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9/26 16:07:12
Name   Liebe
File #1   5_group_comparison_by_J.K_2016.JPG (92.3 KB), Download : 6
Subject   미국내 한인 소득과 아시안 소득 비교


타임라인의

http://www.ikoreatimes.com/Article/view.aspx?p=10&q=&page=1&aid=22785&
글과 관련된 글을 읽다가 실제 미국 센서스 인구통계 데이타를 일부 정리를 해보았어요.

전체 미국 백인 소득과 중국, 필리핀, 한국, 베트남 민족에 대한 데이타를 살펴보았고요. 제 주관적인 데이타 분석입니다. :)


실리콘밸리 지역인 산타클라라 카운티와 전체 미국의 한인들의 중간 가계 소득을 비교해보았는데요.

1.실리콘밸리 지역 한인과 전체 미국 한인간의 소득격차는 10만불 vs 5 만불로 두 배 이상의 소득 격차가 나고 있고요.

반대로 산호세 지역의 한인들 인컴은 평균 가구당 연소득이 10만불 이상으로 여전히 주류 백인보다는 낮지만 다른 아시안들과는 비슷했던 것 같아요.

2. 신기한 데이타는 건강보험관련 사항에, 개인보험/정부보험(저소득층용)/보험없음 항목이 있는데요.
한국 사람들은 9%로 비교적 아시안 다른 마이너리티 그룹보다 높은 비보험률을 보였어요.

3. 개인 의견: 대부분 한국인들은 센서스 참여나 투표률이 상당히 낮습니다. 이민1세대는 영어에 대한 장벽때문에 참여하기가 쉽지 않고요. 그래서 각종 한인 커뮤니티 센터/노인회/한인회에서 투표참여나 센서스 참여에 대한 홍보로 참여를 하기 때문에, 한인들의 데이타가 실제로 잘 잡히지 않는다고 생각됩니다. 2세들이 아마 적극적으로 참여하겠지요. 또한 소득 경우에는 미전체적으로 볼 때는 비지니스에 많이 종사하는 한인들은 탈세를 많이 한다고 공공연하게 한인커뮤니티 사정에 밝은 사람들은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그런 여러복잡 미묘한 데이타에서 누락된 내용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한편으로, 이런 센서스 경우에는 실제 실리콘밸리에서는 고소득을 받는 많은 한인 엔지니어들의 유입으로 인해서 실제 샐러리 인컴이 데이타에 잡혀서 인컴이 미국 전체 한인에 비해서 비교적 높게 나오는 것 같아요.

4. 한국인들의 인구가 미국내에서 아주 작은 숫자이고 정치력은 보잘것 없습니다만...
이런 데이타들이 차곡차곡 모여서 미국내 마이너리티로 한 자리매김했으면 합니다. 이때까지 한인들은 별로 정치력을 위한 로비를 별로 하지 않았는 것 같은데, 요즘은 2세들이 많이 한인커뮤니티에도 관심을 가지기때문에 아마 좀 더 좋아질거라고 생각이 되어요.

제가 데이타들을 분석하다가 연도가 2015, 2014, 2016 데이타가 믹스되었을 오류가 있어요. 리서치용이 아니니... 실수는 감안해주세요. -_-;;
그렇지만, 원본 파일들은 엑셀로 데이타를 저장해놓았어요. 2014년 이후에는 산타클라라 카운티의 한국관련 데이타를 찾았는데, 한 번만 검색이 되고
다시 찾으니 안나와서... 처음 저장한 파일에서 복사 붙여넣기를 했어요. 어떻게 검색에서 걸렸는지 아직도 갸우뚱..




참... 이미지파일은 돋보기를 들고 보셔야할런지도...저도 노안이 왔는데..보기가 힘드네요..쿨럭..



