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1/18 04:06:09
Name   와인하우스
Subject   불륜 예술의 진실을 보고 멘붕한 이야기.

며칠 전 중고서점에서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집어들고 왔습니다. 초등학교 5학년인가 6학년 때인가에 접한 후로 한동안 저의 인생소설이었지요. 그 향수에 오랜만에 다시 펼쳐든 베르테르는....노답이었습니다. 도무지 읽을 수가 없더군요.


베르테르는 자의식 과잉에 민폐만 끼치는 신경증 환자였고, 왜 그의 격정에 심장을 관통당하는 느낌을 어렸을 때부터 받았는 지 모르겠습니다. 로테에게 보낸 모든 사랑의 표현들, 클라이막스인 오시안의 노래 낭독과 끝내 자살하는 장면까지, 베르테르에겐 미안한 일입니다만 '얘 왜 이래?'라는 생각이 먼저 들더군요. 제가 나이를 먹으며 차가워진 걸까요.


생각해보면 불륜 또는 비도덕적 애정을 아름다운 말로 포장하는 예술작품들이 몇몇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역시 유명한 냉정과 열정 사이죠.
물론 여기서의 쥰세이와 아오이는, 견고한 약혼관계 사이에 끼어든 베르테르만큼 경우없는 인간들은 아니지만, 작 중에서 그 둘이 점차 서로를 생각하고 거리가 가까워지는 동안 저는 그들의 원래 연인인 메미와 마빈에게 보다 마음이 쓰였어요.


쥰세이와 아오이의 재결합을 기뻐하면서도 한편에는 쥰세이에게 메미란, 아오이에게 마빈이란 과연 어떤 존재였을까라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더군요. 읽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그들 각 커플은 각자 형태는 다르지만, '연인'이라기보다는 '동거인'이라는 느낌을 받았거든요. 말하자면 지나간, 하지만 진실되었던 사랑이 아닌 그저 자신을 찾기 이전에 정차했던 역, 정도가 아니었나 싶을 정도로. 아무리 소설이라지만. 그래도 둘이 그들에게 좀 미안함을 느껴야 하는 건 아닌가...


원래 이 얘기를 크리스마스 때 하려고 했는데, 러브 액츄얼리를 처음으로 그날 봤거든요. 물론 혼자 방에서요. 그런데 그 유명한 스케치북 씬
'베스트 프렌드의' '갓 결혼한 아내 상대로' '스토킹적인 연정을 품은' 놈의 행동이었다니! 그걸 또 안쓰럽게 받아주는 키이라 나이틀리와 결말 부분의 훈훈한 모습은 대체 무언가...


좋아했던, 또는 칭송받던 것들의 진실을 깨닫고 참 뭔가 허탈해지더군요. 이 작품들을 여전히 좋아하시는 분들께는 죄송합니다. 하지만 왜 도장 꽝꽝 찍힌 관계에 들이박는 걸 멋지게 그려내려는 걸까요. 쟁취할 수 없는 걸 갈망하는 게 더 애달퍼서, 상처 준 만큼 얻어내는 게 더 감동적이어서 그럴까요. 그리고 사랑에 찐따가 되는 건 왜 대개 남자인 걸까요.






