하는 시각적으로 촉각적으로 익힌 아이들이 한편으로 빠릿한 순발력으로 게임도 만들고 비디오 에디팅/동영상 편집도 하고 여러 환경에 적응을 잘하지 않나싶어요. 얼마나 두뇌가 말랑말랑한지 뇌의 신경가소성- 뉴로플라스티 - 뇌가 유기적으로 자극에 잘 변화하는지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많은 경험과 생각이 필요하고 디지털에만 의존하기보다... 더 보기
    텍스트가 최고라는 입장은 물론 문제가 있다고 생각해요.

    어떤 사물에 대한 이해도와 적응력이 높아질려면 먼저 아날로그 방식으로 생각하는 훈련을 많이한 아이들이 적응도 빨리하는 것 같아요. 아날로그 방식이 강조하는 시각적으로 촉각적으로 익힌 아이들이 한편으로 빠릿한 순발력으로 게임도 만들고 비디오 에디팅/동영상 편집도 하고 여러 환경에 적응을 잘하지 않나싶어요. 얼마나 두뇌가 말랑말랑한지 뇌의 신경가소성- 뉴로플라스티 - 뇌가 유기적으로 자극에 잘 변화하는지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많은 경험과 생각이 필요하고 디지털에만 의존하기보다는 아이들에게 다양한 자극에 노출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비디오나 컴퓨터 앞에서만으로는 한계가 있지 않나 싶고요. 디지털 테크놀러지에 대한 이해도 물론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당나귀
    글 담아갑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옛날 글인데도 불구하고... 댓글!! 감사합니다!
    와. 딥스프링스 칼리지라는 곳 정말 독특하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877 육아/가정영국 교육 이야기 14 기아트윈스 19/10/23 5056 31
    9570 육아/가정부부 간의 갈등은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47 임아란 19/08/22 6662 31
    8732 육아/가정유발 하라리의 2050년을 대비한 자녀교육 14 풀잎 19/01/06 6250 8
    8724 육아/가정우산보다 중헌 것 5 homo_skeptic 19/01/04 5225 12
    8710 육아/가정둘째 근황 7 도라에몽 18/12/30 5165 15
    8185 육아/가정가을은 타는 가을 남자 이야기. 9 사나남편 18/09/08 5680 16
    8152 육아/가정교육과 펭귄그림 3 풀잎 18/09/01 5642 5
    7853 육아/가정엄마 배속의 아기는 아빠 목소리를 좋아한다 합니다 4 핑크볼 18/07/15 5388 2
    7789 육아/가정엉뚱발랄 콩순이를 혹시 아십니까 26 얼그레이 18/07/04 5961 5
    7781 육아/가정고부갈등을 해결해보자 - 희망편 40 기아트윈스 18/07/02 5901 54
    7689 육아/가정미국 고등학생 아이의 어느 학부모가 느끼는 일상 4 풀잎 18/06/15 4933 11
    7528 육아/가정유아용 그림 그리기 앱 추천 2 Toby 18/05/16 6803 2
    7521 육아/가정아픈 고양이 돌보기 1 이건마치 18/05/15 8134 8
    7487 육아/가정어린이날 맞이 육아이야기 3 켈로그김 18/05/05 5915 5
    7460 육아/가정예비 아빠들을 위한 경험담 공유를 해볼까 합니다. 18 쉬군 18/04/30 21385 16
    7439 육아/가정2017 어머 이건 사야 해! 18 빠른포기 18/04/26 5797 6
    7433 육아/가정나는 비 오는 아침의 엄마 9 짹짹 18/04/23 5189 33
    7413 육아/가정기차타면서 쓰는 육아후기 신생아편 17 Kurtz 18/04/20 5196 4
    7410 육아/가정아내가 내게 해준 말. 15 켈로그김 18/04/19 6504 29
    7409 육아/가정황구 출현 이틀차 소감 14 쉬군 18/04/19 5735 24
    7395 육아/가정안쓰러웠던 딸의 생일날 14 은채아빠 18/04/17 5214 18
    7331 육아/가정아기가 태어나기 전 준비물 02 48 엄마곰도 귀엽다 18/04/04 6689 13
    7329 육아/가정아기가 태어나기 전 준비물 01 17 엄마곰도 귀엽다 18/04/04 6520 17
    7118 육아/가정셀프 도배 하는 법 7 Toby 18/02/15 9497 1
    6992 육아/가정육아 - 자녀의 컴퓨터 교육에 대하여 9 Liebe 18/01/24 5989 5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