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6/19 06:21:35
Name   표절작곡가
Subject   편곡은 얼마나 중요할까?
안녕하세요. 표절을 전문으로하는 작곡가입니다.
제 전공이 전공이다보니 전공에 관련된 글을 써볼까합니다...
(두서 없이 쓰는거라 망글이 될 가능성 99.9%입니다=.,=;;)

암튼 작곡이라는 건 여러분이 잘 아실테구요...
편곡이라는 것에 대해 좀 살펴볼까합니다...

편곡...
(출처 - 네이버 구거사전...)

일단 편곡이란건 다음과 같은 작업이 있어야합니다...
1. 악기를 더하거나 빼거나 바꿀 것....
2. 곡을 형식적으로 꾸밀 것...

1번의 경우는 Orchestration이라고도 합니다...

자 이런 편곡이 각각의 음악장르에서 어떻게 다뤄질까요??

1) 클래식
일단 1차 창작물에는 편곡이 없습니다....
클래식이라는 장르의 특성상 100% 악보대로 가는게 중요하기 때문에
작곡자는 악보에 모든 세세한 지시까지 다 담아서 연주자에게 주고,
연주자는 그 악보를 경전보듯이 해석하여서 무대에 섭니다..

2차 창작물은 편곡이 있습니다...
피아노곡 -> 관현악곡 (무소르그스키의 전람회의 그림 - 라벨 편곡)
실내악곡 -> 관현악곡 (브람스 피아노 5중주 - 쇈베르크 편곡)
관현악곡 -> 피아노곡 (베토벤 교향곡 전곡 - 리스트 편곡)
등등이 있습니다....
이것도 수요가 있으니깐 하는 겁니다...
이 피아노곡 짱 멋있는데 관현악으로 듣고 싶다...
이 교향곡 피아노로 쳐보고 싶다...등등의 수요죠~

참고로 변주곡은 편곡으로 치지 않습니다... 이것도 엄연히 작곡에 들어갑니다...
브람스 - 헨델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푸가
브리튼 -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파헬벨 주제에 의한 변주곡)
둘 다 주 선율은 남의 것을 가져왔지만
나머지 곡의 진행을 자기의 스타일대로 마무리했으므로 작곡으로 분류합니다...
(완성된 곡이 원곡보다 몇 배는 길다는 점, 
원곡에 없는 화성정보와 주제의 흐름등이 작곡가의 의도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

2) 재즈 

이제부터 모르는 이야기를 쓰는거네요....덜덜덜
재즈 연주자는 모두가 편곡 능력자입니다...
일단 주선율 하나 정도는 작곡을 하구요...(선율 + 코드)
이걸 바탕으로 재즈 밴드에서 알아서 구두로 조절합니다...
여기선 이렇게 하자, 저렇게 하자 등등...
각자의 개인기가 가장 중요한 장르이죠~
있는 것만 주구장창 연주하는 클래식 악기 주자들이 이런데 매력을 느끼기도 합니다...

이렇게 구두로 연습하며 만든 곡을 무대에 올리는거죠~
모든 무대는 즉석 편곡이 올라가는 자리입니다...
그래서 재즈곡은 단 한번도 똑같은 곡이 연주된 적이 없습니다...
그 누구도 전 곡을 악보화하진 않으니깐요~~(그게 오히려 비효율적인 것이라서...)

3) 롹

롹이라기 보단 밴드를 통해서 무대에 올라가는 모든 장르를 이야기하고 싶네요....
이것도 재즈와 마찬가지입니다... 모두 무대에서 즉석 편곡이 이루어지요~
사실 클래식을 제외한 모든 장르는 이런 형식으로 무대에 올라갑니다...
말하자면 클래식만 고리타분한거죠~
모든 악상기호와 연주 방식 세세한걸 다 악보에 기입해 놓으니깐요...

4) 대중음악

대중음악이 조금 다릅니다..
이제 대중음악에서 밴드를 무대에 올리진 않죠....
보이그룹, 걸그룹 음악에서 밴드가 등장하던가요?? 아니죠??
(윤도현은? 국카스텐은?.......)
그래서 밴드가 올라오는 장르를 연주하는 음악가는 나름의 자부심을 가지는 경향이 있더라구요...
그걸 듣는 팬들도 마찬가지로 그런 자부심을 느끼는 것 같더라구요...
대중적인 취향과는 다른 독립 노선을 걷겠다는 마인드? 거기서 오는 자부심?

