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6/01 09:35:45
Name   April_fool
Link #1   http://what3words.com/
Link #2   http://www.bloter.net/archives/257156
Subject   what3words - 전세계 공통 주소체계
what3words(이하 W3W)라는, 지구상 어디에서나 통용가능한 지오코딩 시스템이 있습니다. 이건 복잡한 GPS 좌표 대신, 단어 3개로 지구상의 어떤 좌표든지 표현하게 한다는 혁신적인 발상을 구현한 것입니다.

W3W의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구 전체를 가로세로 3m짜리 정사각형으로 나누면 대략 57조 개에 달하는 사각형 조각이 나오는데, 이걸 사전에 나오는 영단어 3개의 조합으로 치환하는 것입니다. 영단어끼리의 조합은 컴퓨터 알고리즘에 의해 도출되며, 사용되는 영단어는 모두 25,000개 정도면 충분하다고 하네요. 원리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영단어 말고 다른 언어로도 얼마든지 이런 주소 조합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현재 제가 있는 곳의 좌표는 mouse.deaf.pasting 이렇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앗 개인정보 노출!)
이 좌표가 어디인지는 https://map.what3words.com/ 여기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혹은 앱스토어나 플레이스토어에서 [what3words] 앱을 다운받거나요.

이걸 만든 사람의 말에 따르면, 주소라는 건 누구에게나 중요한 것인데 이런 것이 60여 년 이상 아무런 혁신 없이 존재한다는 건 말이 안 된다고 하는군요. 특히나 도로명주소와 옛 지번주소가 혼재되는 바람에 실제 주소 표기가 더 길어져버린 한국의 사정을 생각하면, 미래의 주소는 가능한 한 짧으면서도 명료해야 한다는 점이 실감납니다.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하여, 여기에 소개합니다. 자세한 것은 위 링크를 참조하세요.



1


    눈부심
    너무 기발하고 획기적이고 훌륭하고 믿을 수 없으리만치 간단해서 말이 안 나와요...
    April_fool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가장 큰 단점을 꼽자면, 역시 이 주소체계는 [컴퓨터 내비게이션의 존재 위에서 성립되는 시스템]이란 것이죠. 이 주소체계는 실제 지리적 공간과 의미적 연계가 희박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컴퓨터 내비게이션을 필요로 합니다. 뭐,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실현된 근미래에는 별 문제가 안 될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음 3m x 3m 내에 주소지가 여럿 있는 경우가 없긴 하겠군요... 고시원 정도?
    우려점을 굳이 생각해보자면, 비슷한 단어로 혼동된다거나 그럴 일은 없을까요? 끝에 s를 빠트린다던가 이런...
    켈로그김
    옆방이랑 형광등 나눠썼던 기억이.. ㅋㅋ
    April_fool
    고시원이나 아파트 같은 경우에는, 입구 좌표를 주소지로 하고 뒤에 몇 층 몇 호실인지 적어넣으면 되겠죠. 세 단어 뒤에 한 단어 정도 더 써넣는 것쯤이야…

    끝에 s를 빼먹는다거나 하는 경우에 대한 대비는 이미 되어 있더군요. 한 글자라도 달라지면 전혀 엉뚱한 곳(외국)에 좌표가 찍히는데, 이 경우를 대비하여 지도 홈페이지나 앱에는 비슷한 단어(예를 들면 s가 붙는 복수형이나 ed가 붙는 과거형)를 자동으로 추천하거나 하는 등의 기능이 있더군요. 또, 주소 생성 알고리즘 자체에 이런 문제에 대비하기 위한 오류 내성 기능을 갖춰둔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 :
    ... 더 보기
    고시원이나 아파트 같은 경우에는, 입구 좌표를 주소지로 하고 뒤에 몇 층 몇 호실인지 적어넣으면 되겠죠. 세 단어 뒤에 한 단어 정도 더 써넣는 것쯤이야…

