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8/01 04:12:03
Name   April_fool
Subject   전일제 비전공자 코딩교육 업체에 대한 간단한 정리.

요새 지금 다니는 회사를 그만두고 IT 직종으로 진로를 변경해볼까 싶어서, 그 준비 작업으로 [전일제 비전공자 코딩교육]을 하는 곳을 찾아보고 있습니다. 소위 말하는 [부트 캠프](Boot camp), 또는 그와 유사하다고 여겨지는 곳들이지요. 아무래도 쌩으로 독학하는 것은 좀 많이 힘들 것 같아서 말이죠. 그래서 대충 찾아본 결과 한 3군데 정도를 알아내었습니다. 이곳들에 대해 수집한 정보들을 간단한 표로 정리하였습니다.

  팀 노바 코드스테이츠 패스트캠퍼스
(Django web programming school)
커리큘럼
  • Java
  • Android
  • PHP
  • 기타
  • Javascript
  • Node.js
  • Database
  • 기타
  • Python
  • Django
  • Javascript
  • 기타
시간 약 11개월 약 5개월 약 5개월
비용 약 670만원 약 700만원 약 420만원
특징
  • 주로 자습 위주
  • 코드 리뷰 없음
  • 질문을 특히 강조
  • 코드 리뷰
  • 페어 프로그래밍
  • 스프린트 학습
  • 백엔드 위주 강의
  • 사전 무료 기초 스터디 포함
  • 장학 제도 있음
수업인원 최대 8명 약 10명 최대 35명
1주당 수업시간 3시간 48시간 35시간


으음… 어디를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초반 테크트리(…)가 결정될 것 같은데, 고민되네요. 뭐, 어디를 선택하든 일단 정하면 빡세게 가야 한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습니다만서도… 혹시나 이런 곳에 대해 정보가 있으신 분들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굽신굽신)




0


    회색사과
    원래 전공과 현재 나이와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요??

    나이가 있는데 지금부터 코딩을 배워서 취업을 하시는게 쉽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취업은 어케든 되도 그 이후가요..)

