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 정리에 대해서
일단, 제 생각의 출처를 밝힙니다.
수니 브라운 저, <두들 레벌루션>,
나가타 도요시 저, <그림으로 그리는 생각정리 기술>,
오쿠무라 류이치 저, <생각을 명쾌하게 정리하는 기술 31>,
양현, 김영조, 최우정 공저, <서울대 합격생 100인의 노트 정리법>
저번 글은 비문학 텍스트를 독해하는 방법이었습니다.
이번 글은 독해한 글을 나중에는 좀더 편하게 볼 수 있도록 노트에 정리하는 방법에 대한 것입니다.
노트를 작성할 때, 본 비문학 텍스트의 한 단락 단위마다, 또 글 단위마다,
글, 수식, 그림 이 세가지를 기본 언어로,
1. 의미부여와 표현 바꾸기(paraphrasing) - 하나를 여러 관점에서 보기
2. 시스템 지도 - 힘 관계 설정
3. 비교 지도 - 정보 관계 설정
4. 과정 지도 - 논리순, 시간순 배열
이 네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해서 시각화하는 것이 노트정리 방법의 전부입니다.
1. 의미부여와 표현 바꾸기는,
같은 내용을 다른 말, 수식, 그림 등으로 표현을 다르게 해서 여럿을 기입하는 겁니다. 이해를 잘 했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또 나중에 봤을 때 여러 관점에서 이 내용을 바라볼 수 있게 됨으로써, 그 때의 이해를 도모합니다.
2. 시스템 지도는,
말, 수식, 그림 등의 힘 관계를 위계적으로 연결한 지도입니다.
3. 비교 지도는,
말, 수식, 그림 등의 정보 관계를 깔끔하게 정리해 놓은 지도입니다. 점그래프, 표, 벤 다이어그램이 이에 속합니다.
4. 과정 지도는,
말, 수식, 그림 등의 논리적, 시간적 배열-연결을 꾀합니다. A->B->C->…의 구조를 갖습니다.
자, 그럼 이제, 저번 글의 비문학 텍스트들을 정리하겠습니다.
[지문1]
[가]단락은 글을 기본 언어로, 과정 지도를 채택했습니다.
[나]단락은 그림을 기본 언어로, 과정 지도를 채택했습니다.
[다]단락은 그림을 기본 언어로, 과정 지도를 채택했습니다.
[라]단락은 그림을 기본 언어로, 과정 지도를 채택했습니다.
[마]단락은 그림을 기본 언어로, 과정 지도를 채택했습니다.
[바]단락은 글을 기본 언어로, 시스템 지도를 채택했습니다.
지문1을 정리할 때, 글을 기본 언어로, 시스템 지도와 과정 지도를 채택했습니다.
[지문2]
[가]단락은 그림을 기본 언어로 하고 어떤 프레임도 채택하지 않았습니다.
[나]단락은 그림을 기본 언어로, 과정 지도를 채택했습니다.
[다]단락은 그림을 기본 언어로, 과정 지도를 채택했습니다.
[라]단락은 그림을 기본 언어로, 과정 지도를 채택했습니다.
지문2를 정리할 때, 글을 기본 언어로, 과정 지도를 채택했습니다.
[지문3]
[가]단락은 글을 기본 언어로, 시스템 지도와 과정 지도를 채택했습니다.
[나]단락은 글을 기본 언어로, 시스템 지도와 과정 지도를 채택했습니다.
[다]단락은 글을 기본 언어로, 시스템 지도와 과정 지도를 채택했습니다.
[라]단락은 글을 기본 언어로, 비교 지도를 채택했습니다.
[마]단락은 글을 기본 언어로, 과정 지도를 채택했습니다.
[바]단락은 글을 기본 언어로, 시스템 지도를 채택했습니다.
지문3을 정리할 때, 글을 기본 언어로, 시스템 지도와 과정 지도를 채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