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5/06/03 04:07:35 |
Name | 표절작곡가 |
Subject | [엘가] 위풍당당 행진곡 - 오르간에 대해 아시나요? |
자,,, 오늘 다룰 주제는 오르간입니다... 뭐 저는 오르간에 대해 아냐구요~ 저도 잘 몰라요~ 그래도 이렇게 글을 쓰는 건 그나마 주워들은게 여러분 보단 많을 테니 여러분께 그나마 알고있는거라도 소개드리고 싶어서 씁니다... ( 오르간은 지금은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전자 오르간, 파이프 오르간.... 나누는 기준은 간단합니다... 소리가 파이프에서 울리느냐,,, 아니면 스피커에서 울리느냐... 전자오르간이 그나마 휴대성(?)이 높아서 한국에서도 잘 쓰입니다... 파이프 오르간을 옮길 수는 없지 않겠습니까???크크 (건물을 세울 때부터 파이프오르간을 감안하고 설계한 것이라...) 먼저 일반적인 유럽 교회의 구조를 봐야겠죠?? - 그래야하는 이유는 딴게 아닙니다.... 교회에 오르간이 있기 때문이죠~ 물론 다른 음악회장에도 오르간 있는 곳이 유럽엔 다수 있습니다만,,, 어디까지나 유래는 교회에서 출발하니깐요~ (교회에서 도입하기 전에도 오르간은 있었습니다만,,, 대중화된게 교회도입부터...) ![]() 자세히 볼 건 아니고 간단히 살펴봅시다... 일단, 천장이 높습니다... 유리장식이 화려합니다...(교인들 성경 내용 교육 목적) 목사님 단상이 높습니다...계단 타고 올라가서 제가 쓴 그 위치에서 설교합니다...(천상의 소리라는 개념) 오르간 연주자도 다른 쪽 계단을 타고 올라가서 연주합니다..(마찬가지로 천상의 소리라는 개념) 관의 위치는 천장 가까이에 있습니다.... 그래서 소리가 천장을 맞고 반사되서 울립니다...(웅장한 효과 甲~~) 만약 성가대가 있다면 그것도 2층에 위치합니다... 물론 오르간 주자와는 반대 쪽입니다...(요것도 천상의 소리라는 개념) 자, 그러면 오르간 연주회만의 특징을 볼까요??? 위에서 캪쳐한 사진이네요~ ![]() 민두노총 연주자님이 계시고,,, 옆에 수북 청년단원 조수가 있네요~ 연주자도 연주자지만 옆에 조수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건반 양 옆에 빼곡히 차지하고 있는 봉들 보이시죠~ 조수는 그걸 조절합니다... 뺐다 꼽았다.... 그 봉들이 음색을 조절하거든요.... 건반 수가 왜이리 많아~!!!! ![]() 일반적으로 3단,,, 큰 건 6단짜리도 있고,,, 음대 연습실에는 보통 2단도 있는 편이고 그렇죠~ 그때그때마다 각 단마다 음색키를 설정해놓고 연주합니다... 그걸 옆에서 조수가 도와주죠~ 연주자는 건반만 컨트롤해도 바빠요.... ![]() 오르간 주자에게 키높이구두는 필수입니다.... 뒷굽으로도 연주하고,,, 발 앞쪽으로도 연주하거든요... 때에 따라서는 발로만 4성을 연주할 때도 있습니다.... 그리고 저 검은 페달은 cresc.와 decresc.를 조절합니다. 오르간만 가지는 몇가지 특징들이있습니다... 오르간은 관악기이다... - 피아노의 건반은 88개이며,,, 현도 88개 음을 내죠~ 오르간은 다릅니다... 큰 오르간은 1000개가 넘는 관을 가진 것도 있지요~ 천개 넘는 관이 다 같은 음색이 아닙니다... 어떤건 부드러운 걸로다 88개,,, 어떤건 강한걸로다 88개,,, 어떤건 텁텁한 소리로 88개,,, 이런식으로 음색마다 전부 구색을 맞추니 관이 많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모든 오르간은 다 다르다... - 그래서 오르간 주자는 연주전에 리허설 갖는게 엄청 중요합니다... 조수랑 어떤 키를 어떨 때 조절해야할지를 상의해야하거든요... 