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5/06/21 17:38:21 |
Name | NightBAya |
Subject | \'너무\'의 의미 변경 |
http://www.huffingtonpost.kr/2015/06/21/story_n_7630130.html '너무'의 의미가 변경되었습니다. 「부사」 일정한 정도나 한계를 훨씬 넘어선 상태로. ¶ 너무 크다/너무 늦다/너무 어렵다/너무 위험하다/너무 조용하다/너무 멀다/너무 좋다/ 너무 예쁘다/너무 반갑다/너무 걱정하지 마세요./내가 너를 그동안 너무 몰라라 한 것도 사실이다.≪최일남, 거룩한 응달≫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너무01 항목 - 6월 15일 자로 긍정적인 서술어와 같이 사용할 수 있게 의미가 변경되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예시에도 너무 좋다 / 너무 예쁘다 / 너무 반갑다 등 긍정적인 서술어와 같이 사용한 경우를 추가했네요. 사실 이러한 의미 변경이 개인적으로는 왠지 마음에 별로 들지 않습니다. 바뀌면 안 될 이유를 이야기해보라 하면 딱히 할 말은 없지만요. 그냥 바뀌는 게 싫은 것일지도 모르고 더더욱 정말이나 아주와 같은 표현은 안 쓰이게 될 것 같아 싫은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어쩌면 이번 결정이 원칙을 포기하고 현실에 타협한다는 과한 생각이 들어서일지도 몰겠습니다. 변화하는 사회의 언어습관에 따라 언어의 의미나 사용도 바뀌는 것이 자연스럽다는 생각에도 동의하니 더더욱 마음에 들지 않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의미가 변경된 것과는 별개로 저 개인적으로는 기존 방식대로 사용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언제 그랬냐는 듯이 태세 전환할 수도 있지만요. 크크.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NightBAya님의 최근 게시물
|
언어는 변화하기 마련입니다.
[빅데이터 인문학-진격의 서막]이라는 근래 나온 책을 참고하여 말씀드리면,
United State라는 단어에는 원래 Are을 사용했었는데(50여개 주의 모임이므로) 남북전쟁을 거치고, 단일국가로서의 인식이 늘어남에 따라 점차 Is로 바뀌었다고 하죠.
언어 전체를 통괄하는 보편적인 규칙이라는 것이 존재한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규칙은 매우 제한된 부분만을 그물망속에 넣을 수 있습니다.
drive의 과거형이 drived가 아니라 drove인 이유는 drive... 더 보기
[빅데이터 인문학-진격의 서막]이라는 근래 나온 책을 참고하여 말씀드리면,
United State라는 단어에는 원래 Are을 사용했었는데(50여개 주의 모임이므로) 남북전쟁을 거치고, 단일국가로서의 인식이 늘어남에 따라 점차 Is로 바뀌었다고 하죠.
언어 전체를 통괄하는 보편적인 규칙이라는 것이 존재한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규칙은 매우 제한된 부분만을 그물망속에 넣을 수 있습니다.
drive의 과거형이 drived가 아니라 drove인 이유는 drive... 더 보기
언어는 변화하기 마련입니다.
[빅데이터 인문학-진격의 서막]이라는 근래 나온 책을 참고하여 말씀드리면,
United State라는 단어에는 원래 Are을 사용했었는데(50여개 주의 모임이므로) 남북전쟁을 거치고, 단일국가로서의 인식이 늘어남에 따라 점차 Is로 바뀌었다고 하죠.
언어 전체를 통괄하는 보편적인 규칙이라는 것이 존재한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규칙은 매우 제한된 부분만을 그물망속에 넣을 수 있습니다.
drive의 과거형이 drived가 아니라 drove인 이유는 drive가 ed를 붙이는 규칙이 생기기 전의 게르만 조어이기 때문이라 합니다.
이후 ed가 붙는 동사들이 등장한 이후 이들이 하나의 규칙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고 하죠.
그런데도 drove가 살아남은 이유는 \'사람들이 많이 사용해서\'라고 합니다. 저자는 이들 단어들 조차도 7-8천년이 지나면 drived로 변화할 것이라 예측하더군요.
말하자면 언어의 규칙은 선험적이거나 보편타당한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후천적인 무엇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선 규칙만으로는 새로 생성되는 어휘들을 담아내기 어렵죠. 정말 이해가 가지 않는 규칙들도 수없이 많고요.
국어에서 소리의 길이가 의미를 분별해준다고 하는데, 솔직히 장음 단음 신경써서 말하는 사람은 전 단 한명도 보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그 규칙이라는 것도 애매하고요.
