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2/11 21:00:26
Name   구밀복검
Subject   2012-13, 한국 영화의 벨 에포크
<살인의 추억>, <올드보이>, <공공의 적 시리즈>, <실미도> 등으로 대표되는 02-05가 한국 영화가 개도국적 미개함을 벗어나 산업으로서 도약한 1차 중흥기라면, 12-13은 한국 영화 시장이 세계구 급으로 도약한 2차 중흥기입니다. 그리고 이런 중흥기를 이끈 것이 <범죄와의 전쟁>, <광해>, <내 아내의 모든 것>, <도둑들>, <설국열차>, <관상>, <베를린>, <변호인>, <더 테러 라이브>, <신세계> 같은 작품들이고요. 비교적 근과거인지라 명확하게 체감되지는 않지만요.

일단 관객수부터가 어마어마하게 늘어난 것이, 12년 들어 전년에 비해 관객 숫자가 4000만 명 가까이 늘어나 총 1억 9500만 명을 기록했으며, 처음으로 순수하게 <한국영화>만으로 관객수 1억 명을 동원했습니다. 2002년에 처음으로 외화포함 전체 관객 1억명을 돌파했는데, 10년 만에 2배 가까이 관객 숫자가 늘어난 거죠. 그리고 그 기세를 이어나가 2013년에는 전체 관객 2억 명을 돌파합니다. 소비의 관점에서 세계 영화 시장의 체급을 따져보면 미국이 무제한급, 중국이 크루저웨이트급, 일본이 슈퍼 미들급, 영국/프랑스가 미들급, 독일/인도/호주/러시아 등이 주니어미들급이라고 할 수 있을 텐데, 한국이 주니어 미들급에 안착하고 미들급을 바라보는 수준이 된 것이 바로 이 시기입니다.

비지니스의 관점에서도 비약적인 혁신이 있었는데, 12년에 영화 시장 전체의 투자 수익률이 13.3%로, 05년 이후 7년만에 처음 흑자가 나왔습니다. 13년에는 14.1%였고요. 06년부터 11년까지는 다 적자였죠. 그 전까지는 영화 만들면 평균적으로 손해를 보던 시기였던 것과 달리, 12년을 기점으로 수익 구조가 확립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과정에서 큰 역할을 했던 것이 군소 영화배급사였던 NEW의 도약이죠. 이때 NEW가 배급한 영화가 <내 아내의 모든 것>, <부러진 화살>, <7번방의 선물>, <변호인>, <숨바꼭질>, <감시자들>, <신세계> 등인데, 배급하는 족족 대박을 치면서 2013년에는 CJ와 영화 시장을 양분합니다. 그나마 외화 빼고 한국 영화 배급 기준으로 하면 NEW가 CJ보다 위였죠. 그러면서 CJ 원탑에 롯데/쇼박스(메가박스. CJ/롯데/메가박스 모두 영화관 체인을 갖고 있어 자신들이 제작하고 자신들이 배급해서 자신들이 극장에 영화를 대대적으로 걸어 거저 먹을 수 있는 대기업들이죠.)가 보조하는 독/과점 구조가 일시적으로 깨졌고요. 실제로 보통 관객 점유율 30% 이상을 기록하던 CJ가 2012년에는 27.2%, 2013년에는 21.4%로 약세를 보였죠. 21세기 들어 유일하게 CJ 독점이 깨진 시기에 한국 영화 시장이 가장 커졌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이 시기에 관객 연령층도 다변화 됩니다. 2003년에는 전체 영화 관객의 65%가 20대였던 반면, 2013년에는 24% 정도로 하락하죠. 반면 30대 관객은 28%에서 40%로, 40대 관객은 5%에서 25%로 급증하고요. 얼핏 보면 20대 관객이 크게 줄어든 것 같지만, 사실 그렇지 않습니다. 2003년보다 2013년에 영화 관객이 2배 많거든요. 절대적인 숫자로 보면 20대 관객은 소폭 감소한 정도에 불과합니다. 여기에 20대 인구 숫자 자체가 감소한 것도 있고요.  즉, 20대는 예전에 준하는 정도로 꾸준히 본 것이고, 30대는 과거에 비해 3배 가량, 40대는 과거에 비해 10배 가량 많은 인구가 영화를 보게 된 것이죠.  