    끝에 s를 빼먹는다거나 하는 경우에 대한 대비는 이미 되어 있더군요. 한 글자라도 달라지면 전혀 엉뚱한 곳(외국)에 좌표가 찍히는데, 이 경우를 대비하여 지도 홈페이지나 앱에는 비슷한 단어(예를 들면 s가 붙는 복수형이나 ed가 붙는 과거형)를 자동으로 추천하거나 하는 등의 기능이 있더군요. 또, 주소 생성 알고리즘 자체에 이런 문제에 대비하기 위한 오류 내성 기능을 갖춰둔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 :
    https://support.what3words.com/hc/en-us/articles/203066992-What-if-I-spell-or-say-a-word-incorrectly-or-get-the-words-in-the-wrong-order-
    오타가 발생하면....
    기다리던 택배를 조회해보니 러시아로 가있는 상황이 발생할지도 모르겠군요 ㅋㅋ
    오오 멋지네요.
    어렵게 만들기 위한 암호가 아닌, 쉽게 만들기 위한 암호네요.
    디지털 시대에 어울리는 멋진 아이디어라고 생각합니다.
    파워후
    할말이 없어지는 멋진 아이디어네요....내 머리는 왜 이런걸 생각 못하는가
    레지엔
    예전에 IP를 컴퓨터 단위가 아니라 사람 단위로 할당할 수 있지 않을까 하면서 생각했던 아이디어랑 비슷하네요. 제길 나도 특허를 냈어야...!