오르간은 오케스트라 편성에 들어가지 않는다... - 오르간이 마음 먹고 연주하면 오케스트라보다 소리가 더 큽니다... 휴대할 수 있는 것도 아니어서,,, 오케스트라 편성에는 안들어갑니다... 오르간 주자는 작곡 능력이 있어야한다... - 교회의 예배에서 예배가 시작되기 전 서곡을 연주합니다... 물론 있던 곡은 안하고 자기가 작곡하거나 즉흥으로 연주해야합니다... 그리고 찬송가의 전주도 자기가 즉흥으로 연주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오르간은 악기의 황제라고 불린다.. - 지금은 모든 동력을 다 전기로 돌립니다만,,, 옛날에는 오르간 연주하는 동안 밑에 것들이 열심히 동력원이 되어서 펌프질 하고 있어야합니다... 아니면 물이 누르는 힘으로 물이 공기를 눌러내는 동안 연주되도록 고안된 오르간도 있었죠~ 어차피 위치에너지를 이용한 거라 그 물들 다 밑에 것들이 퍼다 올려놔야합니다.... 오르간 주자는 그 동안 신선 놀음.....(?) 오늘 들으실 곡은 엘가의 위풍당당 행진곡입니다... 물론 원곡은 관현악곡이구요.... 이건 오르간으로 편곡된 버전입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표절작곡가님의 최근 게시물
|
세종문화회관에는 파이프 오르간이 있고 예술의 전당에는 파이프 오르간이 없습니다.
예술의 전당이 세워질 당시 파이프오르간을 위한 예산을 음악분수에 써버렸죠.
더 재미있는 건 세종문화회관 바로 뒤에 위치한 종교교회에도 파이프오르간이 있죠. 흐흐흐
가끔 여기서 하는 연주는 공짜로(!!!) 들을 수 있습니다.
종교인이 아니더라도 서양음악은 종교적인 의례에서 시작되었으니
반주로 파이프 오르간 연주를 음악으로 듣는 경험도 나쁘지 않더라고요.
사실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은 우리나라에서 손에 꼽을 정도로 좋은 음악홀인데 파이프오르간이... 더 보기
예술의 전당이 세워질 당시 파이프오르간을 위한 예산을 음악분수에 써버렸죠.
더 재미있는 건 세종문화회관 바로 뒤에 위치한 종교교회에도 파이프오르간이 있죠. 흐흐흐
가끔 여기서 하는 연주는 공짜로(!!!) 들을 수 있습니다.
종교인이 아니더라도 서양음악은 종교적인 의례에서 시작되었으니
반주로 파이프 오르간 연주를 음악으로 듣는 경험도 나쁘지 않더라고요.
사실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은 우리나라에서 손에 꼽을 정도로 좋은 음악홀인데 파이프오르간이... 더 보기
세종문화회관에는 파이프 오르간이 있고 예술의 전당에는 파이프 오르간이 없습니다.
예술의 전당이 세워질 당시 파이프오르간을 위한 예산을 음악분수에 써버렸죠.
더 재미있는 건 세종문화회관 바로 뒤에 위치한 종교교회에도 파이프오르간이 있죠. 흐흐흐
가끔 여기서 하는 연주는 공짜로(!!!) 들을 수 있습니다.
종교인이 아니더라도 서양음악은 종교적인 의례에서 시작되었으니
반주로 파이프 오르간 연주를 음악으로 듣는 경험도 나쁘지 않더라고요.
사실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은 우리나라에서 손에 꼽을 정도로 좋은 음악홀인데 파이프오르간이 없는 것은 옥의 티죠.
세종문화회관에서 파이프오르간 연주 들으러 간 적이 있는데(바흐) 앨범으로 듣는 것보다는 홀에서 들을 때
종교적 체험을 하게 되더군요. 저는 종교인은 아니지만요.
하프시코드나 쳄발로, 파이프오르간 등 피아노와는 다른 음색을 지닌 악기를 익숙한 멜로디로 연주한 음반들도 들을만한 것도 꽤 되지요.
다음번에는 다른 악기 이야기 기대하겠습니다.
저는 하프시코드의 챙챙거리는 음색을 매우 좋아해서 좋아하는 앨범도 꽤 됩니다.
