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6/18 12:15:14
Name   Raute
Subject   마루야마 겐지가 쓴 소설의 문장들
신경숙의 표절 논란에 미시마 유키오만 있는 게 아니라 마루야마 겐지도 있더군요. 마루야마 겐지라면 저도 한 권 갖고 있어서 오랜만에 꺼내봐서 다시 읽었습니다. 예전에 읽었을 때와는 미묘하게 느낌이 다르더군요. 처음 읽었을 때는 시와 같이 끊임없이 이어지는 흐름에 빨려서 정신 못 차리고 탐닉했었는데 지금은 그래도 호흡은 고를 수 있더라고요. 각설하고 인상적인 구절 몇 개만 적어볼까 합니다. 아래 문장들은 한성례가 번역하고 이룸에서 출판한 '달에 울다'에서 가져왔습니다.


[야에코 위로 폭염이 소용돌이 치고 있다.
그 위에는 타서 눌은 하늘이 있고, 조금 더 위에는 타다 문드러진 태양이 눌어붙어 있다. 이 산 저 산에서 요란한 뻐꾸기 울음소리가 들리고, 폭풍우 같은 매미 소리는 나를 옴짝달싹 못하게 한다. 괴성을 지르던 야에코가 벌채된 나무처럼 무너지며 내 위를 덮쳤다.]


'달에 울다'의 히로인 야에코의 매력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문장은 따로 있다고 봅니다만 그건 너무 에로틱해서 생략. 이것도 제법 야한 문장 아닌가 싶습니다만 그래도 외설적이라는 느낌은 안 드니까요. 처음 읽을 때는 전원적인 배경을 두고 저렇게 난폭한 문장이 나올 수 있다는 게 꽤 충격이었죠. 덧붙여 그야말로 '치명적인' 유혹이구나 라는 생각도 같이요.


[병풍 속에서 거친 바람이 불어치고 있다.
그 바람은 때로는 아기 울음소리 같다. 이제 어떻게 할 거야, 나는 병풍에 대고 물어본다. 그러나 야에코는 대답하지 않고, 굽이치는 초원을 가르면서 어둠의 소용돌이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그녀가 등에 지고 있는 것은 비파가 아니고 통통하게 살진 젖먹이다. 그 아이의 아버지는 어쩌면 야에코 자신도 알지 못할지도 모른다.]


평범한 문장 가운데 애잔함이 묻어나오더군요. 야에코를 '나쁜년'이나 '이상한년'이 아니라 그 역시 한 명의 사람이라는 것을 나타내주는 글이라고나 할까요. 식견이 짧아서 표현하기가 어렵네요. 저는 저 젖먹이라는 표현을 좋아합니다. 제가 어렸을 적에 많은 이들 등에 업히던 젖먹이라 그랬는지도 모릅니다.


[가마우지들은 내가 가까이 다가가도 달아나지 않았다. 손이 닿을 만큼 가까이 다가가서 뚫어지게 쳐다봐도 날개를 넓게 펼친 채 꼼짝도 하지 않았다. 낫 같은 것이 있으면 좋을 텐데, 하고 생각했다. 뱀을 연상시키는 가마우지의 기다란 목을 탁 내리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아무리 찾아봐도 내 이름은 찾을 수 없었다. 꼼꼼히 찾아보았지만, 어디에도 없었다.]

이건 '조롱을 높이 매달고'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불쾌감, 분노, 공허함, 외로움, 두려움  등 굉장히 다양한 감정이 느껴지는 부분이라 좋더군요. 쉽게 공감이 가는 편이었고요. 피리새도 피리새지만 가마우지야말로 이 소설을 완성시키는데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요소였겠죠. 


생각해보니 '물의 가족'을 읽는다 읽는다 해놓고 계속 까먹고 있네요. 조만간 서점 한 번 들려야겠어요.



