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3/25 02:29:13
Name   왈츠
Subject   오래 전 이니그마를 듣다가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2


    은머리
    전 문득 영화 <숙희>가 생각났어요. 이 영화 아세요? 내용이 굉장히 흥미로운데..음 제가 일단 이해를 돕기 위한 링크를 드릴게요.
    http://blog.naver.com/fkdnf0808/220061561968

    오늘 이 리뷰를 읽고 아차!했어요. ( http://blog.dau... 더 보기
    전 문득 영화 <숙희>가 생각났어요. 이 영화 아세요? 내용이 굉장히 흥미로운데..음 제가 일단 이해를 돕기 위한 링크를 드릴게요.
    http://blog.naver.com/fkdnf0808/220061561968

    오늘 이 리뷰를 읽고 아차!했어요. ( http://blog.daum.net/beijingslowwalk/16155156 )
    숙희가 전신이 마비된, 극도로 금욕적인 윤교수를 섹스떼라피를 통해 치유한 건(이게 의학적으로 말이 되는지는 차치하고) 그 파격성이야 어떻든 병을 고쳐주고 싶은 엄마같은 마음을 내포한 거잖아요. 그런데 윤교수가 완전히 회복을 되찾고 나서 숙희를 미친듯이 찾아 나서요. 그리곤 분노하며 겁탈해요. 왜 그랬냐고 절규하면서요. 전 좀전까지만 해도 그런 윤교수의 행동이 너무 폭력적이어서 싫었거든요.

    그런데 양진석의 영화리뷰를 읽고 기억을 되살려보니 윤교수의 몸 위에 올라 타 정사를 시작하며 그의 신경을 일깨워주겠노라 무모하게 시도한 숙희의 행위는, 성에 대해 결벽증적으로 윤리적인 가치를 고수하는 윤교수에게는 치유가 아니고 겁탈이었던 거예요. 당시 눈을 부릅뜨고 그 속수무책인 상황을 벗어나려고 하지만 전신이 마비되어 아무것도 할 수가 없었거든요.

    이걸 남녀입장을 바꿔 생각해보니 이해가 가지 않는 건 아닌데 아니 뭐 그렇다고 지난날엔 교수로서 여대생의 유혹을 단칼에 잘라내던, 날카롭고 고고하던 정신의 사나이가 지저분한 게임을 즐기는 캐릭터로 돌연 변신해 버린 건 이해가 안 가더라고요. (아니 이거 좀 친숙한 그림이기는 하네요. 성폭력의 트라우마를 겪은 이들이 자신의 몸을 소중히 하지 않게 되기도 하는..그치만 그런 성폭력은 누군가가 간호를 목적으로 접근한 게 아니라 글자그대로 성폭력이잖아요.)

    사실 극도의 금욕주의는 보편적 욕망을 찍어누르며 압박하는 만큼 오히려 폭력의 양분이 될 수도 있음을 이해못하는 바는 아닌데 그 교수의 평소행실은 부부간의 그로테스크한 섹스리스 라이프를 제외하고는 상당히 정상이었어요. 여대생이 교수에게 육탄으로 공격해 오는 걸 면박주는 게 무슨 대단한 금욕주의도 아니잖아요. 상식이지. 숙희를 미친듯이 수색하고 그녀를 발견하자 마자 마구 패는데 전 너무너무 이해가 안 가더라고요. 비록 숙희가 전신마비인 그를 '겁탈?'하긴 했지만 그건 순전히 윤교수를 치유해주고 싶은 순진한 마음의 발로였거든요. 그걸 이해 못하고 그녀를 '자신을 더럽힌 종자'취급을 하다니. 고고한 척 깨끗한 척 할 때 이미 알아봤어야 하는 건지.
    二ッキョウ니쿄
    근데 그냥 치환하자면 첫 섹스부터 익숙해지기까지 여성은 고통을 수반하니까 내가 잘 느낄수 있게 미리 해줄게 라며 강간하는 남성..의 의도도 숙희랑 다를게뭔가 생각이드네요. 그러면 가해자 찾아가 줘패는것도 이해가..
    은머리
    그런 주장이 나올 거라고 예상했어요. 그게 틀린말은 아닌데 이게 맥락을 보면 경우에 따라 이해가 충분히 되거든요. 영화를 보셔야 되는데 숙희의 무지와 순진함에 비해 윤교수의 폭력은 정당하기보다 지나치게 폭력적이었어요. 이 영화는 남녀를 치환해놓고 무기력한 상태에서 나의 윤리관에 반하여 관계를 당하는 사람의 심리를 묘사한 영화가 전혀 아니에요. 윤교수는 왜 그랬냐 불같이 화를 내면서 그녀를 겁탈함과 동시에 사회적으로는 그렇고 그런 더러운 종자로 전락하고 말아요. 이건 나의 윤리관을 배반한 숙희, 그녀의 행위로 인한 트라우마때문이라고 설명하기엔 엄청 조악하고요. 일단 영화를 보시는 걸로 ㅋㅋ.
    二ッキョウ니쿄
    그렇군요~ 역시 영화를 보고말해야ㅎㅎ윤교수나빴네..
    영화를 보지 않아서... 그렇지만 리뷰에 언급된 것으로만 한정하여 판단하자면 관계의 일방성과 쌍방성에 관한 내용인가 싶은데 그렇다면 ' 숙희에게는 모성적인 연민이 있었다' ' 교수가 깨어난 후 너무 찌질하게 변해버리고 그래서 니가 더 나뻐' 이건 좀 아닌 것 같고