이러한 한국 영화의 벨 에포크는 CJ가 <명량>, <국제 시장>, <수상한 그녀>, <트랜스 포머> 등을 배급하여 반란을 진압하며 끝나게 됩니다. 더불어 <인터스텔라>, <엣지 오브 투모로우>의 워너와 <혹성 탈출>, <엑스맨:데이즈 오브 퓨처 패스트>의 폭스 등 헐리우드 영화사들이 한국 영화 시장에 대한 지배력을 확대하고요. 반면 2012-13의 혁신 선봉장이었던 NEW는 <인간중독>, <해무>, <패션왕>, <허삼관>, <헬머니>, <열정 같은 소리 하고 있네>, <대호> 등이 줄줄이 죽을 쑤며 다시 제자리로 회귀합니다.


특별히 가치 판단을 한 것은 아니고, 데이터와 일련의 정보들만 나열한 글이라 방향성이 없어 글에 재미는 없는 듯 합니다. 다만 근년의 흐름을 간략하게 정리 하는 김에 이런저런 한국 영화 이야기 하면 재미있겠다 싶어 불판 삼아 올려봅니다. 본문보다 심화된 정보를 제공해주실만한 분도 많을 테고.



1


    마스터충달
    벨 에포크
    ‘좋은 시대’라는 뜻.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파리는 과거에 볼 수 없었던 풍요와 평화를 누렸다. 예술·문화가 번창하고 거리에는 우아한 복장을 한 신사 숙녀가 넘쳐흘렀다. 물랭루즈와 레스토랑 맥심으로 대표되는 아름다운 꽃의 파리를 이루었다. 그 후 외교면에서나 경제면에서나 쇠퇴와 핍박이 계속되어 1900년대 초의 파리를 아는 사람들은 한없는 애착심을 가지고 이 시대를 ‘좋은 시대’라고 불렀다.
    \'네이버 지식백과\' 벨에포크 \'La belle époque\' (모발학 사전, 2003. 5. 22., 광문각)
    혹시 저처럼 찾아보실 분들을 위해...
    구밀복검
    오사카 미에코의 동명의 만화 [벨 에포크(한국 번역명 아름다운 시절)]도 제법 유명하지요. 직장생활 하는 30대 여성을 다룬 일상 드라마물입니다. 역사물은 아니고 그냥 이름만 따온 것이지만.
    외노자
    감사합니다.
    Beer Inside
    X-세대로 불리는 아재들이 나이가 들면서 문화산업 시장을 키운것이 컷다고 봅니다.
    구밀복검
    예전에도 몇 번 비슷한 이야기를 했지만, 70년대 초중반을 기점으로 세대가 나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까 지금의 40대 중반에서 위아래로 세대가 나뉘지 않나 싶어요. 80년대 말부터 00년대 초 사이에 한국이 선진국 대열로 접어들면서 일어났던 변화들을 유-청년기에 체험했느냐 장년기 이후에 체험했느냐의 차이가 있으니까요. 민주화/대중대학화/자본화/세계화/문화산업 성장/테크놀로지 혁신 등등...[아재]라는 기믹성 어휘조차도 사실 40대 중반 미만에서 활발하게 유통되는 어휘고요. 그 윗 세대들은 잘 모르는 코드죠.
    마스터충달
    NEW는 정말 안습인게 2015 최고 흥행작이 <연평해전> ㅠ.ㅠ
    롯데엔터테인먼트는 국내작은 배급사 이름보고 피하는 수준이 된데다가 수입작도 영 성과를 못 내고 있죠.
    2015년의 최종승자는 쇼박스죠. <암살>, <사도>등 국내작도 흥행한데다 외화 수입에서도 짭짤한 수입을 올리고 있죠. 지금 <검사외전>도 잘 나가고 있네요.