0


    마르코폴로
    글 잘 봤습니다.
    마루야마 겐지의 소설을 보면 문장을 훔치고 싶다라는 생각이 절로 들긴 할 것 같아요.
    소개해주신 책을 읽어보지 못했지만 물의 가족은 읽은 기억이 있는데, 문장에서 정말
    이미지가 느껴져서 놀랐던 기억이 있어요.
    그에반해 최근에 나온 인생따위 엿이나 먹어라라는 수필집은 기대이하였어요.
    좋은 소설가가 좋은 수필을 쓰리라는 보장이 없긴하지만
    소설가의 각오라는 수필집이 훌륭하다는 소문을 들은터라 기대를 가지고 봤었는데
    소설에서 받은 감흥이 강렬한 탓이었는지 제 개인적인 기대치에 못 미쳤던것 같아요.
    오늘은... 더 보기
    글 잘 봤습니다.
    마루야마 겐지의 소설을 보면 문장을 훔치고 싶다라는 생각이 절로 들긴 할 것 같아요.
    소개해주신 책을 읽어보지 못했지만 물의 가족은 읽은 기억이 있는데, 문장에서 정말
    이미지가 느껴져서 놀랐던 기억이 있어요.
    그에반해 최근에 나온 인생따위 엿이나 먹어라라는 수필집은 기대이하였어요.
    좋은 소설가가 좋은 수필을 쓰리라는 보장이 없긴하지만
    소설가의 각오라는 수필집이 훌륭하다는 소문을 들은터라 기대를 가지고 봤었는데
    소설에서 받은 감흥이 강렬한 탓이었는지 제 개인적인 기대치에 못 미쳤던것 같아요.
    오늘은 생각난 김에 소설가의 각오를 한번 찾아봐야겠네요.
    그나저나 첫번째로 언급하신 문장은 정말 강렬하네요. 뒤에 에로틱해서 생략하셨다는 설명까지
    들으니 달에 울다도 꼭 한번 찾아 봐야겠어요.
    소설과 수필은 좀 다르다 싶던 것이 제가 하루키를 별로 안 좋아하는데 수필은 그럭저럭 읽을만 했거든요. 뭔가 미묘한 차이가 있나봅니다. 그래서 이름값으로는 수필 못 고르겠더군요.
    마르코폴로
    저도 하루키의 소설같은 경우 읽고나서 별다른 감흥도 없고, 그저 심볼타령만 자꾸 기억에 남는 것이 이상하게 정이 안가더라고요.
    제 마음 속에 음란 마귀 탓일까요. 흐흐흐
    Raute님 히라노 게이치로 강추요. 움베르토 에코의 일본작가버젼이에요.

    그리고 올려주신 문장 잘 봤습니다. 오르한 파묵의 [검은책]에 \"나는 회화적인 작가다. 그러나 그 말 뜻을 잘 이해하지 못하겠다.\"라는 구절이 있는데, 그 말을 떠올리게 되어요. 회화적인데, 정확히 회화적인 게 뭐냐 물으면, 말로는 모두 육화되지 못하는 실체라고나 할까요. 잡으려하면 흐려지는 신기루같죠.
    darwin4078
    문알못인데 히라노 게이치로라는 이름이 좀 익숙해서 찾아봤더니 일식으로 아쿠타카와 상 수상하면서 데뷔한 소설가로군요.
    주관이 없고 팔랑귀라서 일단 상받고 신문에 나오면 우와~하고 보는 습성이 있어서 일식 읽고 괜찮네 싶어서 달, 장송까지 읽게 되었습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달이 제일 밀도있는 소설이었고 좋았고, 장송은 다른건 잘 생각이 안나는데 천재와 취미에 대한 이야기만 기억납니다. 그걸 보면서 나는 천재는 당연히 안되고 취미도 누릴 건덕지도 없고 그냥 하루하루 똥만 만드는 기계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ㅠㅠ
    헐... Darwin4078님 자꾸 문알못이라고 하시는데 제 글에 단 덧글도 그렇고 전혀 문알못 아니신거 같아요. 저는 사실 일본 작가들 특유의 극단적 탐미주의가 취향은 아닌데 마시아 유키오의 현신이라는 찬사로 데뷔했다는 히라노 게이치로는 재밌게 보았습니다. 히라노 게이치로 [일식] 보면 아... 이 자식... 단어 하나 문장 하나 치밀하게 계산해서 넣었구나 하는 생각 들었는데, 무척 영리한 작가죠. 소재는 고전적인데, 주제는 약간 구태의연하고 무겁지 않나 싶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성력이 뛰어난 작가죠. 문알못 아닌데 자꾸 문알못이라 그러시네... 참...
    darwin4078
    아닙니다. 저는 그냥 신문이나 TV에서 유명한 작가라고 하는 사람들 것만 읽습니다.
    주관도 없고 취향도 없어요. 그냥 유명한 것만 읽습니다. 일본 작가들 특유의 탐미주의같은게 뭔지도 잘 몰라요. ㅠㅠ
    그냥 사람들이 그렇게 말하면 그런가보다 하고 재미있는거, 유명하다고 하는거만 읽습니다. ㅠㅠ

