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6/11 17:29:59
Name   당근매니아
Subject   인간에 절망할 때 읽는 글
종종 절망감을 맛볼 때 김훈의 다음 문장들을 읽습니다. 군에서 악폐습 고치려다가 후임들의 반발에 부딪혔을 때 그랬고, 2012년 겨울에도 그랬습니다.

회의주의자이자 환원주의자인 김훈의 관점은 그럴 때 위로가 됩니다. 아래글 하나를 읽다가 문득 도움이 될 수 있을까 해서 씁니다.




2000년 가을에 나는 다시 초야로 돌아왔다.
[나는 정의로운 자들의 세상과 작별하였다. 나는 내 당대의 어떠한 가치도 긍정할 수 없었다. 제군들은 희망의 힘으로 살아 있는가. 그대들과 나누어 가질 희망이나 믿음이 나에게는 없다. 그러므로 그대들과 나는 영원한 남으로서 서로 복되다. 나는 나 자신의 절박한 오류들과 더불어 혼자서 살 것이다.]
초야의 저녁들은 헐거웠다. 내 적막은 아주 못 견딜만 하지는 않았다. 그 해 겨울은 추웠고 눈이 많이 내렸다. 마을의 길들은 끊어졌고 인기척이 없었다. 얼어붙은 세상의 빙판 위로 똥차들이 마구 달렸다. 나는 무서워서 겨우내 대문 밖을 나가지 못했다.
[나는 인간에 대한 모든 연민을 버리기로 했다. 연민을 버려야만 세상은 보일 듯 싶었다. 연민은 쉽게 버려지지 않았다. 그 해 겨울에 나는 자주 아팠다.]
눈이 녹은 뒤 충남 아산 현충사. 이순신 장군의 사당에 여러 번 갔었다. 거기에, 장군의 큰 칼이 걸려 있었다. 차가운 칼이었다. 혼자서 하루종일 장군의 칼을 들여다 보다가 저물어서 돌아왔다.
사랑은 불가능에 대한 사랑일 뿐이라고, 그 칼은 나에게 말해 주었다. 영웅이 아닌 나는 쓸쓸해서 속으로 울었다. 이 가난한 글은 그 칼의 전언에 대한 나의 응답이다.
사랑이여 아득한 적이여. 너의 모든 생명의 함대는 바람 불고 물결 높은 날 내 마지막 바다 노량으로 오라. 오라, 내 거기서 한줄기 일자진(一字陣)으로 적을 맞으리.
다시, 만경강에 바친다.

ㅡ칼의 노래, 서문




[정의로운 언설이 모자라서 세상이 이 지경인 것은 아니다. 지금 정의와 민주주의의 이름으로 약육강식의 질서를 완성해가는 이 합리주의의 정글 속에서 정의로운 언어는 쓰레기처럼 넘쳐난다.] ... 오직 제 이름을 부르며 우는 날짐승들의 시대에 당대를 향하여 말을 거는 일은 가능한가, 당대를 향하여 할 말이 나에게 있는 것인가, 인간과 인간 사이에서 언어와 신호는 아직도 소통력이 있는 것인가, 그런 고통스런 질문의 지옥 속에서 나는 이 글을 쓰고 있다. 나는 보편과 객관을 걷어치우고 집단의 정의를 조롱해가면서 나 자신의 편애와 편견을 향하여 만신창이로 나아갈 것이다. 글 쓰는 자의 적은 끝끝내 그 독자들이다  그러므로 글쓰기는 영원히 '일인 대 만인'의 싸움일 뿐이다.

ㅡ산문집 '너는 어느 쪽이냐고 묻는 말들에 대하여' 중 '개발자국으로 남은 마을'


"[나는 문학이 인간을 구원하고, 문학이 인간의 영혼을 인도한다고 하는, 이런 개소리를 하는 놈은 다 죽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문학이 무슨 지순하고 지고한 가치가 있어 가지고 인간의 의식주 생활보다 높은 곳에 있어서 현실을 관리하고 지도한다는 소리를 믿을 수가 없어요. 나는 문학이란 걸 하찮은 거라고 생각하는 거예요. 이 세상에 문제가 참 많잖아요. 우선 나라를 지켜야죠, 국방! 또 밥을 먹어야 하고, 도시와 교통문제를 해결해야 하고, 애들 가르쳐야 하고, 집 없는 놈한테 집을 지어줘야 하고…. 또 이런 저런 공동체의 문제가 있잖아요. 이런 여러 문제 중에서 맨 하위에 있는 문제가 문학이라고 난 생각하는 겁니다. 문학뿐 아니라 인간의 모든 언어행위가 난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펜을 쥔 사람은 펜은 칼보다 강하다고 생각해 가지고 꼭대기에 있는 줄 착각하고 있는데, 이게 다 미친 사람들이지요. 이건 참 위태롭고 어리석은 생각이거든요. 사실 [칼을 잡은 사람은 칼이 펜보다 강하다고 얘기를 안 하잖아요. 왜냐하면 사실이 칼이 더 강하니까 말할 필요가 없는 거지요.] 그런데 펜 쥔 사람이 현실의 꼭대기에서 야단치고 호령하려고 하는데 이건 안 되죠. 문학은 뭐 초월적 존재로 인간을 구원한다, 이런 어리석은 언동을 하면 안 되죠. 문학이 현실 속에서의 자리가 어딘지를 알고, 문학하는 사람들이 정확하게 자기 자리에 가 있어야 하는 거죠" 

ㅡ한겨레21(?)과의 인터뷰 중




인간 일반에 실망해도 인간 개인에 대한 희망을 계속 품고 살아가는 건 참 어렵고 고단한 일입니다. 하종강 선생이 존경스러운 지점이죠.  