    13년 부터 흑자로 돌아선 점. 관람 연령대가 다양해진 점은 고무적인 일입니다.
    다만 흥행 공식이 고착화되어가는 기분이 들고 그게 15년에 이르러 심해진 감... 더 보기
    NEW는 정말 안습인게 2015 최고 흥행작이 <연평해전> ㅠ.ㅠ
    롯데엔터테인먼트는 국내작은 배급사 이름보고 피하는 수준이 된데다가 수입작도 영 성과를 못 내고 있죠.
    2015년의 최종승자는 쇼박스죠. <암살>, <사도>등 국내작도 흥행한데다 외화 수입에서도 짭짤한 수입을 올리고 있죠. 지금 <검사외전>도 잘 나가고 있네요.

    13년 부터 흑자로 돌아선 점. 관람 연령대가 다양해진 점은 고무적인 일입니다.
    다만 흥행 공식이 고착화되어가는 기분이 들고 그게 15년에 이르러 심해진 감이 있죠.
    16년에도 비슷한 고착화는 계속될 것 같고, 그런 공식을 따르는 영화의 흥행도 여전히 잘 될 것 같습니다.
    이 흑자 노선이 경제 호황기를 맞이해서 버블이 생겨나고 그 돈잔치가 그럴싸한 작품과 만난다면 역대급 명작이 나올지도요.
    뭐 그럴 수 있는 황금같은 기회를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 한 방으로 날려먹은 한국 영화계이긴 합니다;;;;;
    구밀복검
    실제로 14년에는 영화 시장 전체 수익률이 0에 수렴했으며, 15년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14년보다 악화되었다고 생각할 때 적자가 나오지 않았을까 싶긴 합니다. <베테랑>과 <암살> 쌍천만 외에는 흥행 영화도 몇 없기도 했고, 반면 쪽박 찬 작품은 14년 이상으로 많았죠. 외화의 경우 <어벤져스>, <쥬라기 월드>, <미션 임파서블>, <킹스맨> 등이 승승장구 했고.

    이건 재미로 하는 이야기입니다만 <로봇소리>의 제작비가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에 준하죠. 손익 분기점이 300만이라는데 현실은 50만도 돌파 못..
    마스터충달
    그래도 14, 15의 적자는 경기침체의 영향도 있어서 옛날 만큼 암울하진 않은 것 같습니다. 영화 소비구조가 바뀐 점은 여전히 유효하니 경기만 회복된다면 다시 금새 흑자로 돌아서지 않을까 싶어요.

    그나저나 <로봇 소리> 배급사가 롯엔... 나루호도...
    구밀복검
    방금 찾아봤는데 2015년에 전년대비 관객수는 1% 증가(2억 1700만), 한국영화 점유율은 50.1%에서 52%로 증가네요. 그러나 투자 수익률은 -7.2%로 크게 하락했습니다. 체감과 크게 다르지는 않은 듯 합니다.
    리틀미
    2014년부터 수익율이 떨어졌군요. 관객수는 계속 정점을 찍고 갱신하는 줄 알았는데 CJ 이외 배급사 작품들이 2012-13년 이전처럼 망하다보니 전체적으로 적자가 되었나 봅니다. 본문에는 없는 내용이라 계속 좋아지고 있는 줄 알았네요. 다양성이나 수익 측면에서 그 때보다 못한 상황이 확실하군요.
    구밀복검
    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013년에는 한국 영화 총매출이 5018억이었고, 비용은 4396억이었습니다. 반면 2014년에는 3460억으로 크게 하락합니다. 비용은 3448억이었고요. 관객수는 2억 1300만에서 2억 1500만으로 아주 소폭 늘어났지만 이 정도면 성장률은 둔화된 것을 알 수 있고, 그나마도 외화 관객 비중이 높았습니다. 2013년에는 한국영화 관객 비율이 59.7%인 반면, 2014년에는 50.1%를 기록하며 예전 수준으로 회귀했지요. CJ의 점유율은 2013년에는 21.4%였으며, 2014년에는 24.9%로 회복세를 보입니다. 즉, 2014년 들어 한국 영화 산업은 침체되었고, 축소된 파이를 CJ가 독식한 형태인 것이죠.
    리틀미
    명량, 국제시장 개봉일을 헷갈렸는데 2014년이네요. 단일 한국 영화 관객수가 갱신되었는데도 매출이 1000억 이상 떨어지고 수익율이 급감해버렸다는 건 단순히 다양성이 중요하다는 원론적인 얘기를 넘어서 시사하는 바가 많군요. 이게 CJ의 적극적인 독점주의 때문에 거위의 배를 가른 것인지 아니면 그저 다른 배급사에서 좋은 작품을 예전만큼 내놓지 못하는 것인지 둘 다인지 파악해야 영화평론가들이랑 기자들도 먹고 살텐데요. 뭔가 슬프네요.
    리틀미
    벨 에포크가 뭔가 검색해봤는데 아름다웠던 시절이라는 불어군요. 경제학적 통계 위주인 본문의 관점을 따라가보면 CJ가 명량과 국제시장을 내놓으면서 독점 체제를 굳건히 할 때가 가장 영화 시장이 커진 때가 아닌가요? (아닐수도요?) 물론 2012-13년에 NEW가 내놓은 작품들과 2015년에 CJ가 내놓은 작품들을 비교하자면, 그 때가 벨 에포크인 것 같지만요. 하지만 2015년에 NEW에서 내놓은 작품들을 보니 밀릴만 하네요.