    이런걸 뼈저리게 느낀게 학부시절 소개팅 나갔을때였어요. 그때만 해도 중2병에서 아직 못벗어나서 내가 진짜 문학을 많이 안다고 생각하던 때였거든요. 그런데 정말 예쁜 여학생이 나와서 잘해봐야겠다 해서 막 잘난체를 하고 있었는데 팔짱끼고... 더 보기
    아닙니다. 저는 그냥 신문이나 TV에서 유명한 작가라고 하는 사람들 것만 읽습니다.
    주관도 없고 취향도 없어요. 그냥 유명한 것만 읽습니다. 일본 작가들 특유의 탐미주의같은게 뭔지도 잘 몰라요. ㅠㅠ
    그냥 사람들이 그렇게 말하면 그런가보다 하고 재미있는거, 유명하다고 하는거만 읽습니다. ㅠㅠ

    이런걸 뼈저리게 느낀게 학부시절 소개팅 나갔을때였어요. 그때만 해도 중2병에서 아직 못벗어나서 내가 진짜 문학을 많이 안다고 생각하던 때였거든요. 그런데 정말 예쁜 여학생이 나와서 잘해봐야겠다 해서 막 잘난체를 하고 있었는데 팔짱끼고 보던 그 여학생의 한마디, \'황지우 알아요?\'에 어버버...
    그때 제가 상황을 무마해본다고 했던 드립이, \'황지우는 몰라도 황미나는 알아요. 아뉴스 데이, 우리는 길잃은 작은새를 보았다, 같은건 괜찮지 않아요?\' 아오... 지금 생각하면 손발퇴갤...ㅠㅠ 지금도 이 개드립 직후 저를 쳐다보던 여학생의 차가운 눈빛이 기억납니다.
    아뇨. 다윈님 문알못 아니에요. 유명한 작품조차 읽지 않는 사람이 100에 99.9명은 됩니다. 진정한 문알못은 문학에 거대한 이름을 씌워서 문학을 왜곡하는 일부 평론가들이고, 신경숙 같은 작가들이죠. 제가 책에 대해 다는 코멘트들은 누군가와 소통하기 위해 제가 그러모은 찌끄레기일 뿐입니다. 중요한 것은 작품 그리고 그것을 읽을 때 느끼는 재미지요. 저런 말들은 아무것도 아니에요. 문알못 아니라고요!!!
    darwin4078
    희망을 주시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ㅠㅠ 순수문학보다 장르문학을 훨씬 좋아하다보니 저도 모르게 피해의식이 생긴듯도 싶네요.
    앞으로는 문알못은 빼고 팔랑귀라고만 하겠습니다.
    순간 저도 모르게 움베르토 에코와 파울루 코엘류를 착각하고 댓글을 쓰고 있었습니다. 아이쿠야... 에코의 일본 작가 버전이면 정말 현란하겠네요. 서점 갈 때 참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마르코폴로
    전 이상하게 미셸 푸코와 움베르토 에코가 자주 헷갈리더라고요. 푸코,에코 어감도 어딘지 모르게 비슷한 것이 착각할 때가 종종 있습니다.
    마르코폴로
    회화적이라는 표현이 참 와닿네요. 쓰신 표현을 빌려보자면 마루야마 겐지의 경우 영화적이다라는 표현이 더 어울리는 것 같긴해요.
    최종병기캐리어
    음.... 역시 저는 감수성이 메말라 있는건지...