6
  • 춫천
  • 공감합니다


알료사
일단 베르테르는 자의식 과잉에 신경증 환자 맞습니다. '얘 왜 이래?'라는 생각이 드는건 차가워졌다기보다는 강해지셨다는 표현이 어울리지 않을까 싶어요. 저도 해당 소설을 좋아해서 여러번 읽었는데, 이것은 사랑에 대한 소설이기도 하지만 약한 사람에 대한 변호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중간에 보면 어머니가 아들에게 어디어디서 일을 해보면 어떻겠냐고 권하는데, 유약한 주인공은 그런곳에 적응을 못하죠. 최근 유게에 '분노한 김제동'이라고 무얼 할지 몰라 방황하는 청년들을 너무 몰아대지 말라고 하는 게시물이 올라왔는데 베르테르의 슬픔도 약간은 ... 더 보기
일단 베르테르는 자의식 과잉에 신경증 환자 맞습니다. '얘 왜 이래?'라는 생각이 드는건 차가워졌다기보다는 강해지셨다는 표현이 어울리지 않을까 싶어요. 저도 해당 소설을 좋아해서 여러번 읽었는데, 이것은 사랑에 대한 소설이기도 하지만 약한 사람에 대한 변호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중간에 보면 어머니가 아들에게 어디어디서 일을 해보면 어떻겠냐고 권하는데, 유약한 주인공은 그런곳에 적응을 못하죠. 최근 유게에 '분노한 김제동'이라고 무얼 할지 몰라 방황하는 청년들을 너무 몰아대지 말라고 하는 게시물이 올라왔는데 베르테르의 슬픔도 약간은 비슷한 궤에서 이야기하는 데가 있습니다. 또 로테의 약혼남인 알베르토와 자살에 대해 논쟁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보통 자살하는 사람에 대해 '그런 용기로 살면 못할게 없다, 도망치지 말고 부딪혀 싸워라'는 논리로 만류하려는 분들이 많은데, 물론 옳은 말입니다. 그러나 그 논리에는 자살하는 사람에 대한 깊은 이해는 약간 부족한 면도 있습니다. 베르테르는 자살하는 사람이 얼마나 힘든 상황이면 그런 결정을 하게 되는지 항변합니다. 입으로는 온갖 좋은 말로 삶의 의지를 북돋는 사람들, 그 사람들이 막상 자살한 사람과 같은 어려움에 처한다면 그 상황에서의 실천은 어떻게 할지 아무도 모릅니다. 그건 쉽게 이야기할 수 없는 일입니다. 이런 내용들을 '얘 왜 이래?'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역시 강한 사람의 입장에서밖에 (상대적으로 조금이라도) 생각할 수 없습니다.

불륜에 대해 좀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저는 홍차넷 질문게시판에도, 타임라인에도 불륜에 대해 꽤 진지한 질문을 했었고 많은 분들이 답변을 해주셨습니다. 나름 종합해 내린 결론은, 원래의 배우자에게 상처를 주었는가 여부이고, 객관적인 기준은 없지만 어떤 식이든 육체적인 접촉을 동반한 깊은 정신적 유대를 가졌는가로 판단할 수 있다는 겁니다. 베르테르는 정말 찌질하고 못난 사람이기는 하지만.. 그 불륜이냐 아니냐는 선에서 아슬아슬하게 용서해줄만한 곳에서 멈췄다고 봅니다. 일단 가장 중요한 알베르토의 입장을 보면 알베르토는 베르테르가 얼마나 로테를 사랑하는지 알고 있으면서도 베르테르와 진심을 터놓고 대화를 하고, 로테와 함께 셋이서 데이트를 하고, 심지어는 베르테르와 로테의 둘만의 시간을 갖도록 자리를 피해 주기까지 합니다. 이걸 단순히 알베르토가 속 좋은 바보 멍청이라서라거나 로테의 사랑에 대한 자신감으로만은 설명할 수는 없고, 베르테르가 얼마나 자기 자신을 절제하려고 노력했고 로테와 알베르토간의 사랑을 존중했는지가 전해지지 않으면 불가능한 행동입니다. 절제를 했건 말건 남의 연인을 마음속 깊이 사랑했으면 그건 다 불륜이다. 용납할 수 없다, 라고 한다면... 모르겠습니다... 제 생각엔 그런 기준에 맞춰서 불륜을 막으려면 남녀 모두 히잡쓰고 다녀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물론 마지막에 둘이 너무 감정이 격해져서 좀 이건 아니다 싶은 장면이 있기는 합니다만.. 죽음으로 스스로를 처벌한 사람에게 저는 그렇게까지 가혹한 잣대를 적용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마지막 장면에서 약간 실망하긴 했습니다. 알퐁스 도데 <별> 같은 끝까지 순수한 사랑일 줄 알았는데.. 하지만 그래서 더 인간적이고 안타깝기도 했어요. 말씀하신대로 세상에 불륜을 미화한 소설은 많습니다. 영화나 드라마는 더 많구요. 그렇게 불륜을 미화한 이야기들의 인물들을 죽 줄세워 놓고 누가 악질인가를 평가해 보면, 베르테르는 정말 선처받을 만한 케이스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이 이야기는 해당 소설을 한두번 더 읽어보고 생각을 정리해서 글을 써보고 싶었는데, 좀 뒤죽박죽이더라도 요렇게 떡밥 나왔을때 푸는게 더 좋을거 같아서 주절거려 봤습니다.