    벨 에포크라고 생각하셨던 시기가 CJ에 의해서 끝나버렸다고 말씀하시는 이유가, 단순히 영화 시장의 확대... 더 보기
    벨 에포크가 뭔가 검색해봤는데 아름다웠던 시절이라는 불어군요. 경제학적 통계 위주인 본문의 관점을 따라가보면 CJ가 명량과 국제시장을 내놓으면서 독점 체제를 굳건히 할 때가 가장 영화 시장이 커진 때가 아닌가요? (아닐수도요?) 물론 2012-13년에 NEW가 내놓은 작품들과 2015년에 CJ가 내놓은 작품들을 비교하자면, 그 때가 벨 에포크인 것 같지만요. 하지만 2015년에 NEW에서 내놓은 작품들을 보니 밀릴만 하네요.

    벨 에포크라고 생각하셨던 시기가 CJ에 의해서 끝나버렸다고 말씀하시는 이유가, 단순히 영화 시장의 확대폭이 줄어들었다는 것이 아니라면 역시 작품들의 내용 측면에서 이야기해주시면 재밌을 것 같아요. 많은 사람들이 한국 영화에 대해서 어떤 시점 이후에 피로감을 느끼고 위기에 도달했다고 느끼고 있는 것 같고, CJ 독점과 관련된 배급사나 영화 시장 자체에 대한 이야기는 의외로 대중들에게 잘 알려져 있으니까요. 황정민이 너무 나와서 지겹다를 넘어서 뭔가 이상해져가고 있는데 그 뭔가가 뭘까 구밀복검님 같은 분이 짚어주시길!

    개인적인 생각은 일종의 빅데이터화가 아닐까 싶어요. 막장 드라마 작가 임성한이 대본을 쓸 때 방송국에서 시청률 데이터를 분단위로 받아와서 어떤 장면에서 시청률이 상승하는지 철저하게 분석해서 쓴다는 이야기를 본 적이 있습니다. 빅데이터의 원조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임성한 씨가 사실상 퇴출되고 나서도 지상파 드라마는 비슷비슷한 이유가 시청률이 나온다고 검증된 대본을 사용하기 때문이겠죠.