    전 여태껏 소설이나 시를 읽으면서 감성을 느낀적이 없어요.. 글 쓰신분처럼 분노가 느껴진다거나 그런게 없어요. 뭐랄까 화자의 심리는 \'분석\'이 되는데 공감이 간적은 없어요. 그래서 문학이 별 재미가 없어요... 공감이 안가니 슬픈 책을 보아도 먹먹해진다거나 그런게 거의 없어서 말이죠. 근데 또 사진이나 영상에는 공감이 가기도 하고...
    사람마다 차이는 있는 법이니까요. 텍스트에 쉽게 공감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는 거죠~
    마르코폴로
    감수성이라는 것이 개개인이 처한 상황이나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같아요.
    저같은 경우 시는 잘 읽지 않고 읽어도 별 감흥을 얻지 못하는 편인데,
    대학시절 새벽에 아르바이트 하는 도중에 불쾌한 일이 있어서
    일 끝나고 나서 가볍게 술 한잔 하고 나니 기분이 울적하더라구요.
    집에 도착해서 잠도 오지 않고해서 선물받은지 한참 지났지만
    읽지 않은채로 방안에 굴러다니던 정호승시인의 시집을 생각없이 휙휙 넘겨보다가
    어린 낙타라는 시를 봤는데 뭔가 울컥했던 기억이 있네요.
    아마 \'모래도 한때는 별이었다\' 라는 구절이었던 것 같... 더 보기
    감수성이라는 것이 개개인이 처한 상황이나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같아요.
    저같은 경우 시는 잘 읽지 않고 읽어도 별 감흥을 얻지 못하는 편인데,
    대학시절 새벽에 아르바이트 하는 도중에 불쾌한 일이 있어서
    일 끝나고 나서 가볍게 술 한잔 하고 나니 기분이 울적하더라구요.
    집에 도착해서 잠도 오지 않고해서 선물받은지 한참 지났지만
    읽지 않은채로 방안에 굴러다니던 정호승시인의 시집을 생각없이 휙휙 넘겨보다가
    어린 낙타라는 시를 봤는데 뭔가 울컥했던 기억이 있네요.
    아마 \'모래도 한때는 별이었다\' 라는 구절이었던 것 같아요.
    감수성이 메마른게 아니라 본인과 맞는, 또는 본인의 상황과 맞아떨어지는 작품을 만나지 못 한것이 라고 생각해요.
    마르코폴로님 언제 그 시 한 번 소개해 주세요. 저도 아주 힘든 시기에 저를 위로해준 시가 몇편있는데, 시라는게 다른 이한테는 하품하는 소리일수도 있잖아요. 혼자만의 섬에서 너무나 외로울 때 우리는 시를 읽게 되는거 아닐까 싶어요. 아... 홍차넷 진짜 좋아요. 흐흐흐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35 기타쥬라기 월드의 흥행에 적어보는 공룡이야기....왜 새가 공룡의 후예인가 13 개평3냥 15/06/15 11580 0
    336 기타와이프의 건강이 좋지 않습니다. 57 세인트 15/06/15 9284 0
    337 기타PSYCHO-PASS 6 NightBAya 15/06/16 8258 0
    338 도서/문학두 신화의 엔딩 17 눈시 15/06/16 11780 0
    339 기타독일 분데스리가의 선수랭킹 12 Raute 15/06/16 11190 0
    340 기타만화책 한권을 소개합니다. 2 안녕하셈 15/06/16 6899 0
    341 기타방금 이베이에서 겪은 재미있는 일(?) 20 SCV 15/06/16 8266 0
    342 기타오디오 좋아하세요? 27 장무민 15/06/17 8080 0
    343 일상/생각안고수비(眼高手卑) - 신경숙의 표절시비에 대하여 42 뤼야 15/06/17 10512 0
    344 기타제가 좋아했던 추리만화들.jpg 11 김치찌개 15/06/17 10903 0
    345 음악요즘 듣고 있는 해외앨범 5(Muse 새앨범 Drones) 5 김치찌개 15/06/17 8362 0
    346 기타어제는 잠에만 취했습니다 27 지니 15/06/17 7753 0
    347 기타메르스 현황 관련 실시간 정보 모음 13 kpark 15/06/17 8319 0
    348 기타쥬라기월드흥행에 적어보는 공룡이야기(2)-공룡은 파충류가 아니다 19 개평3냥 15/06/17 9348 0
    349 기타신경숙 작가 표절 부인 21 레지엔 15/06/17 9312 0
    350 기타메르스야 사라져다오 11 이서준팬바이브 15/06/18 7711 0
    351 기타메르스 최전선에서 사투를 벌이고 있는 전사들 2 김치찌개 15/06/18 7483 0
    352 기타마루야마 겐지가 쓴 소설의 문장들 16 Raute 15/06/18 9788 0
    353 기타[농구]전창진감독 결과는 어떻게 나올까 6 탑망하면정글책임 15/06/18 7206 0
    354 기타무딘 통각 이야기. - 1 - 17 세인트 15/06/18 7845 0
    355 기타시를 써봤습니다. 2 드레이크 15/06/18 6544 0
    356 기타무딘 통각 이야기. - 2 - 21 세인트 15/06/18 7547 0
    357 기타메르스가 경제에 미친 영향 19 Leeka 15/06/18 8616 0
    358 기타'타는 목마름으로'가 표절이라는 주장도 제기되었습니다. 19 헤칼트 15/06/19 8524 0
    359 기타Kurt Atterberg의 첼로 협주곡 Op.21 9 장무민 15/06/19 6681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