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7/02/05 22:05:35 |
Name | Raute |
Subject | 컨택트 보고 왔습니다 |
스토리에 대한 얘기는 시놉시스에서 다루는 범위를 조금이라도 넘어가면 치명적인 스포일러가 될 거 같아서 그에 대한 얘기는 안 하겠습니다. 외계와의 조우라는 주제를 매우 잘 살려냈는데 본디 SF라는 게 한 발짝 나아가면 호러가 될 수 있는 거잖아요? 작정하고 호러 영화로 만들었어도 괜찮았을 정도로 긴장감을 고조시킵니다. 초반에 너무 쫄깃한 나머지 중후반에 서사를 이어가는 과정에서 다소 늘어지는 게 아닌가 싶을 정도. 복잡한 스토리지만 작품 내에서 충분히 잘 풀어서 이해하는데 그리 어려움이 없는 수준이며, 영상미와 음악 역시 훌륭하게 어우러져 SF 영화에 기대하는 것들을 충분히 잘 표현해내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럼에도 아쉬운 점을 꼽자면 중후반에 위기를 맞이하고 해소하는 과정이 설득력이 좀 부족해보이긴 하더군요. 저는 원작소설을 읽지 않아서 영화 끝나자마자 서점으로 갔는데 막상 책을 집어보니 비주얼의 공백을 텍스트만으로 극복하는 게 쉽지 않더군요. 비주얼 뿐만 아니라 서사 역시 살을 덧댄 부분이 많다보니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원작을 읽었을 때의 느낌도 좀 들었고요. SF로는 소설의 완성도가 대단하긴 하던데 글쎄요, 영화로 접한 분들에게는 원작이 크게 메리트 없지 않을까 합니다. 반대로 원작 팬들은 영화에 꽤나 실망할 거 같고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Raute님의 최근 게시물 |
이번 컨택트는 별로네요.
초반 30분도 안 돼서 주인공이 미래를 기억한다는 걸 눈치채 버렸습니다. -_-;
외계인에 대한 신비감도 없었고요.
왜냐하면... 평소에 외계인에 대한 상상력은 이제 바닥이 나서 별다를 게 없다 싶었는데 역시나 외계인이 그냥 펑퍼짐한 거대 우주선에 타고 있고 인간과 의사소통을 좀 시도하다가 떠난다는 내용에서 더 나아갈 게 없겠다 싶었고(미리 김샜고)... 그리고 이런 생각을 뛰어넘는 반전도 없었죠.
게다가 인류가 가진 물리학적 지식도 블랙홀, 웜홀, 시간 여행 개념에 머무르고 있어서 더이상 풀어낼 '... 더 보기
초반 30분도 안 돼서 주인공이 미래를 기억한다는 걸 눈치채 버렸습니다. -_-;
외계인에 대한 신비감도 없었고요.
왜냐하면... 평소에 외계인에 대한 상상력은 이제 바닥이 나서 별다를 게 없다 싶었는데 역시나 외계인이 그냥 펑퍼짐한 거대 우주선에 타고 있고 인간과 의사소통을 좀 시도하다가 떠난다는 내용에서 더 나아갈 게 없겠다 싶었고(미리 김샜고)... 그리고 이런 생각을 뛰어넘는 반전도 없었죠.
게다가 인류가 가진 물리학적 지식도 블랙홀, 웜홀, 시간 여행 개념에 머무르고 있어서 더이상 풀어낼 '... 더 보기
이번 컨택트는 별로네요.
초반 30분도 안 돼서 주인공이 미래를 기억한다는 걸 눈치채 버렸습니다. -_-;
외계인에 대한 신비감도 없었고요.
왜냐하면... 평소에 외계인에 대한 상상력은 이제 바닥이 나서 별다를 게 없다 싶었는데 역시나 외계인이 그냥 펑퍼짐한 거대 우주선에 타고 있고 인간과 의사소통을 좀 시도하다가 떠난다는 내용에서 더 나아갈 게 없겠다 싶었고(미리 김샜고)... 그리고 이런 생각을 뛰어넘는 반전도 없었죠.
게다가 인류가 가진 물리학적 지식도 블랙홀, 웜홀, 시간 여행 개념에 머무르고 있어서 더이상 풀어낼 '썰'도 없죠.
그래서 인터스텔라의 경우도 그 지식 안에서 할 수 있는 꼼수들을 찾아내고 스캐일을 크게 해서 다양한 시도를 한 정도죠.
