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6/30 13:02:23
Name   여름 소나기 후
Subject   급식소 파업과 도시락
오늘 급식소 파업이라 도시락 싸야한다. 많은 인원이 모두 학교 밖에서 사먹기 힘드니까 애들한텐 전부 밥을 싸오라고 했다. 아침에 도시락 검사 한다고 했다. 라면 가져온 애들도 있고, 오니기리나 김밥 사온 애들도 있고, 직접 싸온 애들도 10명 정도 있었다. 도시락 통 들어올려 검사 받는 모습이 귀여웠다.

옛날에 도시락 싸서 책가방 옆에나 위에 넣고 다니던게 생각난다. 중학교 때 교실에서 아님 밖에서 2교시 끝나고 먹던 기억. 그리고 점심 땐 애들꺼 같이 먹고 운동장에서 농구만 했던 기억. 초등학교 때도 언제부턴가 점심을 쌌던거 같다. 애들은 모두 고기랑 소세지 반찬 싸올 때 나만 만날 김치랑 멸치 같은거만 있어서 내 반찬은 두고 교실을 돌아다니며 애들 반찬을 같이 먹었었다. 맛있는거 많이 싸오던 애들 반찬은 뚜껑 열자마자 젓가락 전투가 벌어지고 승자들만 소세지를 먹었다.  그 때는 반찬에 불평이 많았는데 내가 그걸 엄마한테 말했는지 기억이 안난다. 아마 집에서는 투정이 없던거 같다. 가끔 반찬 많이 안먹고 가져올 땐 엄마가 뭐랑 먹었냐고 물었던 기억은 난다. 엄마는 그 때 아침마다 누나들꺼랑 내꺼 도시락을 3개나 싸야 했고, 누나들이 고등학생이 되고는 저녁 도시락까지 쌌으니까 보통 힘든 일이 아니었을거다. 여러 반찬을 싸야 하니까 늘 고기나 소세지를 마련하기도 힘들었겠지. 그래서 언젠가 집에서 돈까스를 직접 만들었다. 누나들이랑 다같이 모여서 고기에 계란이랑 밀가루 묻히고 빵가루 찍어서 봉지에 담아 냉동실에 보관했다. 그걸 종종 꺼내서 후라이팬에 달궈 도시락에 넣었었다. 그 때도 나는 그걸 잘 먹지 않았다. 물론 돈까스가 반찬인 날엔 다른 아이들이 평소 반찬통 꺼내던 자랑스러운 마음은 조금 들었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직접 만든 돈까스가 더 질도 좋고 맛있지만, 그 때는 집에서 만든 반찬이 창피했다. 집에 돈이 없어서 파는 소세지나 동그랑땡 반찬을 못 싸오는거 같아 보일까봐 싫었다. 그리고 엄마는 사다가 싸주는 반찬이 싫다고 했는데 난 그 말이 싫었다. 나도 한번이라도 비엔나 소세지가 들어있는 반찬통을 자랑스럽게 열고 싶었다. 그리고 내 반찬을 먹기 위해 전투를 벌이는 아이들을 보고싶었다. 그런데 정말 절대 비엔나 소세지나 공산품 반찬은 한번도 없었다. 내 반찬통은 언제나 관심 없는 변두리에 꺼냈고, 애들도 가끔 김치가 먹고싶을 때만 먹었다. 자라면서 큰누나가 분홍색 소세지를 좋아한다는걸 알았다. 다 커서는 가끔 마트에 같이 가서 그런 얘기 하면서 사다가 먹기도 했지만, 아마 누나는 친구들이 싸올 때 먹던 그 소세지 맛이 평생 남아서 그런걸꺼다.

오늘 엄마는 친구분들과 여행을 가셔서 도시락 싸달라고 말을 못했다. 아마 내일이나 모레에 오시겠지만. 오늘 만약 엄마가 도시락을 싸주셨다면 옛날과 같을 것이다. 집에서 만든 애호박 볶음이나 마늘과 멸치 볶음, 그리고 김치가 반찬이었을거다. 점심을 싸오지 못한 오늘 왠지 그 도시락이 그립다. 아주 맛있게 잘 먹었을텐데.



