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7/02/04 19:07:05 |
Name | 뜻밖의 |
Subject | (팟캐스트) 주진형의 경제, 알아야 바꾼다 |
요즘 팟캐스트 듣는 재미로 간간이 듣고 있습니다. 예전부터 누군가 소개하지 않을까 했는데... 아무도 안하시길래..ㅎㅎ 손혜원 의원이 진행하고 주진형씨가 이야기하는 형태입니다. 시리즈 중간 (7회네요)에서는 객원으로 김상조 교수가 함께 나옵니다. 주진형씨는 (아는 분들 다 아시겠지만) 한화증권에서 일할 때,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냈으며, 최순실 국정조사 때 참고인으로 삼성측으로 압박 받은 것을 증언한 바 있습니다. 저는 경영진으로 얼마전까지 뛰던 사람이 현재의 경제 문제를 어떻게 인식할까가 궁금해서 듣기 시작했습니다.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주진형의 경제에 대한 관점은 좌쪽은 아닌 것 같습니다. 유툽에선 어느 채널이 정식 채널인지 모르겠어서 계속 업데이트 되는 것 같은 채널 얻어왔습니다. 2
|
장하준씨 책은 주류 경제학 시각과는 좀 거리가 있지요. 정치경제에 가깝습니다. 그래도 좋은 저자는 맞구요. 일단 최소한의 기본기를 익히셨으니...앞으로 대략 두 세 개 길 중 하나를 골라가시면 될텐데요.
1. 주류경제학의 개념 정리를 더 해서 시사상식적인 측면을 강화: 매일경제신문의 박유연 기자가 쓴 경제지식의 힘/금융지식의 힘 시리즈가 유명하진 않은데 꽤 괜찮은 책입니다. 이러면 기본 상식은 거의 끝이고 그 다음부터는 경제신문과 좋은 경제학 신간 서적(교과서 보다는 주장이 있는 책 위주)을 취향에 따라 보면서, 몇몇 유명 경... 더 보기
1. 주류경제학의 개념 정리를 더 해서 시사상식적인 측면을 강화: 매일경제신문의 박유연 기자가 쓴 경제지식의 힘/금융지식의 힘 시리즈가 유명하진 않은데 꽤 괜찮은 책입니다. 이러면 기본 상식은 거의 끝이고 그 다음부터는 경제신문과 좋은 경제학 신간 서적(교과서 보다는 주장이 있는 책 위주)을 취향에 따라 보면서, 몇몇 유명 경... 더 보기
장하준씨 책은 주류 경제학 시각과는 좀 거리가 있지요. 정치경제에 가깝습니다. 그래도 좋은 저자는 맞구요. 일단 최소한의 기본기를 익히셨으니...앞으로 대략 두 세 개 길 중 하나를 골라가시면 될텐데요.
1. 주류경제학의 개념 정리를 더 해서 시사상식적인 측면을 강화: 매일경제신문의 박유연 기자가 쓴 경제지식의 힘/금융지식의 힘 시리즈가 유명하진 않은데 꽤 괜찮은 책입니다. 이러면 기본 상식은 거의 끝이고 그 다음부터는 경제신문과 좋은 경제학 신간 서적(교과서 보다는 주장이 있는 책 위주)을 취향에 따라 보면서, 몇몇 유명 경제블로거들을 팔로우하면 좋습니다.
2. 장하준 류의 비판적 시각을 갖춘 제도주의 경제학/정치경제 영역으로의 지식 강화: 더글라스 노스의 책 번역된게 도서관에 있을테니 봐 보시고, 제도는 어떻게 진화하는가 라는 텔렌의 책, 칼폴라니 거대한 전환 등을 하나씩 탐독하시면 아주 깊이있는 시각을 만들어가실 수 있습니다. 이쪽 책은 취향을 타는 편이지만, 한 번 빠지면 못헤어나올 정도로 재밌습니다.
3. 주류경제학의 학문적 탐구를 위한 고전탐독: 국부론부터 시작해 케인즈, 하이예크 등 여러 학자들의 고전을 번역서 위주로 탐색해 나가는 게 가장 정석입니다. 교과서 없이 간다면.
1. 주류경제학의 개념 정리를 더 해서 시사상식적인 측면을 강화: 매일경제신문의 박유연 기자가 쓴 경제지식의 힘/금융지식의 힘 시리즈가 유명하진 않은데 꽤 괜찮은 책입니다. 이러면 기본 상식은 거의 끝이고 그 다음부터는 경제신문과 좋은 경제학 신간 서적(교과서 보다는 주장이 있는 책 위주)을 취향에 따라 보면서, 몇몇 유명 경제블로거들을 팔로우하면 좋습니다.
2. 장하준 류의 비판적 시각을 갖춘 제도주의 경제학/정치경제 영역으로의 지식 강화: 더글라스 노스의 책 번역된게 도서관에 있을테니 봐 보시고, 제도는 어떻게 진화하는가 라는 텔렌의 책, 칼폴라니 거대한 전환 등을 하나씩 탐독하시면 아주 깊이있는 시각을 만들어가실 수 있습니다. 이쪽 책은 취향을 타는 편이지만, 한 번 빠지면 못헤어나올 정도로 재밌습니다.
3. 주류경제학의 학문적 탐구를 위한 고전탐독: 국부론부터 시작해 케인즈, 하이예크 등 여러 학자들의 고전을 번역서 위주로 탐색해 나가는 게 가장 정석입니다. 교과서 없이 간다면.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