밴드 대신 MR이 대신합니다...
MR은 반주 음악을 말합니다...
이 반주음악을 만드는 작업이 대중음악에선 작곡보다 오히려 더 중요합니다...
작곡은 누구나 다 하는거에요...
선율이 떠오르죠? 녹음기를 트세요.,, 흥얼거립니다...녹음기를 끕니다.. 작곡 끝...
나머지는 저같은 전공자가 다 알아서 해줍니다...크크크

이 MR이라고 하는게 일반 악기소리와는 다른 차원의 소리를 쓰는 경향이 있어서
화성진행과 악식등등이 클래식이나 재즈에 비해 단순할지는 몰라도
MR에 담긴 음색에 좋은 소리를 쓰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이건 전문 편곡자가 다년간의 경험에 걸쳐서 나오는거죠~
이게 클래식의 Orchestration 작업과 비슷한데,,, 좀 많이 차별이 있습니다...
이런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대형 기획사에선 외쿡에서 샘플링등등을 사오고 그러는거죠~
쌈박하게 쓸만한 음색이 많아서 앨범을 자주 발표하는 기획사 입장에선 그게 시간적으로 경제적으로 낫죠~

그리고 대중가요에서 작곡된 곡이라고 해봐야 16마디 내외의 선율과 코드가 다입니다...
이걸 음악답게 만들려면 전주 붙이고, 간주 붙이고, 후주 붙이고, 1절, 2절 후렴부 반복 등등의 것을
결정해야죠~ 할거냐...말거냐??
물론 대중 가요의 악식이라고 해봐야 크게 다양하진 않으니 이 작업은 조금 수월할 수는 있겠네요...

결국 음악이 음악 되기위한 작업은 편곡자의 공이 더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 별거 아니지만 결론내 볼까요???

클래식 공연에 왔다??? 우와, 작곡가 짱~!!!
재즈, 락 페스티벌에 왔다??? 우와, 연주자 테크닉이 쩌네염....!!
집에서 뮤뱅을 본다?? 편곡자 이름이 나오나 유심히 살펴본다.....!!



0


    레지엔
    나가수나 불명에서 특정 편곡자와 작업하면 순위가 오를 확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더군요. 재밌는게 한국 대중음악에서는 편곡자가 작곡가, 프로듀서, 엔지니어, 때로는 아티스트까지 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유독 편곡자로 들어간 결과물만 이상할 정도로 괜찮고 나머진 좀 아닌 뭐 그런 경우도 적지 않아서 \'아 인간의 재능 총량은 정말 어쩔 수 없는건가\'라는 생각을 해본 적도 있습니다. 하긴 뭐 해외의(특히 락/메탈) 초거물급 프로듀서도 막상 자기 밴드는 2류다 못해 스쿨밴드보다 손가락만 좀 나은 수준인 경우도 있긴 합니다만...
    표절작곡가
    뭐 의사라고 전 과를 다 잘하는 건 아니지 않겠습니까??크크 (이게 비교 대상으로 적절할런지는...ㅠㅠ)
    작곡과 편곡 둘 다 잘하기는 쉽지가 않습니다...^^
    레지엔
    그게 불가능해서 저희는 전문의제도가 나왔죠 크크크.

    근데 가끔 그런 생각은 듭니다. (굉장히 시대의 패러다임을 많이 앞서나가는 창작자를 제외하고) 작곡을 잘한다 못한다라는 건 멜로디에서, 편곡은 사운드 취사선택에서 결판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아보이는데 어쩌면 이 두 작업은 완전히 다른, 상당히 자주 반대되는 성향을 필요로 하는게 아닐까... 뭔가 설명하자니 엄청 길고 저 자신도 그렇게 설득이 될 거 같진 않지만, 작곡의 어려움이나 아니면 뭐 천재적인 작곡의 에피소드에서 받는 느낌과, 편곡자들의 고충 호소에서 이 둘이 참 본질적으로 다른 성향을 필요로 하는구나 그런 임프레션을 받은 적이 있네요.
    표절작곡가님 글을 보러 왔다? 우아~ 작곡가님 짱!
    항상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표절작곡가
    헉~ 감사합니다....^^;;
    장무민
    클래식은 첫번째로 작곡가가 짱입니다란 생각을 합니다. 크크크크크큭