5
  • 으왕 글잘쓰신당..
  • 춫천


다람쥐
저는 급식과도기에 학교를 다녀 급식->도시락->급식 테크를 탔습니다
중딩때 도시락이었는데 한부모가정이나 기초수급자는 배달 도시락이 따로 와서 누가 지원대상인지 모두가 알 수 있었어요. 근데 아이들이 쟤가 못산다고 놀리지는 않았지만 우리집도 쟤네집보다 어려운거같은데 왜 나는 못받냐고 항의를 했던 생각이 나네요 ㅎㅎ
고딩때는 급식차가 교실로 오는 방식이었는데 급식비 하루만 늦어도 급식차에 식판 개수를 미납자꺼만큼 빼고 와서 밥 못먹게 하고, 생선도 딱 납부자 명수만큼만 세서 줬어요 ㅋㅋ 친구들이 같이먹게해줘서 한식판에 두... 더 보기
저는 급식과도기에 학교를 다녀 급식->도시락->급식 테크를 탔습니다
중딩때 도시락이었는데 한부모가정이나 기초수급자는 배달 도시락이 따로 와서 누가 지원대상인지 모두가 알 수 있었어요. 근데 아이들이 쟤가 못산다고 놀리지는 않았지만 우리집도 쟤네집보다 어려운거같은데 왜 나는 못받냐고 항의를 했던 생각이 나네요 ㅎㅎ
고딩때는 급식차가 교실로 오는 방식이었는데 급식비 하루만 늦어도 급식차에 식판 개수를 미납자꺼만큼 빼고 와서 밥 못먹게 하고, 생선도 딱 납부자 명수만큼만 세서 줬어요 ㅋㅋ 친구들이 같이먹게해줘서 한식판에 두끼 받다가 (그마저도 밥 국 김치만.) 영양사쌤 다른 쌤들한테 걸리면 엄청 혼나고 그랬는데, 그땐 혼나면서도 그게 당연한줄알았지만 지금 생각하면 황당해요. 안먹는날꺼 환불해줄것도 아닌데 못먹게하다니 ㅠㅠ
이 대란에 학생들은 어떻게 하나 걱정이네요
저때부터 지금까지 급식이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되었다는 생각을 합니다..
시커멍
오세훈이가 설칠 때부터 해본 생각인데
급식이요, 아이들 기본권입니다.
부자집 아이든, 가난한 집 아이든 모두가 즐겁게 먹어야해요.
선별적 어쩌고 하는 거 다 어른들의 개소리에요.
야구빳따들고 설치는 거 가르친 거 다 어른이구요,
마을이 해체되고 핵가족화되서 어른이 어른 노릇하는 거 못배우고 사는 시대에요. 그런 어른들에게 아이들이 꼰대라 하고요.
우리의 아이들에게 먹는 거 가지고 꼰대질하면 안돼요
파란아게하
계란후라이, 삶은계란, 계란찜, 이렇게 싸 갖고 다니면서
'야임마 계란이 완전식품인거 모르냐' 하던 기억나네요.
도시락 맛있었습니다.
춫천.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887 7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2 + 흑마법사 25/04/22 86 7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452 1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653 25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654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546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544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548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1 kaestro 25/04/19 682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27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086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44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634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51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46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275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661 10
15383 일상/생각평범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 1 큐리스 25/04/15 580 8
15382 음악[팝송] 테이트 맥레이 새 앨범 "So Close To What" 김치찌개 25/04/14 144 0
15381 IT/컴퓨터링크드인 스캠과 놀기 T.Robin 25/04/13 538 1
15380 역사한국사 구조론 9 meson 25/04/12 853 4
15379 오프모임날이 좋아서... 날이 좋지 않아서... 5/4 난지도벙 13 치킨마요 25/04/11 948 3
15378 스포츠90년대 연세대 농구 선수들이 회고한 그 시절 이야기. 16 joel 25/04/11 1137 8
15377 일상/생각와이프가 독감에걸린것 같은데 ㅎㅎ 2 큐리스 25/04/10 603 11
15376 일상/생각지난 일들에 대한 복기(직장내 괴롭힘에 대한 판단) 3 셀레네 25/04/10 901 5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