물론 그 시도가 상당히 괜찮아서 인터스텔라의 경우는 성공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나온 컨택트는 처음부터 주인공이 미래를 기억하고 있다는 것을 눈치챌 수 있었고 외계인에 대한 상상력과 방문 목적에 대한 상상력도 빈곤하기 짝이 없었습니다.
그들의 방문 목적 자체가 영화 전체를 지지하는 대들보였는데 그 대들보가 결국 3000년 내로 인류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대사 한 마디에 불과했죠.
주인공 한 명을 위해 거대 우주선 12대가 전세계에 방문했고 그 한 마디를 듣기 위해 폭동과 전쟁이 일어날 것을 감내해야 하는 지구인들의 입장.
영화의 스토리 자체가 너무 엉성했습니다.
앞으로의 SF는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태양계 내의 행성과 위성을 탐사하는 기술을 개발해서 끝내는 외계 생명체를 찾아내는 것이 오히려 낫다고 봅니다.
이를테면 유로파의 얼음층 밑에서는 주기적인 화산 활동이 있어서 그 얼음층을 뚫고 들어가서 생명체를 찾아낸다든가 그 생명체를 진화시킨다든가 하는.
아니면 광속을 초월할 수 있는 기술 후보(얼마전에 게시판에도 올라 왔던 버블워프 항법?)가 있으니 그 기술에 대해서 이론적으로는 비밀을 풀지 못했지만 어쨌든 가능하다는 것을 전제(물론 그 기술을 분석하다가 광속을 뛰어넘을 수 있음을 암시하는 방정식이 발견되어야 개연성이 있겠죠)로 몇 백 광년 밖의 지구와 닮음꼴 행성에 첫발을 내딛고 거기서 생명체를 발견한다거나 하는 내용이 어떨까 하네요.
아니면 진공에너지의 비밀, 멀티버스로의 여행, 우주의 바깥에 대한 이야기 같이 신선한 떡밥(소재)을 써먹지 않으면 하품 나오는 SF만 나올까 걱정(?)됩니다.
차라리 아이언맨 같은 게 훨씬 소재가 좋죠.
로봇 슈트를 입으면 나도 초능력자가 될 수 있다... 얼마나 현실적(?)인가요. ^^
초반 30분도 안 돼서 주인공이 미래를 기억한다는 걸 눈치채 버렸습니다. -_-;
외계인에 대한 신비감도 없었고요.
왜냐하면... 평소에 외계인에 대한 상상력은 이제 바닥이 나서 별다를 게 없다 싶었는데 역시나 외계인이 그냥 펑퍼짐한 거대 우주선에 타고 있고 인간과 의사소통을 좀 시도하다가 떠난다는 내용에서 더 나아갈 게 없겠다 싶었고(미리 김샜고)... 그리고 이런 생각을 뛰어넘는 반전도 없었죠.
게다가 인류가 가진 물리학적 지식도 블랙홀, 웜홀, 시간 여행 개념에 머무르고 있어서 더이상 풀어낼 '썰'도 없죠.
그래서 인터스텔라의 경우도 그 지식 안에서 할 수 있는 꼼수들을 찾아내고 스캐일을 크게 해서 다양한 시도를 한 정도죠.
물론 그 시도가 상당히 괜찮아서 인터스텔라의 경우는 성공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나온 컨택트는 처음부터 주인공이 미래를 기억하고 있다는 것을 눈치챌 수 있었고 외계인에 대한 상상력과 방문 목적에 대한 상상력도 빈곤하기 짝이 없었습니다.
그들의 방문 목적 자체가 영화 전체를 지지하는 대들보였는데 그 대들보가 결국 3000년 내로 인류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대사 한 마디에 불과했죠.
주인공 한 명을 위해 거대 우주선 12대가 전세계에 방문했고 그 한 마디를 듣기 위해 폭동과 전쟁이 일어날 것을 감내해야 하는 지구인들의 입장.
영화의 스토리 자체가 너무 엉성했습니다.
앞으로의 SF는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태양계 내의 행성과 위성을 탐사하는 기술을 개발해서 끝내는 외계 생명체를 찾아내는 것이 오히려 낫다고 봅니다.
이를테면 유로파의 얼음층 밑에서는 주기적인 화산 활동이 있어서 그 얼음층을 뚫고 들어가서 생명체를 찾아낸다든가 그 생명체를 진화시킨다든가 하는.