    TVN 드라마가 한국 영화의 벨 에포크 시기의 NEW와 비슷한 입지일 것이고, 영화는 드라마보다 더 큰 자본에 의해 움직이니, 투자자들의 지리한 실패와 침체기 끝에 더 완벽하게 최적화된 시나리오와 연출을 찾아낸 것으로 느껴집니다. 황정민을 비롯한 주연배우들이 어떻게 쓰이고, 어떤 영화들이 만들어지는지 생각해보면 빅데이터에 기반한 최적화를 떠올릴 수 밖에 없는 것 같아요. 지금 지상파에 대항하는 TVN이 CJ 계열이라는 게 재밌네요. 이런 흐름을 깰 만한 한국 영화 라인업이 기다리고 있는지 궁금하기도 하고, 제가 영화에 대해선 잘 모르니 물론 이런 관점이 별로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겠죠.
    구밀복검
    뭐 이건 그냥 통빡입니다만, CJ나 롯데나 쇼박스처럼 상영관 독점이 가능한 투자-제작-배급-상영 복합체 기업들이 <본때>를 보여주게 되면, 군소 배급사들 역시도 그런 흐름에 따라가게 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원래 체급에서도 밀리는데 상영관 독점까지 행해지니, 여유가 없어지고, 자연히 모험을 하기가 어려워지고, 그리하여 <통속 표준>에 근접한 작품들 위주로 배급하게 되기 마련이지요. NEW가 2014년 이후로 그지깽깽이 같은 작품들을 다수 배급한 것도 그런 맥락이라고 생각합니다.
    리틀미
    2014년 이전까지를 생각해보면 빅데이터나 흥행코드, 통속 표준 같은 것과 거리가 먼 작품들이 흥행했던 것 같은데, 명량 이후에 뭔가 그 <본때>가 완성된 셈이네요. 이게 단순히 이런 영화가 흥행하지 않을까 하면서 투자자들 입맛 맞추는 작품들이 아니라 철저하게 데이터 의존으로 나온 설계도가 나오는 것 같아요. 변호인처럼 의외로 흥행했던 작품들에서 흥행 요소를 데이터화해서 뽑아내는 느낌이랄까요. 이런 건 창의성이나 도전 정신으로 이겨내기 어려울 것 같네요.
    리니시아
    임성한작가 이야기는 굉장히 흥미롭군요.
    사람들이 좋아할만한 장면들을 분석해서 비슷한 장면으로 범벅을 해 놓는다...
    황정민이 국제시장부터 히말라야까지 나왔던 영화들은 왜이리 비슷하게 느껴지는지,
    저는 이제 황정민배우가 광고만 출연해도 피로감이 느껴지더군요.
    리틀미
    빅데이터로 인공지능이 드라마를 쓰는 것도 곧 가능해질거라고 하더군요. 넷플릭스는 마케팅부터 드라마 제작까지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고 하고요.
    아니 어째서 2012년 13년이 한국영화의 벨에포크여 2003년이 벨에포크지... 하고 본문을 읽어보니 영화사(작품)가 아니라 산업에 대한 이야기였군요. 벨 에포크가 양차대전을 겪은 유럽인들의 다분히 비관적이고 회고적인 관점(다시는 오지 않을 호시절)을 반영하는 단어라는 점을 생각해 볼 때 불과 2,3년 전의 시기를 한국영화의 벨 에포크라고 지칭하는 것은 약간 성급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은 듭니다만, 앞으로 한국 영화계의 상황이 더 나아질 것 같지는 않으니 그런 시니컬한 단어를 사용하신 것도 끄덕끄덕...
    그래도 2012-... 더 보기
    아니 어째서 2012년 13년이 한국영화의 벨에포크여 2003년이 벨에포크지... 하고 본문을 읽어보니 영화사(작품)가 아니라 산업에 대한 이야기였군요. 벨 에포크가 양차대전을 겪은 유럽인들의 다분히 비관적이고 회고적인 관점(다시는 오지 않을 호시절)을 반영하는 단어라는 점을 생각해 볼 때 불과 2,3년 전의 시기를 한국영화의 벨 에포크라고 지칭하는 것은 약간 성급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은 듭니다만, 앞으로 한국 영화계의 상황이 더 나아질 것 같지는 않으니 그런 시니컬한 단어를 사용하신 것도 끄덕끄덕...
    그래도 2012-13년이 영화의 퀄리티와 다양성 측면에서 호시절이었는가 하면 그건 아닌 것 같아요. 일단 그 기간에 나온 한국영화 중에서 평론가들과 관객들이 같이 열광할 수 있는 영화가 위에 적어주신 목록 가운데 뭐가 있을지 모르겠거든요. 차라리 영화의 금맥이 확 터졌다는 의미에서 황금광시대라면 모를까. NEW에서 2012-13년에 배급한 한국영화들도 주로 고만고만한 웰메이드 영화들이었지 다양하게 라인업을 짠 것 같지도 않고요. <사이비> 하나가 기억에 남네요.
    리틀미