    비유하자면... 회사 다니시다 현장에서 건축 시공을 배우는 느낌이랄까요... 노하우가 쌓이면 페이가 좋다지만 젊을 때 몸으로 배우기 시작한 것과는 몸도 다르고 익히는 속도도 다를테구요... 그렇다고 건축을 전공한 사람처럼 설계를 할 수 있는 것도 아니죠..
    회색사과
    원래 전공이 비슷하거나 젊으시거나 하고싶은 게 뚜렷하다면 그나마 좀 가능성이 있겠습니다만..
    April_fool
    원래 전공은 문헌정보학과고, 지금 나이는 만 28살입니다. 하고 싶은 것은 웹 서비스 관련인데, 솔직히 좀 막연한 편입니다.
    그리고 지금 하는 일도 뭐 설계 쪽으로, 원래 전공과는 동떨어져 있습니다. 때로는 http://redtea.kr/pb/view.php?id=timeline&no=45352 이런 것도 그리지요.
    졸려졸려
    컴싸 대학원을 가보는건 어떨까요?
    April_fool
    대학원은 제가 들어갈 능력이 못 됩니다.
    수성펜
    저거 다 국비로 할 수 있는 것 같은데 꼭 돈 주고 해야되나요?
    April_fool
    애초에 저런 곳들이 등장한 배경 중 하나가 바로 국비지원 IT교육에 대한 불만족 때문입니다. 실제로 저 중 한 곳은 대놓고 자기네들 블로그에서 국비지원 IT교육과 그것을 진행하는 학원들을 디스하고 있습니다.
    배바지
    저는 언급하신 상기 3개 학원 말고 박영만 전산학원(박컴)을 추천드립니다. 저들 가운데 손코딩이나 알고리즘부터 가르쳐 주는 곳은 박컴말곤 없습니다. 비전공자도 노력여하에 충분히 적응하실 수 있습니다. 한 달에 한 번 공개 강의도 진행을 하니까 꼭 한 번 들어보세요.
    April_fool
    추천 감사드립니다.
    졸려졸려
    전 IT도 아니고 개발자도 아니라서 아는 분야가 아니긴 한데,
    코잘잘이라서 그냥 국비교육 받으면서 자습을 열심히 하는건 어떤가요? 개발자 웨건들 있으시면 도와주세요~
    April_fool
    코잘잘이라니 뭔가 비염 걸린 듯한 느낌…
    졸려졸려
    ㅎㅎㅎ 제 옆에 계시는 에이스 개발자님께서 말씀하시길, 일단 기초가 좀 쌓인 다음에
    좀 빡세게 하려면 괜찮은 오픈소스 하나 잡아다가 처음부터 끝까지 주욱.... 따라가는게 좋다고 하네요.
    revofpla
    전직 개발자 입장에서 말해보자면
    1. DB안가르쳐주면 걸러야됩니다. DB모르면 웹앱을 시작도 하면 안됩니다.
    1-1. 근데 DB가르쳐줘도 어설프게 강의하면 걸러야합니다. 어설프게 아는 사람이 짠 SQL쿼리문이 웹에서는 극단적으로 나타납니다.
    2. 최근엔 자바스크립트가 기본입니다.
    2-1. 근데 저기서 말하는 자바스크립트가 그냥 제이쿼리 api좀 알려주는게 아닌지는 잘 알아보셔야합니다.
    2-2. 덤으로 저런 학원에서 강의와 별도로 소위 말하는 코뿔소 책 정도는 독학하셔야됩니다.
    3. 순수하게 코딩 이외에 리눅스, W... 더 보기
    전직 개발자 입장에서 말해보자면
    1. DB안가르쳐주면 걸러야됩니다. DB모르면 웹앱을 시작도 하면 안됩니다.
    1-1. 근데 DB가르쳐줘도 어설프게 강의하면 걸러야합니다. 어설프게 아는 사람이 짠 SQL쿼리문이 웹에서는 극단적으로 나타납니다.
    2. 최근엔 자바스크립트가 기본입니다.
    2-1. 근데 저기서 말하는 자바스크립트가 그냥 제이쿼리 api좀 알려주는게 아닌지는 잘 알아보셔야합니다.
    2-2. 덤으로 저런 학원에서 강의와 별도로 소위 말하는 코뿔소 책 정도는 독학하셔야됩니다.
    3. 순수하게 코딩 이외에 리눅스, WAS, 네트워크 기본(tcp/ip원리, dns의 동작원리, 망 구성 이론 등)을 부가적으로 알려주는곳이 있는지 찾아보세요. 생각보다 코딩이 잘 되어도 저런걸 몰라서 내가 뭘 해야될지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니까요.
    3-1. 저 위에 3개를 다 못 한다면 적어도 네트워크 기본은 웹개발을 하실꺼라면 배우시는게 좋습니다.
    April_fool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위에 나열된 3곳은 모두 커리큘럼에 DB나 웹서버 관련 내용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애초에 위 표는 각 업체의 차이점을 보려고 만들기 시작한 것이라, 공통되어 보이는 것들은 그냥 뺐습니다. 지금 살펴보니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언급하는 곳도 있고 별도 언급이 없는 곳도 있네요.
    二ッキョウ니쿄
    1~3번 책으로 읽으면서 볼만한 서적이 있을까요? 저도 비전공자라 책읽고 강의들어야하는데 저는 강의보다는 책을 읽는걸 선호해서요
    revofpla
    자바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 Definitive Guide"라고 표지에 코뿔소 그려진 책이 있습니다. 내용이 조금 어렵고 난해하지만 이 책을 이해하면 자바스크립트 시작은 아주 잘 하신거라 볼 수 있지않나 생각됩니다.

    DB같은 경우에는 워낙 전공서적도 많고, 기초 서적도 많아서 필요한 DBMS, 프레임워크 따라서 보시면 어떨까 싶네요. 예전에는 ibatis/mybatis를 주로 봤고, noSQL(카산드라, 코치 등...)도 조금 보고 했는데 워낙 스팩트럼도 넓고 내용도 많아서 필요할 때 마다 찾아보는게 좋습니다. 기본적인 S... 더 보기
    자바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 Definitive Guide"라고 표지에 코뿔소 그려진 책이 있습니다. 내용이 조금 어렵고 난해하지만 이 책을 이해하면 자바스크립트 시작은 아주 잘 하신거라 볼 수 있지않나 생각됩니다.

    DB같은 경우에는 워낙 전공서적도 많고, 기초 서적도 많아서 필요한 DBMS, 프레임워크 따라서 보시면 어떨까 싶네요. 예전에는 ibatis/mybatis를 주로 봤고, noSQL(카산드라, 코치 등...)도 조금 보고 했는데 워낙 스팩트럼도 넓고 내용도 많아서 필요할 때 마다 찾아보는게 좋습니다. 기본적인 SQL문법과 쿼리튜닝에 대한 책만 조금 보시고, 그 뒤는 자율적으로...