    '숙희'와 정확하게 성 역할만 바뀌고 직업이라든가 거의 모든게 유사한 내용의 영화로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의 영화 talk to her 가 생각나네요. 아주 괜찮은 영화인데 한번 보세요. 저도 '숙희' 보고 뭔가 할 말이 생기면 첨가할게요.


    http://naver.me/FaxLB9g0
    https://youtu.be/Y_5xYpN9Pwc
    "Hable con ella" Rosario Flores
    은머리
    오오.. 뭔가 비슷비슷하면서도 아주 다른 내용이네요. 이 스페인 영화의 주제가 '사랑'이라면 <숙희>는 전혀 사랑이 아니라.. 숙희의 알쏭달쏭한 희생과 무모한 모성애는 꽤 호기심을 자극하는데 남성캐릭터는 많이 작위적이더라고요.
    소라게
    알지 못하던 뮤지션이었는데, 글 읽고 들어보니 좋네요. 몇몇 영상도 묘하게 빨려드는 매력이 있고요. 덕분에 유튜브에서 한참 찾아봤습니다. 글도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진저에일
    여성보컬 목소리가 꽤 관능적이네요. 뭔가 베드씬 장면에 깔리는 음악 같기도 하고요.ㅋㅋ 이니그마 곡 중에 예전에 MTV에서 Beyond the Invisible 뮤비 나오면 채널 고정하고 넋놓고 봤었어요. 몽환적이고 아름답고 지금 들어도 좋네요. 이 곡이랑 Return to Innocence만 접해서 그런가 명상음악 그룹 이미지가 있었어요. ㅎㅎ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3060 7
    15439 일상/생각사람도 최신 패치를 잘 해야겠습니다. (특별출연 유시민) 18 + 닭장군 25/05/14 915 8
    15438 일상/생각난 동물원에 있는 것인가? 4 큐리스 25/05/14 426 2
    15437 정치민중당, 정의당, 민주노동당. 11 마키아토 25/05/12 1023 20
    15436 정치이준석의 일갈 26 당근매니아 25/05/12 1550 0
    15435 문화/예술쳇가씨 기성작가 문체모사 - AI시대 바둑의 기풍 3 알료사 25/05/12 328 2
    15434 일상/생각사진 촬영의 전문성을 인정하자는 것. 12 메존일각 25/05/11 733 17
    15433 사회중대재해처벌법은 악법인가 30 당근매니아 25/05/08 1446 24
    15432 방송/연예백종원 사태에 대한 생각 16 Daniel Plainview 25/05/07 1565 20
    15431 정치덕수옹은 대체.. 16 Picard 25/05/06 1820 0
    15430 방송/연예2025 걸그룹 2/6 15 헬리제의우울 25/05/05 668 16
    15429 음악오늘 유난히도 다시 듣게 싶어지는 곡들 이이일공이구 25/05/05 496 0
    15427 육아/가정광명역에서 세 번의 목요일, 그리고 어머니 22 그런데 25/05/05 796 50
    15426 정치운석은 막을 수 없다: 정상성(Normality)의 관점에서 8 meson 25/05/05 733 13
    15425 정치내각제와 대법원 4 당근매니아 25/05/04 636 13
    15424 정치한국현대사에 파시즘 정권이 존재했는가? 10 meson 25/05/04 609 2
    15423 스포츠[MLB] 김혜성 LA 다저스 콜업 김치찌개 25/05/04 329 0
    15422 정치당연히 이재명이겠거니 하는 공유된 태도 29 명동의밤 25/05/03 2276 19
    15421 일상/생각옛생각에 저도 suno로 하나 만들어봤어요. 1 큐리스 25/05/02 552 0
    15420 정치양비론이 가소로워진 시대 1 meson 25/05/01 834 11
    15419 게임(ChatGPT게임) 2025 콘클라베 - 루이스 안토니오 타글레 시뮬레이션 똘빼 25/05/01 407 0
    15418 도서/문학백종원과 신창섭 사이에는 무슨 관계가 있을까? 2 구밀복검 25/05/01 788 6
    15417 정치오늘의 일에 부쳐 영원한웬디 25/05/01 670 3
    15416 오프모임서양근대사 세미나에 참여하실 회원을 모집합니다 3 영원한웬디 25/05/01 607 1
    15415 창작탐라를 지키는 100명의 회원들 MV 13 수퍼스플랫 25/05/01 711 1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