(모자母子mother&son와 모자帽子hat의 경우 전자가 모ː자로 장음인데 비해 부자父子와 부자富者therich의 경우에는 후자가 부ː자로 장음입니다)
규칙이라는 것이 명확하게 존재한다면 모르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어차피 국립국어원의 역할은 흐르는 물을 넘치지 않을 정도로만 관리하는 댐같은 것에 지나지 않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는 국립국어원이 현실타협을 더 많이 해야 한다고 보고요.
[빅데이터 인문학-진격의 서막]이라는 근래 나온 책을 참고하여 말씀드리면,
United State라는 단어에는 원래 Are을 사용했었는데(50여개 주의 모임이므로) 남북전쟁을 거치고, 단일국가로서의 인식이 늘어남에 따라 점차 Is로 바뀌었다고 하죠.
언어 전체를 통괄하는 보편적인 규칙이라는 것이 존재한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규칙은 매우 제한된 부분만을 그물망속에 넣을 수 있습니다.
drive의 과거형이 drived가 아니라 drove인 이유는 drive가 ed를 붙이는 규칙이 생기기 전의 게르만 조어이기 때문이라 합니다.
이후 ed가 붙는 동사들이 등장한 이후 이들이 하나의 규칙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고 하죠.
그런데도 drove가 살아남은 이유는 \'사람들이 많이 사용해서\'라고 합니다. 저자는 이들 단어들 조차도 7-8천년이 지나면 drived로 변화할 것이라 예측하더군요.
말하자면 언어의 규칙은 선험적이거나 보편타당한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후천적인 무엇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선 규칙만으로는 새로 생성되는 어휘들을 담아내기 어렵죠. 정말 이해가 가지 않는 규칙들도 수없이 많고요.
국어에서 소리의 길이가 의미를 분별해준다고 하는데, 솔직히 장음 단음 신경써서 말하는 사람은 전 단 한명도 보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그 규칙이라는 것도 애매하고요.
(모자母子mother&son와 모자帽子hat의 경우 전자가 모ː자로 장음인데 비해 부자父子와 부자富者therich의 경우에는 후자가 부ː자로 장음입니다)
규칙이라는 것이 명확하게 존재한다면 모르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어차피 국립국어원의 역할은 흐르는 물을 넘치지 않을 정도로만 관리하는 댐같은 것에 지나지 않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는 국립국어원이 현실타협을 더 많이 해야 한다고 보고요.
\'너무\'가 쓰이는 양태를 보면 단순히 \'매우\'의 자리를 비집고 들어간 것만으로 설명할 수 없다고 봅니다. 언중들 사이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표현이라면 그 이유를 궁구해보는 게 먼저겠죠. 수식 대상에 있어 \'매우\'가 긍정적인 영역을 부각하고 \'너무\'는 부정적인 면을 부각할 때 쓰이지만, 긍/부정을 제외하고도 미묘한 뉘앙스의 차이가 있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자기 심상의 양상을 표현하는 듯한 \'매우\'에 비해, \'너무\'는 발화 대상에 대한 화자의 심정 동요가 실린다는 겁니다. \'나는 초콜릿을 매우 좋아해\'와 \... 더 보기
\'너무\'가 쓰이는 양태를 보면 단순히 \'매우\'의 자리를 비집고 들어간 것만으로 설명할 수 없다고 봅니다. 언중들 사이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표현이라면 그 이유를 궁구해보는 게 먼저겠죠. 수식 대상에 있어 \'매우\'가 긍정적인 영역을 부각하고 \'너무\'는 부정적인 면을 부각할 때 쓰이지만, 긍/부정을 제외하고도 미묘한 뉘앙스의 차이가 있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자기 심상의 양상을 표현하는 듯한 \'매우\'에 비해, \'너무\'는 발화 대상에 대한 화자의 심정 동요가 실린다는 겁니다. \'나는 초콜릿을 매우 좋아해\'와 \'나는 초콜릿을 아주 좋아해\', \'나는 초콜릿이 너무 좋아해\'는, 언중의 발화 양식에 민감한 사람이라면 느낄 수 있는 온도 차이가 있습니다. \'너무\'를 여기저기 붙여대던 이들은 암암리에 이를 느끼기 때문일 거구요. 따라서 \'너무\'의 사례는, \'매우\'의 사어화에 입각해서 보는 것보다는 \'매우\'로 포착할 수 없던 특정한 정서의 영역을 \'너무\'의 외연 확대로 포괄하게 된 경우로 보는 게 옳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 근거는 이전까지 \'너무\'의 뉘앙스가 배태하고 있던 가능성에(정도 차에 따른 화자의 정서 동요에 대한 지시) 기인하겠구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