    네트워크의 경우는 최근에는 Netty책을 보긴 했는데 이 책은 바로 보기는 조금 어려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TCP/IP Protocol Suite, TCP/IP 완벽 가이드 이 3개를 추천드립니다.
    二ッキョウ니쿄
    오 감사합니다.
    컴사 분야 중 프로그래밍은 정말로.. 독학이 가성비가 제일 좋다고 생각합니다. 웹이나 교재도 정말 잘되어 있구요.
    Jannabi
    영어로 의사소통만 가능하다면 독학이 최고의 공부법이죠
    그러니 프로그래밍을 하시려면 영어학원에 다니시면 됩니다.(?)
    졸려졸려
    영어랑은 다른것 같습니다. 프로그래밍은 컴퓨터와의 대화니까요 (응?)
    물론 전 개발자도 아니고 비전공자이지 말입니다. ㅋ
    학부든 대학원과정이든 전산학과에서 프로그래밍 수업의 비중은 크지 않거든요. 프로그래밍 자체는 독학한 사람이 전공자 보다 잘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합니다.
    April_fool
    사실 지금 하고 있는 일도 더럽게 박봉에, 일 밀리면 야근에, 을도 아니고 병이나 정의 위치에, 미래가 딱히 보이지 않는 등 안 좋은 조건은 다 갖추고 있습니다. 그러나 제가 정말로 진로를 바꾸고자 하는 건 뭐랄까, 일을 하는 데 깔린 철학 같은 것이 저하고 맞지 않는다고 느꼈기 때문입니다. 적어도 개발 쪽은 그렇지는 않다고 느꼈기 때문에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는 것이고요.

    참고로 저는 중앙대 출신은 아닙니다. 그리고 MOOC에서 배우는 건 이론적인 쪽이 많을 것 같긴 한데 어떤지는 잘 모르겠네요. 하여튼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28 기타정도전 22화 2 천하대장군 15/06/06 15200 0
    6037 IT/컴퓨터전일제 비전공자 코딩교육 업체에 대한 간단한 정리. 21 April_fool 17/08/01 15103 0
    3331 IT/컴퓨터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13) 13 NULLPointer 16/07/23 15067 4
    137 기타[불판] 히오스 ASD(한국팀) VS eStar(중국팀) 골드리그 3경기 6 Leeka 15/05/31 15057 0
    2321 기타제가 재미있게 했던 오락실 게임 4탄.jpg 5 김치찌개 16/02/29 15036 0
    937 기타피시방 요금 설명과 흡연 신고 방법 11 하드코어 15/09/07 15012 0
    1237 생활체육[F1] 그 재미를 느껴보자 -6 : F1 용어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2) 8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5/10/12 14949 0
    509 영화터미네이터 2의 삭제된 엔딩... 21 Neandertal 15/07/04 14945 0
    271 기타정도전 28화 천하대장군 15/06/08 14896 0
    566 문화/예술예술가와 작품은 분리될 수 있는가? 53 Raute 15/07/11 14847 0
    5060 꿀팁/강좌[사진]어떻게 하면 사진에 잘 나올까 - 인물사진 포즈 16 사슴도치 17/03/03 14818 3
    1897 생활체육인테르 팬으로서 가장 행복했던 2009-2010 챔피언스리그 시즌을 돌아봅니다. 26 darwin4078 15/12/31 14811 3
    2592 의료/건강이부프로펜, Cyclooxygenase, 아스피린 이야기 46 모모스 16/04/11 14760 6
    520 기타장기 묘수풀이 하나 풀어보세요. (댓글에 해답 있음) 37 위솝 15/07/05 14740 0
    1150 생활체육[F1] 그 재미를 느껴보자 -2 : 깃발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8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5/10/01 14739 3
    1536 문화/예술모 웹툰의 디테일과 배경 수준 10 블랙이글 15/11/12 14722 0
    5008 꿀팁/강좌[사진]렌즈의 초점거리에 따른 원근감의 변화를 알아봅시다. - 원근 왜곡 11 사슴도치 17/02/25 14717 4
    2605 의료/건강판피린 3형제 이야기 32 모모스 16/04/13 14716 8
    1429 문화/예술F(x) 4 Walls 가사 파고들어가보기 6 王天君 15/11/02 14685 4
    111 기타이곳은 pgr21이 아닙니다. 17 아저씨 15/05/31 14662 0
    3380 댓글잠금 일상/생각메진요 67 王天君 16/07/28 14558 3
    415 기타빙빙돌아라 25 시부야린 15/06/23 14552 0
    3344 IT/컴퓨터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15) 16 NULLPointer 16/07/24 14548 3
    1005 IT/컴퓨터iPad로 paperless 생활하기. 20 베이지안 15/09/16 14525 3
    7814 스포츠[사이클] 펠로톤(Peloton)에 대하여 7 Under Pressure 18/07/09 14504 7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