세종문화회관에서 실물을 전시해 놓은 것을 본 적이 있는데 정말 작고 부서질 듯 약해 보이더라고요.
예술의 전당이 세워질 당시 파이프오르간을 위한 예산을 음악분수에 써버렸죠.
더 재미있는 건 세종문화회관 바로 뒤에 위치한 종교교회에도 파이프오르간이 있죠. 흐흐흐
가끔 여기서 하는 연주는 공짜로(!!!) 들을 수 있습니다.
종교인이 아니더라도 서양음악은 종교적인 의례에서 시작되었으니
반주로 파이프 오르간 연주를 음악으로 듣는 경험도 나쁘지 않더라고요.
사실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은 우리나라에서 손에 꼽을 정도로 좋은 음악홀인데 파이프오르간이 없는 것은 옥의 티죠.
세종문화회관에서 파이프오르간 연주 들으러 간 적이 있는데(바흐) 앨범으로 듣는 것보다는 홀에서 들을 때
종교적 체험을 하게 되더군요. 저는 종교인은 아니지만요.
하프시코드나 쳄발로, 파이프오르간 등 피아노와는 다른 음색을 지닌 악기를 익숙한 멜로디로 연주한 음반들도 들을만한 것도 꽤 되지요.
다음번에는 다른 악기 이야기 기대하겠습니다.
저는 하프시코드의 챙챙거리는 음색을 매우 좋아해서 좋아하는 앨범도 꽤 됩니다.
세종문화회관에서 실물을 전시해 놓은 것을 본 적이 있는데 정말 작고 부서질 듯 약해 보이더라고요.
그럼 제가 임헌정 들으러 부천 갔을 때 제 옆에서 산만떨던 중학생이 혹시 파란아게하님??? 크크크
농담입니다. 좋은 경험 하셨네요.
제가 중딩때 왠지 모르게 공부를 쫌 잘했나봐요. 지금은 빠가야로지만...
그래서 선생님께 음악회 티켓을 선물 받았는데 그때 세종문화회관에서 받은 충격이 저를 여기까지(라고 하니까 음악가가 된 듯 하지만 전혀 아니고 걍 좋은 청자죠...) 오게했습니다.
지역에서 운영하는 오케스트라는 객원으로 좋은 지휘자나 연주자를 초청하는 경우가 있어요.
그럴 때 수준이 갑자기 확 높아지죠.
티켓값도 저렴... 더 보기
농담입니다. 좋은 경험 하셨네요.
제가 중딩때 왠지 모르게 공부를 쫌 잘했나봐요. 지금은 빠가야로지만...
그래서 선생님께 음악회 티켓을 선물 받았는데 그때 세종문화회관에서 받은 충격이 저를 여기까지(라고 하니까 음악가가 된 듯 하지만 전혀 아니고 걍 좋은 청자죠...) 오게했습니다.
지역에서 운영하는 오케스트라는 객원으로 좋은 지휘자나 연주자를 초청하는 경우가 있어요.
그럴 때 수준이 갑자기 확 높아지죠.
티켓값도 저렴... 더 보기
그럼 제가 임헌정 들으러 부천 갔을 때 제 옆에서 산만떨던 중학생이 혹시 파란아게하님??? 크크크
농담입니다. 좋은 경험 하셨네요.
제가 중딩때 왠지 모르게 공부를 쫌 잘했나봐요. 지금은 빠가야로지만...
그래서 선생님께 음악회 티켓을 선물 받았는데 그때 세종문화회관에서 받은 충격이 저를 여기까지(라고 하니까 음악가가 된 듯 하지만 전혀 아니고 걍 좋은 청자죠...) 오게했습니다.
지역에서 운영하는 오케스트라는 객원으로 좋은 지휘자나 연주자를 초청하는 경우가 있어요.
그럴 때 수준이 갑자기 확 높아지죠.
티켓값도 저렴하고 가깝기 때문에 접근성도 좋고 자주 다니시면 좋겠어요.
여러 분들하고 음악이야기 나누고 싶은 소망입니당.
농담입니다. 좋은 경험 하셨네요.
제가 중딩때 왠지 모르게 공부를 쫌 잘했나봐요. 지금은 빠가야로지만...