    전체적으로 지휘자에게 모든 스팟라이트가 가는 느낌이 아직도 큰편인데 지휘자는 훌륭한 음향기술자가 되는것이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녹음기술의 발전과 맞물려서 너무나 영향력이 큰 인물을 봐버린 세대라서 좀 지난 후에는 평가들이 달라지지 않을까? 라고 생각합니다.
    Meanzof
    제가 단어가 조금 해깔려서 그러는데 째즈부터는 선율과 화성이라는
    측면에서 편곡이라고 하신거라고 보는게 맞게 보는건가요?
    뭔가 이미 무대에 올라간거고 연주를 하고있는거면 편곡이
    끝난상태가 아닌가 싶어서요~_~;
    그리고 요즘 가요쪽 추세는 샘플링 구매라기 보단 외국 작곡가 또는 팀의
    곡을 사용하고 있고 그들도 해외판매까지 생각하면 돈이 되니까 곡을 많이
    보내는걸로 알고있습니다.
    특히 SM이 이분야의 선구주자(?)인데 메인타이틀이 외국작곡팀인 경우가 많더라구요.
    그리고 옛날처럼 작곡만 해서는 기획사에 곡을 줄수가... 더 보기
    제가 단어가 조금 해깔려서 그러는데 째즈부터는 선율과 화성이라는
    측면에서 편곡이라고 하신거라고 보는게 맞게 보는건가요?
    뭔가 이미 무대에 올라간거고 연주를 하고있는거면 편곡이
    끝난상태가 아닌가 싶어서요~_~;
    그리고 요즘 가요쪽 추세는 샘플링 구매라기 보단 외국 작곡가 또는 팀의
    곡을 사용하고 있고 그들도 해외판매까지 생각하면 돈이 되니까 곡을 많이
    보내는걸로 알고있습니다.
    특히 SM이 이분야의 선구주자(?)인데 메인타이틀이 외국작곡팀인 경우가 많더라구요.
    그리고 옛날처럼 작곡만 해서는 기획사에 곡을 줄수가 없어서 현재 대부분의 곡자들은
    동시에 편곡자이거나 팀을이루어 보완관계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나저나 여전히 우리나라는 편곡자에 대한 대우가 매우 좋지않죠...
    표절작곡가
    편곡이란게
    선율 화성 곡구조 악기배합 등등의 모든 것을 다 포함합니다...

    적어도 재즈는 악보화해놓지는 않으니깐 무대에서 즉석 편곡한다고 해도 무방하죠...

    관점을 달리해서 무대에 올라가기전에 구두로 편곡을 끝내 놓고 올라간다고 해도 맞는 말이죠...

    어쨌던 재즈는 개개인의 즉흥연주를 기반으로 합니다....
    Meanzof
    아 네 제가일하는 업계(?)에서 쓸때는 무대에 올라갔을때는 \"연주\" 또는 \"플레이\"나 \"애들립\"등으로
    국한시키듯이 사용해서 해깔려서 여쭤봤습니다 흐흐
    보통 편곡이란 공연이나 출시 하기전에 완료해서 패키징하는 작업중 중간정도 또는 중간전단계의
    작업을 칭할때 사용되어지는 용어로 제가 인지하고 있어서요...~_~;
    음악전공 출신이 아니다 보니 용어같은걸 좀 편협하게 알고있는데 좀더 폭넓게 쓰이는군요 좋은거 알았습니다 감사.
    ORIFixation
    재즈의 스탠다드곡들은 코드만 적혀있고 그것을 보면서 스스로 편곡 내지는 창작을 하는것이 재미! 수많은 연주가들이 스탠다드를 연주했지만 모두 다른 곡이 되었지요
    Last of Us
    지휘자에 따라 오케스트라 배치를 바꾸는 경우는 어디에 들어가나요?
    청자 입장에선 배치에 따라 들리는게 많이 달라지는데요
    표절작곡가
    이건 글쎄요.....

    편곡이라기보단 지휘자 재량에의한 악기 배치 비꾸기....??