3


    Beer Inside
    탈세는 중국인이나 베트남인이라고 해서 더 적게 할 것 같지는 않아서 그렇기는 합니다.
    물론 그렇겠지요...탈세문제는 자영업자면 어느 인종이든지 다들.... Cash Only 라고 장사는 중국인들이 더 하는 것 같기도 해요.
    탐라에도 달았지만 실리콘밸리는 인도인들이 참 무섭더군요. 마치 1.5세대 이전의 한국 사람들 처럼.. 미친듯이 일하고, 미친듯이 민폐도 끼치고, 저돌적이고.. 뭐 저의 편견이 크겠지만 비슷한 말을 여러군데서 들었습니다. 여기에 비하면 한국 사람들은 그냥 양민..
    인도인들은 북부와 남쪽에서 온 사람들 사이에 큰 차이가 있어요. 점잖은 인도사람 만나기가 어렵고...만나게되면
    나마스테 Peace가 그대로 느껴져요. 나머지 인도분들은 평판 안좋은 사람들이 많은듯...
    회사들은 인도에 아웃소싱한 것 후회해서 다시 많이 철수했다고도 하구요. 도서관에서 체스 과외를 두 선생님한테서 이어서 받던 인도애가 기억이 나요. 교육열이 대단한데 인성교육이나 남과 어울리거나 타인을 배려하는 모습이 부족한것 같은 느낌을 받을때가 있어요.

    저도 일하다보니 알게모르게 편견이 늘어나는듯..줄어야정상이지 않나요. 우리나라분들은 양반 동감해요.
    다시갑시다
    한국인 커뮤니티는 일단 숫자도 너무 적고 배타성도 심한편이라 정치적 힘을 발휘하기까지는 시간이 좀 오래 걸릴것 같아요. 숫자야 뭐 어쩔수 없지만 포용성이라도 좀 늘렸으면 좋겠는데 그것도 쉽지는 않은것 같아요. 일단 같은 동아시아인들 끼리도 은든히 연대형성을 못하니까요 ㅋㅋㅋ
    leesd86
    실리콘 밸리 사는데, 저정도 벌어도 남는게 없습니다. 집값이 워낙에 쎄서. 제 주변에도 높은 집세에 타주로 이사간 사람만 4명이 넘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26 사회픽션은 사회를 어떻게 이끄는가 (1) 13 Danial Plainview 18/04/22 5151 12
    7415 사회범죄의 세계 - 임대차보증금 대출사기 12 烏鳳 18/04/20 6837 16
    7361 사회슬라보예 지젝과 정치적 올바름 15 Eneloop 18/04/10 8021 16
    7239 사회난민에 대햐여 18 DrCuddy 18/03/15 6478 12
    7008 사회한국판 위버, 테스티노 사건. tannenbaum 18/01/27 7104 7
    6838 사회고릴라-킹무위키편- 7 하트필드 17/12/27 6882 0
    6714 사회[펌글] 국군 장병 폐렴 사망 방지를 위한 청원 7 사악군 17/12/06 5294 10
    6713 사회온라인 공간과 인간의 상호작용(상) 82 호라타래 17/12/06 8471 38
    6655 사회죄책감... 3 tannenbaum 17/11/26 5301 18
    6613 사회플랜다스의 개? 계!! 3 ArcanumToss 17/11/18 7748 2
    6554 사회성매매 청소녀의 사회화 과정 30 호라타래 17/11/08 6831 21
    6454 사회You Only lives Once 25 tannenbaum 17/10/23 4783 5
    6439 사회에이즈 진단키트 (바이오니아) 눈떠보니집 17/10/20 4912 0
    6432 사회모 배우의 강제추행 사건에 관하여 13 烏鳳 17/10/18 6261 10
    6423 사회소방복 수입이 아니라 국내에서도 생산하군요. 1 눈떠보니집 17/10/16 4937 0
    6410 사회노동부가 고용노동부에서 고용부가 되는 과정 7 DrCuddy 17/10/12 5323 0
    6385 사회언론사 기사와 댓글로 보는 한국인들의 동성애에 대한 시각과 감상평. 29 tannenbaum 17/10/07 5351 5
    6381 사회똑똑한 연합뉴스 23 tannenbaum 17/10/07 6635 1
    6344 사회미국내 한인 소득과 아시안 소득 비교 6 Liebe 17/09/26 5020 3
    6269 사회개인의 유년기 경험은 성인기 이후 세계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가족의 돌봄구조, 그리고 에스니시티를 중심으로 20 호라타래 17/09/13 6760 14
    6264 사회아이만 내려놓고 엄마 태운 채 출발한 버스…서울시 조사 착수 25 벤젠 C6H6 17/09/12 4740 0
    6213 사회청와대 청원게시판에 여성징병제 의견이 올라왔군요 280 empier 17/09/02 7290 1
    6169 사회법원 삼성 이재용 부회장 징역 5년 선고 30 empier 17/08/25 4848 0
    6147 사회노 키즈 존. 20 tannenbaum 17/08/22 5901 17
    6065 사회국회사무처에서 성추행및 횡령사건이 터졌습니다. empier 17/08/06 370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