아, 사랑에 찐따가 되는게 남자인 이유는.. 요건 이기적 유전자에 나오는 얘긴데 그냥 인간이 설계된거 자체가 남자는 여기저기 들이대고 여자는 방어하다가 괜찮은놈 고르게 설계되어 있는거 같습니다. 능력 있으면 들이대는곳마다 환영받으니 멋있어 보이겠지만 그런 개체는 소수고 대부분의 수컷은 들이댈때마다 외면받으니 혼자 자학하고 무리수두고 그러다보면 야카오톡 같은것도 생성하고 그렇게 찐따가 되어가는거 아닐까요... ㅋ

로테가 장난으로 '사랑한다'고 말했을 때, 베르테르는 잠자리에서 혼자 로테의 말을 되씹으며 뜬눈으로 시간을 보내죠. '사랑하는 베르테르.. 사랑하는 베르테르.. 사랑하는 베르테르..'
저는 정말 그런 경험이 있어서 도저히 베르테르를 욕할 수 없더군요. 왜 슬램덩크에 보면 강백호와 송태섭이 치고박고 싸우다가 어느날 서로 채소연과 이한나를 짝사랑한다는 사실을 알고서는 둘도 없는 우정을 나누게 되잖습니까?.... 이상적인, 천상의 여인과 타협 없는 사랑을 쟁취할 수 없는 하위 95% 이하의 남자들은 모두 어느 정도는 찐따화 될수밖에 없고... 그런 면에서는 동지라고 생각합니다... 에고 쓰면서 정말 비참하네요... 아마 홍차넷에는 축복받은 5% 내의 멋쟁이들이 많아서 공감이 잘 안되실듯... ㅋㅋㅋ
<별>의 양치기야 순수하겠습니다만 <별> 자체가 순수한지에 대해선 이야기해볼 여지가 있죠. 물에 흠뻑 젖어 돌아온 아가씨가 혼자 잠을 이루지 못해 모닥불가, 그러니까 화자인 양치기에게 다가와 앉아 깊은 밤 속살거리는 장면을 떠올리면... 옅게나마 그 아래에 성적 긴장이 흐르지 않는다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독자는 아무 일 없으리란 걸 알면서도, 아니, 도리어 아무 일 없을 거라는 걸 알기에 (으레 따라붙기 마련인 자의식의 검열을 의식하지 않으며)참으로 편안히 마지막 구절까지 읽어나갈 수 있고요. 어쩌면 그 (마땅한 표현이 없어서)비겁함의 흔적조차 상기할 수 없기에 <별>이 널리 읽히는 게 아닐까, 짖궂은 생각을 해보네요. 뭐 황순원의 <소나기>도 비슷하겠고요.
알료사
아 ㅎㅎㅎㅎㅎ 1000%동의합니다 ㅎㅎ 옅게나마 정도가 아니라 완전 노린거죠 ㅋㅋㅋㅋㅋ 분위기 므흣하게 해놓고 독자한테 그렇고 그런 상상을 하게 만든담에 뒤통수를 퍽 ! 그런데, 그 뒤통수를 처 맞았을때 독자도 느낀다고 생각합니다. 내가 비록 이런이런 상상을 하긴 했지만 지금 나는 무자비하게 감동폭행을 당했고 이건 나 자신한테 순수함이 살아 있어서 그런거라고... ㅋ
와인하우스
강함과 약함의 이야기로 들어가면 전 더 나쁜놈이 되어서... 말하자면 '약자를 이해하거나 변호하지 않는 약자'인 셈이거든요. 그래서 차가워졌다는 거죠.
삼공파일
몰랐던 진실이 드러난 것이 아니라 그 작품을 읽는 내 자신이 변한 것이죠. 이전에는 작동하지 않았던 도덕적 직관이 지금은 다른 감수성과 판단을 덮을 정도로 크게 자리잡고 있는 겁니다. 안정적인 연애 관계가 깨질 수도 있다는 불안감, 혹은 그것을 깨뜨린 경험에서 오는 죄책감 같은 것들이 마음 속에 자리잡고 있는 건 아닐까요? 아름다운 여성 앞에서 무너지는 남자 주인공들의 모습을 보면서 무의식적으로 자기 자신을 비춰 보고 화가 나는 것일 수도 있지요. 그런 것들도 그런 것들 나름대로 의미 있는 감상이라고 생각해요.
간만에 먹는 프링글스에서 제 기대와 달리 아주 건강한 맛이 나네요. ㅠㅠ 이건 프링글스가 변한 걸까요 제가 변한 걸까요 이 세상이 변한 걸까요
삼공파일
그건 당연히 프링글스가 변한거죠ㅋㅋㅋㅋ
https://namu.wiki/w/프링글스#s-5
와인하우스
그렇죠, 제가 변한 거죠.
두서가 없이 표현했는 데 작품에 대한 평가를 하고자함은 아니었습니다.
아, 아니, 그래도 스토킹은 안됨 ㅡㅡ; 영상 찍으라고 캠코더 맡겼더니 신부 얼굴만 접사로 찍어서 비디오로 숨겨놓다니..크흠.
ㅋㅋㅋ 미셸 우옐벡 좋아하신다는 게 의외네요.
삼공파일
지금 다시 읽으면 싫어하실듯...?
와인하우스
러브스토리 볼 때의 마인드와 우엘벡 소설 볼 때의 마인드가 같지는 않으니까요. 사실 우엘벡에게 윤리같은 걸 적용하는 게 웃긴 일이지만, 그럼에도 '뭔 중년 아저씨가 한결같이 20대 여성이 취향이냐, 이거 혹시 왜곡된...' 같은 생각이 들기는 합니다.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은 아니고, 사실 러브스토리 잘 안봐요.
파란아게하
저는 내용은 완전히 다르지만 '늑대와 춤을' 영화를 비슷한 감정으로 봤었습니다.
어릴 때 그냥 재밌게 봤던 영화인데 성인이 되고 나서 봤을 때는
'아니 저 민폐새끼. 왜 저렇게 무책임한 거야. 지가 저러면 부대는 어떻게 하란 말인가, 혼자만 감상에 빠져 나몰라라라니. 하 딥빡'
근데 지금 보면 또 다를 것 같습니다. 다시 봐야겠네요.
좋은 고민 글로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Darwin4078
원래... 예술이란게 기존 가치체계에 대한 전복을 꿈꾸고... 뭐 그런 덕목이 아닐까 싶구요.

