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5/07/15 15:00:08 |
Name | ![]() |
Subject | 국내 유료 영상시장의 판도는? |
저는 티빙을 사용해서 TV영상들을 유료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변화가 감지된건 지난 4월부터인데요. 2015.03.28을 마지막으로 무한도전 VOD가 더 이상 업데이트가 안되더군요. 처음엔 업로드가 좀 늦어지나보다 했는데 몇주를 기다려도 계속 안올라오길래 알아보니 지상파와 CJ의 계약이 종료되었다고 합니다. 티빙은 지상파 서비스를 하지않고, 푹(POOQ)은 케이블을 서비스하지 않아 서로 지원하는 영상이 갈리는 양상이었습니다. 그리고 현재까지 계속 그 상태로 유지되어서 저는 무한도전, 마리텔을 못보고 있네요.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3515 지상파 없는 IPTV와 지상파 목매는 ‘푹’의 대결 - 모바일TV 춘추전국, 카카오까지 가세… 지상파 영향력 약화, 배타적 플랫폼 한계 티빙에서 지상파 컨텐츠가 빠졌지만 Mnet, TVN, JTBC 등의 케이블/종편 컨텐츠들이 준수하게 채워주고 있다보니 지상파 중단에 대한 고객들의 불만이 크지 않은 것 같습니다. 제 경우에도 보고싶은데 못보고 있는건 무한도전, 마리텔 뿐이라서... '마리텔' 보고싶지만... 뭐 그러면 대신 '냉장고를 부탁해' 보지 뭐. 라고 하니까요. 과거 메이저 신문 기사를 싹쓸이 해갔던 파란이, 신생 뉴미디어 매체들 기사를 서비스하는 네이버,다음에 밀렸던 상황을 다시 보고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호핀도 있었는데, 몇일전에 호핀 서비스 종료 공지가 나와서 티빙과 푹이 국내시장을 양분하는 모양새인 것 같습니다. CJ 계열의 케이블 사업자와 지상파들이 서로 힘겨루기를 하고 있는게 아닐까 예상이되는데, 그 와중에 넷플릭스는 국내 진출을 준비중입니다. http://m.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253176 국내 미디어 시장, 넷플릭스에게는 ‘꽃놀이패’ - “콘텐츠 시장 파열음에 판까지 깔아준다” 이런식의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OTT(Over The Top)라고 하나봅니다. 아마 넷플릭스 때문에 생긴 신조어겠지요. 국내 유료 스트리밍 시장이 앞으로 어떻게 정리될지 궁금하네요. 난 그냥 무도랑 마리텔을 빨리 보고 싶다고...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Toby님의 최근 게시물
|
OTT는 유럽/미국 등 해외 시장에서 TV 위에 놓는(over the top) 셋톱박스 장비를 일컫는 용어로 알고 있습니다. 예전에 짤막하게 조사를 해본 적이 있어서... -0-
한국에선 지상파/케이블 방송이 아파트 단지까지 선을 타고 오면 단지 안의 모든 가구에서 별도 장비 없이 같은 방송을 볼 수 있습니다. 지역별로 케이블 사업자가 다르고, 지방 방송사도 끼어있는 등 다른 점도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공동구매\'하듯이 쓰는 식입니다.
반면 유럽/미국에선 케이블 방송사에 가입하면 해당 사업자가 제공하는 셋톱박스를 집에 설치하... 더 보기
한국에선 지상파/케이블 방송이 아파트 단지까지 선을 타고 오면 단지 안의 모든 가구에서 별도 장비 없이 같은 방송을 볼 수 있습니다. 지역별로 케이블 사업자가 다르고, 지방 방송사도 끼어있는 등 다른 점도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공동구매\'하듯이 쓰는 식입니다.
반면 유럽/미국에선 케이블 방송사에 가입하면 해당 사업자가 제공하는 셋톱박스를 집에 설치하... 더 보기
OTT는 유럽/미국 등 해외 시장에서 TV 위에 놓는(over the top) 셋톱박스 장비를 일컫는 용어로 알고 있습니다. 예전에 짤막하게 조사를 해본 적이 있어서... -0-
한국에선 지상파/케이블 방송이 아파트 단지까지 선을 타고 오면 단지 안의 모든 가구에서 별도 장비 없이 같은 방송을 볼 수 있습니다. 지역별로 케이블 사업자가 다르고, 지방 방송사도 끼어있는 등 다른 점도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공동구매\'하듯이 쓰는 식입니다.
반면 유럽/미국에선 케이블 방송사에 가입하면 해당 사업자가 제공하는 셋톱박스를 집에 설치하고 tv에 연결하면 그 박스까지 타고 온 방송을 tv로 볼 수 있습니다. 최근엔 넷플릭스, 훌루, 애플tv 등이 셋톱박스 시장에 진출했고요.
한국에선 케이블 업체 시장이 크지 않다보니 ott, 셋탑박스 시장이 활성화되지 않았는데 최근에 iptv가 도입되서야 시장이 좀 커지고 있습니다(케이블 채널의 프로그램 질이 좋아진 이유도 있고, 유료 컨텐츠에 대해 지갑을 열기 시작한 것도 있고요). 국내에도 셋톱박스 제조업체가 있는데, 이런 이유로 해외 수출 물량이 훨씬 많습니다.
아무튼... 넷플릭스는 원래 dvd 대여업을 하던 업체인데 여기까지 오다니 놀랍습니다. 미국 땅덩이가 커서 그런지 성장세가 무섭네요 -0-
한국에선 지상파/케이블 방송이 아파트 단지까지 선을 타고 오면 단지 안의 모든 가구에서 별도 장비 없이 같은 방송을 볼 수 있습니다. 지역별로 케이블 사업자가 다르고, 지방 방송사도 끼어있는 등 다른 점도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공동구매\'하듯이 쓰는 식입니다.
반면 유럽/미국에선 케이블 방송사에 가입하면 해당 사업자가 제공하는 셋톱박스를 집에 설치하고 tv에 연결하면 그 박스까지 타고 온 방송을 tv로 볼 수 있습니다. 최근엔 넷플릭스, 훌루, 애플tv 등이 셋톱박스 시장에 진출했고요.
한국에선 케이블 업체 시장이 크지 않다보니 ott, 셋탑박스 시장이 활성화되지 않았는데 최근에 iptv가 도입되서야 시장이 좀 커지고 있습니다(케이블 채널의 프로그램 질이 좋아진 이유도 있고, 유료 컨텐츠에 대해 지갑을 열기 시작한 것도 있고요). 국내에도 셋톱박스 제조업체가 있는데, 이런 이유로 해외 수출 물량이 훨씬 많습니다.
아무튼... 넷플릭스는 원래 dvd 대여업을 하던 업체인데 여기까지 오다니 놀랍습니다. 미국 땅덩이가 커서 그런지 성장세가 무섭네요 -0-
종료시점은 12월이라고 하네요.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156086
티빙에서는 예능 프로 한편당 700원~1000원 정도 단가인데요.
무제한 상품을 이용하긴 하지만, 제 경우는 많이 보지 않아서 가끔 무제한 상품 대신 건당 결제로 보기도 합니다.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156086
티빙에서는 예능 프로 한편당 700원~1000원 정도 단가인데요.
무제한 상품을 이용하긴 하지만, 제 경우는 많이 보지 않아서 가끔 무제한 상품 대신 건당 결제로 보기도 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