    전문용어가 따로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오케스트라 배치는 미국식 유럽식 비엔나식 등등으로 정해진 틀이 있습니다...
    지휘자가 갑툭튀해서 난 이런 배치로 하겠다고 막 따로 정하고 하는 경우는 드믈죠...
    Last of Us
    어떤 지휘자는 배치를 바꾸는데, 같은 곡도 이렇게 다르게 들린다는 글을 보고 그 지휘자가 지휘한 연주를 들어보고 기억하고 있거든요
    지역에 따라 정해진 틀도 있다는건 처음 알았습니다 하하
    Winter_SkaDi
    음악에 쪼끔만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나는가수다, 불후의명곡 등을 통해서 편곡의 힘을 알게 되신 분들이 많을 겁니다.
    저도 마찬가지지만 예전 남격할 때 김태원이 아무것도 없는 가이드를 우효원 님께 전달하니 합창곡이 되는 걸 보고 깜짝 놀랐던 기억이 납니다.
    재즈 편곡 하니까 Art Tatum 이 생각나네요.

    호로비츠&토스카니니가 그가 치는 Tea for two의 편곡 곡을 듣다가 \"님 이거 편곡 어케 함? 얼마나 걸린거임?\" 이라고 묻자

    \"즉흥연주였는뎁쇼?\"

    ... 두 위대한 음악가는 그대로 떡실신. (해당 연주 : https://youtu.be/kACt0FM0Kf8
    Art Tatum - Tea for Two (Audio Sheet Music)
    )

    참고로 아트테이텀은 2명 이상이 동시 연주해야 겨우 따라갈 수 있던 자동반주 피아노......... 도 이겨먹던 굇수였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60 기타편곡은 얼마나 중요할까? 15 표절작곡가 15/06/19 8900 0
    361 기타여행업계와 메르스에 대한 잡담 및 안내 12 으르르컹컹 15/06/19 9042 0
    362 기타오래전 공대 도서관 이야기- 내용추가 18 와우 15/06/19 8664 0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3040 7
    364 기타저에게 주는 숙제 20 지니 15/06/19 7524 0
    365 기타낼 아침 후회할 것 같은 글 17 15/06/19 8919 1
    366 기타번개모임 한번 해볼까 합니다. 29 동동 15/06/19 8216 0
    368 기타이것이 애플의 매력인가.. 32 마카 15/06/19 10257 0
    369 기타(사진 다수 포함) 수원화성 돌아보기 27 NightBAya 15/06/20 10313 0
    370 과학/기술혜성탐사로봇 '필레'가 일어났습니다 15 눈시 15/06/20 9302 0
    371 기타PGR21에 대한 이야기를 좀 해봤으면 좋겠습니다. 115 삼공파일 15/06/20 21585 0
    372 기타북미에서 애플워치가 279만대 팔렸습니다 14 Leeka 15/06/20 8821 0
    373 기타이럴거면 그러지 말지. 10 영혼 15/06/20 9112 0
    374 기타타(?) 커뮤니티에 관해서.... 17 이사무 15/06/20 8413 0
    375 기타울어라! 늑대여! 11 neandertal 15/06/20 8832 0
    376 기타비가 오네요! 잠시 음악 듣고 가실까요? 11 Forwardstars 15/06/20 7617 0
    377 기타쥬라기 월드흥행에 적어보는 공룡이야기(3)-모든걸 새로쓰게한 공룡 9 개평3냥 15/06/20 10036 0
    378 기타[스압,데이터 주의]텍스트 읽기 #1 ohmylove 15/06/20 9894 0
    379 기타[스압,데이터 주의]텍스트 읽기 #2 ohmylove 15/06/20 8049 0
    380 기타[스압,데이터 주의]텍스트 정리 #1 ohmylove 15/06/20 8443 0
    381 기타[스압,데이터 주의]텍스트 정리 #2 13 ohmylove 15/06/20 8916 0
    382 기타[소설] My funny teens 3 Last of Us 15/06/20 6346 0
    383 기타(잡문) 문학에서의 '부사' 사용 63 Eneloop 15/06/20 9543 0
    385 기타제가 좋아하는 목소리 - 어쿠스틱콜라보 안다은 양이에요. 7 의리있는배신자 15/06/20 7879 0
    386 기타[지니어스]콩픈패스 16 의리있는배신자 15/06/20 1216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