3


    vlncent
    얼마 전부터 좀 극단적인 회의주의자가 됬습니다. 자아, 영혼, 이성, 과학 등등의 개념에 모조리 물음표를 찍게 되더라고요.

    그래서 그 후로 쭉 절망적이고... 꼭 그래서는 아니겠지만, 김훈의 글을 좋아하고 있는데...

    저는 위로라기보단, 동병상련같은 느낌을 받아요. 이사람만큼 제 생각과 가까이 있는 사람은 없는 것 같습니다.
    당근매니아
    그런 당신에게 딱 맞는 잡지! 계간 스캡틱코리아! 는 반농반진담입니다. 남의 주장 말 글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대신 샅샅히 분해해서 다시 훑는 게 이 사회에서는 악덕으로 취급 받는 경우가 많은데, 비슷한 사람이 있다는 자각이 도움이 됩니다.
    둘째 문단은 저도 좋아해서 기억해두고 있습니다.
    셋째 문단은 포즈라고 생각합니다.
    난커피가더좋아
    좋은 작품과 비평에 취하는 건 좋으니, '문학(비평)한다는 사실'에 취해버리면 안되죠. 저는 김훈과 생각은 좀 다른 편입니다만, 충분히 새겨들을 말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39 도서/문학[마르크스 사상사 시리즈] 1. 맑스?마르크스? 29 nickyo 16/09/21 5756 5
    3637 도서/문학지난 달 Yes24 도서 판매 순위 6 AI홍차봇 16/09/03 3375 0
    3597 도서/문학독서 노트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 19 리틀미 16/08/28 6075 0
    3570 도서/문학여러분의 국어 어휘력을 테스트하겠습니다. 44 Toby 16/08/24 53191 0
    3522 도서/문학[책나눔]포토샵 배우실 분? 11 난커피가더좋아 16/08/15 4818 7
    3457 도서/문학[스포] 블리치 13 피아니시모 16/08/06 5752 1
    3431 도서/문학지난 달 Yes24 도서 판매 순위 2 AI홍차봇 16/08/03 3265 1
    3387 도서/문학히틀러 <나의 투쟁>을 읽고 6 DrCuddy 16/07/28 9172 11
    3353 도서/문학삼국지에서 가장 싸움을 잘하는 건 누구일까? 30 Raute 16/07/26 8975 0
    3343 도서/문학[왕도의 개], 겨레의 형편을 넘어서는 도리가 있음을 믿는가? 6 커피최고 16/07/24 7836 4
    3342 도서/문학보유 서적 중에 가장 소장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책은 무엇입니까? 72 관대한 개장수 16/07/24 11464 1
    3219 도서/문학[펌] 글쓰기란 병법이다 14 기아트윈스 16/07/07 5311 3
    3180 도서/문학지난 달 Yes24 도서 판매 순위 2 AI홍차봇 16/07/03 4026 0
    3150 도서/문학레진코믹스 이용 한 달 후기 11 Raute 16/06/28 7782 2
    3078 도서/문학정유정 신작 종의 기원을 읽고(스포없음) 4 nickyo 16/06/20 5124 2
    3031 도서/문학"한국 노벨상 집착 당황스럽다" 33 기아트윈스 16/06/15 6046 0
    3014 도서/문학좋은말씀 전하러 왔습니다............#만화책#핫딜 17 전크리넥스만써요 16/06/13 5642 1
    3001 도서/문학. 19 리틀미 16/06/12 4830 0
    2998 도서/문학인간에 절망할 때 읽는 글 4 당근매니아 16/06/11 5095 3
    2943 도서/문학지난 달 Yes24 도서 판매 순위 10 AI홍차봇 16/06/03 3940 0
    2837 도서/문학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시인 중의 한명 16 Beer Inside 16/05/19 5485 0
    2736 도서/문학지난 달 Yes24 도서 판매 순위 4 AI홍차봇 16/05/03 6143 0
    2722 도서/문학HBR - 10 must reads 피터드러커의 글 중에 4 까페레인 16/05/01 5416 0
    2633 도서/문학서평 - 시스템을 만드는 사람들과 그에 반하는 사람들 2 커피최고 16/04/18 4835 2
    2599 도서/문학원서를 멋대로 재구성하는 출판사 6 커피최고 16/04/13 4978 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