    테크니컬하게 표현하자면, 벨 에포크보다는 변곡점이나 꼭지점 같은 게 더 어울릴 것 같네요. 배급사별로, 시기별로 묶어놓는 것만으로도 영화 산업 추이에 맞춰서 뭔가 경향성을 보이는 게 재밌긴 하군요. 근데 또 비슷한 것 같기도 하네요. 당시에 송강호가 지금 황정민 느낌이었고 바로 뒤에는 김윤석이 그랬고... 확실한 건 2015년 들어서 CJ 독점이 엄청났다는 거.
    구밀복검
    <범죄와의 전쟁> 정도면 한 시기를 대표할만한 작품으로 거론할 만하지 않을까요? 저 역시도 그리 높게 평가하지는 않지만 <더 테러 라이브>나 <설국열차>나 <신세계> 같은 작품들도 영화 산업의 체급이 어느 정도 되지 않고서는 생산되기 어려운 영화들이라고 보고요. 저런 것이 뭐 대단한 영화들은 아니지만, 그 직전에도 그렇고 이후로는 저 수준의 영화조차도 안 나오고 있으니까요(09-11 즈음에는 <써니>가 박스오피스 지배한 영화 중 나은 축일 정도고, 14 이후에는 <끝까지 간다> 정도나 좀 거론해볼만 한 수준이니).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298 영화제 88회 아카데미 시상식 현 시각 배당율 현황 13 구밀복검 16/02/25 8093 0
    2293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5 AI홍차봇 16/02/25 4723 0
    2250 영화캐롤 (2015) _ 엥? 이 영화 완전 거품 아니냐? 20 리니시아 16/02/18 6171 1
    2249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1 AI홍차봇 16/02/18 4345 0
    2208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2 AI홍차봇 16/02/12 4536 1
    2201 영화2012-13, 한국 영화의 벨 에포크 20 구밀복검 16/02/11 5447 1
    2189 영화크리스찬 베일의 연기 전성기.avi 7 구밀복검 16/02/08 6460 0
    2172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5 AI홍차봇 16/02/04 5159 0
    2157 영화왓챠 플레이가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14 Toby 16/02/01 12898 2
    2153 영화좋았던 영화음악 2 눈부심 16/02/01 7603 0
    2150 영화레버넌트와 서바이벌 17 Moira 16/01/31 4965 3
    2135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2 AI홍차봇 16/01/28 4883 0
    2074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24 AI홍차봇 16/01/21 4793 0
    2038 영화(스포 無) 레버넌트 보고 왔습니다 12 Raute 16/01/16 4987 0
    2037 영화2015년 영화 총결산 '영화契' 시상식 (스압) 18 리니시아 16/01/16 4770 0
    2018 영화이번 주 CGV Top7 23 AI홍차봇 16/01/13 5013 0
    2001 영화나의 마음은 지지 않았다 (2007)_내가 용서를 안했는데 어떻게 먼저 용서 할 수가있어? 12 리니시아 16/01/11 5084 1
    1989 영화버드맨의 죽음 16 Moira 16/01/10 6053 4
    1977 영화넷플릭스에서 영화 한편을 보고 12 저퀴 16/01/08 5595 0
    1975 영화2015년 최악의 영화를 찾아서 6 kpark 16/01/08 5189 0
    1939 영화<셜록: 유령신부>를 보고(노스포) 19 kpark 16/01/04 6014 0
    1929 영화쿠엔틴 타란티노, "헤이트풀8" 후기 (약한 스포) 5 발로텔리 16/01/03 5757 0
    1867 영화버드맨과 보르헤스 11 뤼야 15/12/25 7235 2
    1779 영화그래비티 vs 인터스텔라 vs 마션 세계 흥행 기록 11 구밀복검 15/12/15 6657 0
    1743 영화[스포] 시카리오 보고 왔습니다. 2 王天君 15/12/09 10146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