    이 방식은 기존 주소, 특히 각 국의 법정 지역 단위하고는 별개로 존재할 때 오히려 더 빛을 발할 겁니다. 그러니까 국제 우편 등을 보낼 때 세 단어로 '대충 어디'쯤인걸 알고 거기로 날리면 그 국가/지역의 우편집중국에서는 그 지역을 잘 알테니까 세부 주소를 보고 정확히 전달해줄 수 있죠. 도로명 주소 도입되면서 생긴 '기존 주소를 듣고 지도를 대충 그릴 수 있던 사람들'의 불편감을 해소해주는 방향으로 활용하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April_fool
    사실 이 주소체계는 듣고 대충 어디다 하는 것을 알기는 오히려 어렵다는 단점이 있지요.
    와일드볼트
    그런데 주소에 사용되는 단어를 가치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단어로 선별해서 사용해야될것 같네요.
    당장 좀 움직여 보니깐 주변에 terrible이라던지 unable이라던지 부정적인 단어들이 제법 나오는데
    자기 사는 주소를 이런 단어들로 표시하는건 좀 꺼려지겠죠.
    이미 서비스가 런칭된 이상 변경은 어렵지 않을까 싶긴 하네요.
    April_fool
    저도 그 부분은 좀 아쉽습니다. 나오는 단어가 사전에서 추출한 것이라는 말을 듣자마자 그 문제가 생각났는데, 거기까지는 신경쓰지 못했나 보군요.
    재밌어요. koala.kangaroo.로 시작되는 단어조합들 중에 호주로 가는 것들이 있는데 우연일까요? 단어조합 원리가 완전히 자의적인 것은 아닌가 봐요.
    sway with me
    상당히 재미있는 아이디어입니다만, 실용적인 아이디어까지는 아직 못 도달한 것 같아요.
    종이에 씌어진 주소를 들고 누군가의 집을 찾아가는 상황을 생각한다면, 한 개의 조각과 바로 옆의 조각 주소 사이에 이해하기 쉬운 특정한 규칙이 없다면, 저 주소를 봤을 때 대강 어디인지 떠올리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긴 하겠네요.
    April_fool
    네. 실제 공간과 주소 사이의 의미적 연계가 희박하다고 할 수 있지요. 하지만 사람이 듣고 대충 어디다 하는 것을 알 수 있게끔 개량된다면 정말 실생활에 도입할 만한 가치가 있지 않을까요.
    sway with me
    음... 답변을 주셔서 조금 더 생각해 봤는데, 공간분할방식이라는 기본적인 전제가 바뀌지 않으면 실용적이기가 힘들다는 생각이 자꾸 드네요.
    현재의 형태는 주소 체계라기 보다는, 단순히 좌표체계를 숫자를 사용한 좌표에서, 자연어(이 경우 영어)의 단어 조합을 통해서 표시하는 좌표로 바꾼다는 의미 이상이 아닌 듯 하거든요.
    그런데 실제로 우리는 생활에서 공간을 좌표로 이해하면서 살지를 않아서요. 대개 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지형지물을 중심으로 위치를 이해하면서 살아가지요. 뭐 이건 인간이 그런 식으로 공간을 파악하면서 생존, 진... 더 보기
    음... 답변을 주셔서 조금 더 생각해 봤는데, 공간분할방식이라는 기본적인 전제가 바뀌지 않으면 실용적이기가 힘들다는 생각이 자꾸 드네요.
    현재의 형태는 주소 체계라기 보다는, 단순히 좌표체계를 숫자를 사용한 좌표에서, 자연어(이 경우 영어)의 단어 조합을 통해서 표시하는 좌표로 바꾼다는 의미 이상이 아닌 듯 하거든요.
    그런데 실제로 우리는 생활에서 공간을 좌표로 이해하면서 살지를 않아서요. 대개 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지형지물을 중심으로 위치를 이해하면서 살아가지요. 뭐 이건 인간이 그런 식으로 공간을 파악하면서 생존, 진화해 왔으니 어쩔 수가 없을 겁니다. 주소 체계는 그에 맞춰서 정착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그렇다고 해서 현재 주소 체계 같이 지형지물을 공간분할 단위로 하는 것으로 바뀐다면, 현재 쓰이는 주소체계에 비해 나을게 무엇일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일단 지형지물의 다양성 때문에, 이 체계가 추구하는 세계공통 주소체계라는 것을 실현하기가 상당히 까다롭겠지요. 또 주소에 쓰이는 해당 공간의 명칭은, 현재의 주소체계가 생기기 이전부터 원래 그 지역에 살던 사람, 혹은 그 주변 사람이 부르던 명칭에 기반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니, 임의의 단어 조합을 이용한 주소는, 실제 생활에 주소를 부르며 사용해야 하는 생활인들에게 수용성이 그다지 좋을 것 같지가 않아요.
    여하튼, 실용성 여부를 떠나서 아주 재미있는 아이디어네요. 지리적 주소 말고 이런 아이디어를 적용할만한 좋은 곳이 없을까 모르겠어요.
    April_fool
    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인 것은 맞는 듯 합니다.
    sway with me
    네 신선하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448 과학/기술SEWOL X 40 하니n세이버 16/12/26 7788 0
    4355 과학/기술걱정의 구체성이 불안 및 인지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 4 NightBAya 16/12/11 4573 2
    4252 과학/기술양자역학 의식의 흐름: 금수저와 집사 13 Event Horizon 16/11/29 6492 8
    4024 과학/기술혈우병과 무당 라스푸틴 2 모모스 16/10/28 9190 6
    4002 과학/기술신내림 약물과 무당, 주술가, 버서커 6 모모스 16/10/25 8105 15
    3994 과학/기술[토막상식] 정확도(accuracy)와 정밀도(precision)에 대하여 19 April_fool 16/10/24 19603 1
    3979 과학/기술네안데르탈인을 복제할 수 있다면? 12 눈시 16/10/21 4704 1
    3955 과학/기술나이아 (Naia) 의 소녀와 자연계의 덫 모모스 16/10/19 5847 4
    3933 과학/기술아르마딜로와 한센병 1 모모스 16/10/17 14180 3
    3907 과학/기술어린 데니소바인 (Denisovan) 소녀의 치아 2개 7 모모스 16/10/14 6018 2
    3866 과학/기술산호초와 진딧물 5 모모스 16/10/10 6094 2
    3847 과학/기술판다와 비만 3 모모스 16/10/07 6107 5
    3834 과학/기술플로레스섬에서의 왜소화 vs 거대화 6 모모스 16/10/05 7644 5
    3759 과학/기술혼외 정사 (Extramarital Sex, EMS) 의 과학 27 모모스 16/09/23 7611 9
    3750 과학/기술양자역학 의식의 흐름: 월급 D 루팡 29 Event Horizon 16/09/22 5956 10
    3714 과학/기술양자역학 의식의 흐름: 더 퍼스트 어벤져 36 Event Horizon 16/09/16 6251 12
    3568 과학/기술2)RST 관계들의 정의들. 6 베누진A 16/08/24 7356 0
    3567 과학/기술1) 테마레마, RST 활용한 독해모델의 개괄과 참고할 책,논문들 소개 11 Ben사랑 16/08/24 10128 0
    3455 과학/기술인공지능 왓슨의 의학적 진단 보조 사례 33 April_fool 16/08/05 5820 1
    3438 과학/기술여성의 오르가즘은 왜 생겼나? 46 April_fool 16/08/03 7950 0
    3400 과학/기술도핑테스트와 질량분석기 5 모모스 16/07/30 6003 9
    3396 과학/기술창백한 푸른 점 6 April_fool 16/07/29 7103 3
    3036 과학/기술The Big Alien Theory 4 NightBAya 16/06/16 4706 0
    2953 과학/기술Re : Re : 국내의 에너지 산업 혹은 태양광산업 동향은 어떤가요? 30 고양이카페 16/06/06 5760 9
    2929 과학/기술what3words - 전세계 공통 주소체계 19 April_fool 16/06/01 6560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