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5/04/08 14:07:57
Name   명동의밤
Subject   깨끗시티 깜찍이 이야기
옛날옛적에 ‘깨끗시티’라는 깔끔한 도시가 있었습니다. 이 도시는 길거리를 항상 반짝이게 유지하고 싶어 ‘거리 깨끗’ 규칙을 만들었어요. 쓰레기를 그냥 버리면 과태료를 부과하고, 담배꽁초를 버리면 높은 벌금을 물게 하는 등 거리를 깨끗하게 하기 위한 규칙이었습니다

그런데 이 도시에 ‘깜찍이’라는 별명을 가진 한 아이가 있었어요. 이 아이는 기상천외한 짓을 하기 시작했어요.

봉투 미스터리
처음에 있었던 '거리깨끗' 규칙은 “쓰레기는 반드시 봉투에 담아 버려야 한다”는 규칙이었어요. 그런데 깜찍이는 이 법을 "봉투 속에 담겨 있으면 뭐든 합법적으로 쓰레기통 근처에 놓아둘 수 있다"고 주장했어요. 일부러 빈 깡통, 무거운 고철 덩어리, 빈박스 따위를 봉투에 모두 쓸어 담고 또 쌓아올려 쓰레기통 위에 산더미처럼 쌓아 올렸어요. 쓰레기는 건물 키를 훌쩍 넘길 정도였어요. 시 당국은 “쓰레기 봉투는 쓰레기통 안에 들어갈 크기로 제한하고, 모든 봉투는 밀봉된 상태여야 한다”라는 새로운 규범을 추가했답니다.

밀봉 악취
새로운 규범이 생기자 ‘깜찍이’는 또 다른 기행을 시작했어요. “봉투는 반드시 밀봉해야 한다”라는 문구를 착안해 쓰레기를 밀봉하되 안에 썩기 쉬운 물질들만 넣어서 길게 방치했어요. 큰 사고 없이도, 봉투 안에서 부패가 빠르게 진행되도록 설계(?)한 것이에요. 밀봉된 봉투는 규칙상 문제가 없지만 그 내부에서 한껏 발효된 쓰레기가 봉투가 조금만 찢어져도 지독한 악취를 뿜어냈지요. 그리고 봉투가 너무 부풀어 터지도록 만든 다음 배출 시간에 맞춰 몰래 쓰레기통 근처에 놔두곤 했어요. 시 당국은 “쓰레기는 밀봉하고 특별 수거 팀이 부패성 물질을 신속 처리하도록 하며, 지정된 시간보다 일찍 내놓는 행위는 금지”라는 규범을 또 추가했어요.

지정된 시간의 함정
새 규범으로 인해 사람들은 쓰레기를 마음대로 미리 내놓을 수 없게 되었어요. 쓰레기는 수거 직전 시간에만 내놓도록 되어 있었고 지정된 수거 시간이 지나면 바로 가져가므로 길거리가 더럽혀질 틈이 줄어들었답니다. 하지만 ‘깜찍이’는 여기서 포기하지 않았어요. 그들은 “정해진 시간에 모양만 쓰레기가 아닌 것처럼 보이는 물건”을 가져다가 길에다 잔뜩 배치하는 방법을 택했어요. 예를 들어, 쓰레기처럼 보이지 않는 인형이나, 여기저기서 모아온 깨진 자전거 부품들을 “예술 작품 설치”라는 이름으로 몰아서 쌓은 것이에요. 시 당국은 “공공장소에 물건을 설치할 때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하며 예술 전시는 정식 등록된 예술품에만 허용한다”라는 까다로운 규범을 도입했지요.

허가받은 '더러움'
새로운 규범이 시행되자 이젠 누구라도 공공장소에 물건을 전시하려면 시청에서 허가를 받아야 했어요. 하지만 ‘깜찍이’는 또 다른 방법을 생각해 냈지요. 정식으로 허가받아 설치하겠다고 시청에 제출한 것은 거대한 ‘쓰레기 아쿠아리움’이었다. 바닥이 투명한 상자를 겹겹이 쌓아서 그 안에 다양한 폐품들을 “물고기처럼” 띄워놓는 컨셉이었어요. “지저분하지만 예술적 시도를 통해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역설한다”는 그럴듯한 명분을 내세워서 허가를 받고 말았지요.


다음 날도 깜찍이는 유유히 나타나 쓰레기 봉투가 잔뜩 들어 있는 손수레를 끌고 천천히 거리 한복판으로 들어섰습니다. 봉투 안에선 악취가 풍겨 나오고, 일부는 이미 찢어져 길바닥에 진득한 액체를 흘렸지요. 그러자 지나가던 행인 몇몇이 코를 막고 살짝 곁눈질했지만, 모두들 얼른 발걸음을 재촉할 뿐이었습니다. 그중 한 사람이 잠시 멈춰 서서 눈살을 찌푸렸지만, 이내 어깨를 으쓱하며 중얼거렸습니다.
“규칙을 어긴 건 아니니까…”
그 말이 끝나기 무섭게 깜찍이는 부풀어 오른 봉투 하나를 번쩍 들어 쓰레기 더미 꼭대기에 올려놓았습니다. 봉투는 위태롭게 흔들리다 바람에 스치면 터질 듯 부풀어 있었지만 아무도 나서서 말리지 않았어요. 그렇게 순식간에 쓰레기 더미는 다시 키를 넘을 만큼 솟아올랐습니다. 이를 본 누군가가 말했습니다
"시는 대체 뭘하는 거야?"



0


    치즈케이크
    종량제 봉투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내용이군요 ㅋㅋ
    뭐 깜찍이같은 사람은 저런 규칙이 없어도 어떻게든 본인이 꽂히는 쪽으로 악의를 표현할 사람이니 저런거까지 고려하면 한도끝도없긴 하지요..
    바닷가의 제로스
    여기선 깜찍이가 한명이지만 현실에서는 12를 하는 깜찍이와 34를 하는 끔찍이가 서로를 비난하고 자기는 괜찮다고 함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95 0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2 큐리스 25/04/23 202 8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5 + 흑마법사 25/04/22 264 17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640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754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699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581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579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566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713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42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129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56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649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60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56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286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673 10
    15383 일상/생각평범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 1 큐리스 25/04/15 591 8
    15382 음악[팝송] 테이트 맥레이 새 앨범 "So Close To What" 김치찌개 25/04/14 156 0
    15381 IT/컴퓨터링크드인 스캠과 놀기 T.Robin 25/04/13 551 1
    15380 역사한국사 구조론 9 meson 25/04/12 862 4
    15379 오프모임날이 좋아서... 날이 좋지 않아서... 5/4 난지도벙 15 치킨마요 25/04/11 986 3
    15378 스포츠90년대 연세대 농구 선수들이 회고한 그 시절 이야기. 16 joel 25/04/11 1156 8
    15377 일상/생각와이프가 독감에걸린것 같은데 ㅎㅎ 2 큐리스 25/04/10 614 1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