그리고, 30줄 넘어서도 베르테르가 아름답게 느껴진다면 그건 그거대로 좀 문제가 아닌가 싶기도 하고, 나이가 먹을 수록 기존의 질서를 보호하려는 무의식적인 기제가 작용하기도 하고, 작금의 사회, 아니 게시판 분위기는 감정의 표현이 조금이라도 과잉이라면 손발이 오그라든다, 1년후 이불킥 확정이다, 이런 식으로 매도 아닌 매도를 하는 분위기라서 더욱 베르테르가 노답으로 느껴지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저도 최근에 수레바퀴 아래서, 데미안 ... 더 보기
원래... 예술이란게 기존 가치체계에 대한 전복을 꿈꾸고... 뭐 그런 덕목이 아닐까 싶구요.

그리고, 30줄 넘어서도 베르테르가 아름답게 느껴진다면 그건 그거대로 좀 문제가 아닌가 싶기도 하고, 나이가 먹을 수록 기존의 질서를 보호하려는 무의식적인 기제가 작용하기도 하고, 작금의 사회, 아니 게시판 분위기는 감정의 표현이 조금이라도 과잉이라면 손발이 오그라든다, 1년후 이불킥 확정이다, 이런 식으로 매도 아닌 매도를 하는 분위기라서 더욱 베르테르가 노답으로 느껴지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저도 최근에 수레바퀴 아래서, 데미안 읽었는데... 어... 음... 이게 이런 소설이었나 싶더라구요.

사랑에 찐따가 되는건 남자여야만 합니다. 유전자 레벨에서 이미 각인되어있는걸요. 수억분의 일의 희박한 확률 하나만 믿고 난자에 들이박는건 미친듯한 갯수의 정자들 아닙니까. 남자란 원래 그런 족속입니다.
은채아빠
러브 액추얼리에서 한 번 더 공감하고 갑니다. 그 장면에 감동했던 대부분의 사람들과는 달리 저는 너무나 불편했었어요. 그 때는 아마 30대였을텐데, 지금 본다면 더 불편해질 수도 있겠네요...
이렇게 변하다가는 제가 싫어해서 소위 '꼰x' 라고 부르고 있는 그들처럼 될 수도 있다는 생각에 잠시 움찔하게 됩니다.
은머리
저도 베르테르의 찌질함 때문에 이 책이 세계명작인 이유를 잘 모르겠더라고요. 무엇보다 그렇게 보란듯이 자살을 해버리면 로테에게 너무 가혹해요. 뭐 저런 이기적인 종자가 다 있나란 생각을 했어요.
이런들저런들
반항적이고 세상에 적응못한 젊은이..라는 캐릭터를 나름 처음 제시한 소설이어서 문학사적 가치를 인정받는 것 같네요. 성숙한 어른이나 영웅이 아닌 찌질이가 주인공이라는 것 자체가 신선한 시도였겠죠. 기독교적 도덕이 지배하던 시절에 자살이라는 결말도 나름 신선하고...