아니면 광속을 초월할 수 있는 기술 후보(얼마전에 게시판에도 올라 왔던 버블워프 항법?)가 있으니 그 기술에 대해서 이론적으로는 비밀을 풀지 못했지만 어쨌든 가능하다는 것을 전제(물론 그 기술을 분석하다가 광속을 뛰어넘을 수 있음을 암시하는 방정식이 발견되어야 개연성이 있겠죠)로 몇 백 광년 밖의 지구와 닮음꼴 행성에 첫발을 내딛고 거기서 생명체를 발견한다거나 하는 내용이 어떨까 하네요.
아니면 진공에너지의 비밀, 멀티버스로의 여행, 우주의 바깥에 대한 이야기 같이 신선한 떡밥(소재)을 써먹지 않으면 하품 나오는 SF만 나올까 걱정(?)됩니다.
차라리 아이언맨 같은 게 훨씬 소재가 좋죠.
로봇 슈트를 입으면 나도 초능력자가 될 수 있다... 얼마나 현실적(?)인가요. ^^
억.. 눈치가 대단하십니다. 전 아이 잃은 아픔을 가진 여자구나.. 크흡 ㅜㅜ 이러고 보다가 나중에 가서야 '머야? 안 태어난 아이였어?'...이러고 김이 좀 샌 쪽입니다.
아픈 미래라도 선택한다는 것에 우신 분들도 많다고 하는데 ;;; 저한텐 그냥 지금 만나러 갑니다 2탄...
사람마다 보는 포인트가 다르겠지요.
저는 번역/글로 먹고 살아서 그런지... 외계어에 언어학적으로 접근하는 게 좀 흥미로웠습니다.
물론 좀 짧은 과정이긴 했지만;; 시간 개념이 다른 언어를 배우면, 그에 따라 사고 체계가 달라진다? 눈이 ... 더 보기
아픈 미래라도 선택한다는 것에 우신 분들도 많다고 하는데 ;;; 저한텐 그냥 지금 만나러 갑니다 2탄...
사람마다 보는 포인트가 다르겠지요.
저는 번역/글로 먹고 살아서 그런지... 외계어에 언어학적으로 접근하는 게 좀 흥미로웠습니다.
물론 좀 짧은 과정이긴 했지만;; 시간 개념이 다른 언어를 배우면, 그에 따라 사고 체계가 달라진다? 눈이 ... 더 보기
억.. 눈치가 대단하십니다. 전 아이 잃은 아픔을 가진 여자구나.. 크흡 ㅜㅜ 이러고 보다가 나중에 가서야 '머야? 안 태어난 아이였어?'...이러고 김이 좀 샌 쪽입니다.
아픈 미래라도 선택한다는 것에 우신 분들도 많다고 하는데 ;;; 저한텐 그냥 지금 만나러 갑니다 2탄...
사람마다 보는 포인트가 다르겠지요.
저는 번역/글로 먹고 살아서 그런지... 외계어에 언어학적으로 접근하는 게 좀 흥미로웠습니다.
물론 좀 짧은 과정이긴 했지만;; 시간 개념이 다른 언어를 배우면, 그에 따라 사고 체계가 달라진다? 눈이 뜨인다? 머, 그런 것에 대한 어렴풋한 환상도 나름 가지고 있었던 터라... 여자 주인공을 통해 감독이 새로운 걸 연출하나 싶었는데...그건 아니었고요.
저도 총평은.. 기억날만한 영화는 아니겠다.. 정도입니다. 아마 2년 정도 있다가 누가 컨택트 봤어? 그러면 조디 포스터 떠올릴듯해요.
아픈 미래라도 선택한다는 것에 우신 분들도 많다고 하는데 ;;; 저한텐 그냥 지금 만나러 갑니다 2탄...
사람마다 보는 포인트가 다르겠지요.
저는 번역/글로 먹고 살아서 그런지... 외계어에 언어학적으로 접근하는 게 좀 흥미로웠습니다.
물론 좀 짧은 과정이긴 했지만;; 시간 개념이 다른 언어를 배우면, 그에 따라 사고 체계가 달라진다? 눈이 뜨인다? 머, 그런 것에 대한 어렴풋한 환상도 나름 가지고 있었던 터라... 여자 주인공을 통해 감독이 새로운 걸 연출하나 싶었는데...그건 아니었고요.
저도 총평은.. 기억날만한 영화는 아니겠다.. 정도입니다. 아마 2년 정도 있다가 누가 컨택트 봤어? 그러면 조디 포스터 떠올릴듯해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