그래서 선생님께 음악회 티켓을 선물 받았는데 그때 세종문화회관에서 받은 충격이 저를 여기까지(라고 하니까 음악가가 된 듯 하지만 전혀 아니고 걍 좋은 청자죠...) 오게했습니다.
지역에서 운영하는 오케스트라는 객원으로 좋은 지휘자나 연주자를 초청하는 경우가 있어요.
그럴 때 수준이 갑자기 확 높아지죠.
티켓값도 저렴하고 가깝기 때문에 접근성도 좋고 자주 다니시면 좋겠어요.
여러 분들하고 음악이야기 나누고 싶은 소망입니당.
흐흐흐. 나름대로 메모도 하면서 열심히 집중해서 저는 아니었을 것 같지만
애들이 단체로 수백명씩 몰려갔던 통에 아마 다른 분들한테는 민폐였을 겁니다.
그래서 음악실에서 숙제하러 간 사람만 단체기합 받고 그랬네요.
따져보니, 20년이 넘었습니다만
그때 음악 실기 시험에서 클래식 틀어주고 이게 어떤 작곡가의 어떤 노래인가 맞추는 문제를 10개 정도 내준 적이 있어요.
근데 그게 중학생 수준에서는 어려우니까 예상문제를 다 공개해주고 했던 거라
클래식 음반 있는 집에서 테이프로 복사해서 그걸 다시 더블데크 있는 집에서 다시 복사... 더 보기
애들이 단체로 수백명씩 몰려갔던 통에 아마 다른 분들한테는 민폐였을 겁니다.
그래서 음악실에서 숙제하러 간 사람만 단체기합 받고 그랬네요.
따져보니, 20년이 넘었습니다만
그때 음악 실기 시험에서 클래식 틀어주고 이게 어떤 작곡가의 어떤 노래인가 맞추는 문제를 10개 정도 내준 적이 있어요.
근데 그게 중학생 수준에서는 어려우니까 예상문제를 다 공개해주고 했던 거라
클래식 음반 있는 집에서 테이프로 복사해서 그걸 다시 더블데크 있는 집에서 다시 복사... 더 보기
흐흐흐. 나름대로 메모도 하면서 열심히 집중해서 저는 아니었을 것 같지만
애들이 단체로 수백명씩 몰려갔던 통에 아마 다른 분들한테는 민폐였을 겁니다.
그래서 음악실에서 숙제하러 간 사람만 단체기합 받고 그랬네요.
따져보니, 20년이 넘었습니다만
그때 음악 실기 시험에서 클래식 틀어주고 이게 어떤 작곡가의 어떤 노래인가 맞추는 문제를 10개 정도 내준 적이 있어요.
근데 그게 중학생 수준에서는 어려우니까 예상문제를 다 공개해주고 했던 거라
클래식 음반 있는 집에서 테이프로 복사해서 그걸 다시 더블데크 있는 집에서 다시 복사하고
그걸 워크맨으로 이어폰으로 한쪽식 돌려 듣고
어? 크라운베이커리! 슈베르트! 숭어!, 딴 따다다 단딴 딴 딴! 비발디! 사계! 뭐 이런 식으로 애들하고 맞추고 그랬네요.
클래식 제일 열심히 들었던 시절입니다.
애들이 단체로 수백명씩 몰려갔던 통에 아마 다른 분들한테는 민폐였을 겁니다.
그래서 음악실에서 숙제하러 간 사람만 단체기합 받고 그랬네요.
따져보니, 20년이 넘었습니다만
그때 음악 실기 시험에서 클래식 틀어주고 이게 어떤 작곡가의 어떤 노래인가 맞추는 문제를 10개 정도 내준 적이 있어요.
근데 그게 중학생 수준에서는 어려우니까 예상문제를 다 공개해주고 했던 거라
클래식 음반 있는 집에서 테이프로 복사해서 그걸 다시 더블데크 있는 집에서 다시 복사하고
그걸 워크맨으로 이어폰으로 한쪽식 돌려 듣고
어? 크라운베이커리! 슈베르트! 숭어!, 딴 따다다 단딴 딴 딴! 비발디! 사계! 뭐 이런 식으로 애들하고 맞추고 그랬네요.
클래식 제일 열심히 들었던 시절입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