근데 서태지 난 알아요도 지금 젊은이들에게 보여주면 대폭소를 하더군요. 건담 우주세기도 지금 보면 어찌나 찌질한지....라라아는 내 어머니가 되어줄 수 있는 여자였어!라는 대사를 보고 미치는 줄..

어쩌면 시대가 변한 것일수도 있겠네요.
불륜에 대한 counter-불륜(?)을 통해 불륜을 이해하려고 했던 허진호의 <외출>이 생각나네요. 물론 <화양연화>가 이 소재를 다룬 것 중에 가장 유명하겠지만.. 소설 중에서는 딱히 떠오르는 게 없네요.
그런데 베르테르가 불륜까지 갔던가요..? 혼자 애닳아한 거 아니었나. 어릴 때 읽은 거 다 까먹었네요.
세상의빛
베르테르 그냥 병X 같던데...
첫 일독이 서른 넘어서 해서 그런가 봅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445 도서/문학유시민 <나의 한국현대사> 23 기아트윈스 17/04/14 5833 3
5367 도서/문학나를 거부했던 세상이지만 너를 위해 용서한거야 2 알료사 17/04/04 3893 1
5365 도서/문학영국인이 가장 많이 읽은 '척' 한 책 20선. 64 기아트윈스 17/04/03 5742 0
5358 도서/문학지난 달 Yes24 도서 판매 순위 1 AI홍차봇 17/04/03 3244 0
5357 도서/문학'박사가 사랑한 수식'을 읽고 드는 생각 7 지니세이 17/04/03 4653 0
5351 도서/문학‘회사에서 왜 나만 상처받는가’에 대한 저의 실천 방안 4 혼돈의카오스 17/04/02 5308 4
5277 도서/문학안녕하세요, 얼마전 책 나눔판을 벌인 이입니다 27 서흔 17/03/23 4810 12
5259 도서/문학<빛과 물질에 대한 이론> 감상문 15 Homo_Skeptic 17/03/22 5814 8
5248 도서/문학채식주의자 - 90년대 이후 국내 여성 문학 속 일련의 작품군에 대한 단상 51 팟저 17/03/21 8673 19
5247 도서/문학소소한 책 나눔을 해보려 합니다 42 서흔 17/03/20 5136 31
5228 도서/문학가난한 사람 48 알료사 17/03/19 5705 10
5070 도서/문학지도자 의식에 관하여 15 서흔 17/03/04 4502 8
5059 도서/문학지난 달 Yes24 도서 판매 순위 6 AI홍차봇 17/03/03 3571 0
5037 도서/문학자유주의의 소멸에 대한 불쾌한 우화 - 미셸 우엘벡 <복종> 12 와인하우스 17/03/01 6350 5
5003 도서/문학홍차박스에 남긴 선물 : '밤이 선생이다(황현산)' 5 진준 17/02/25 5191 9
4948 도서/문학책 리뷰 몇 개 28 기아트윈스 17/02/21 5465 12
4858 도서/문학드래곤볼 슈퍼는 왜 쓰레기인가 16 피아니시모 17/02/13 8826 0
4836 도서/문학[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 대한 새로운 해석 10 눈시 17/02/11 6202 0
4790 도서/문학얼마전 "늑대와 향신료"를 읽었습니다. 15 키스도사 17/02/06 11375 0
4754 도서/문학지난 달 Yes24 도서 판매 순위 4 AI홍차봇 17/02/03 3019 0
4701 도서/문학[별]속의 남십자성을 찾아서... 중간보고 (스압) 8 엘에스디 17/01/26 5662 4
4677 도서/문학문학에 대한 소고 : 안녕 주정뱅이 7 전기장판 17/01/23 4728 9
4652 도서/문학불륜 예술의 진실을 보고 멘붕한 이야기. 18 와인하우스 17/01/18 5211 6
4608 도서/문학소설이 인성에 끼치는 영향 8 Credit 17/01/12 4956 0
4589 도서/문학알료사 6 알료사 17/01/10 5424 1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