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5/02/02 13:47:15
Name   토비
Subject   어쩌면 서울 집중화가 한류를 만든건 아닐까
일본과 중국이 한국을 따라잡고 싶다고 얘기하고 있는 지금 한국의 문화강국 위치가 시작된건 언제부터 였을까를 생각해보게 되는데요.

일본과의 역전이 시작된건 2000년대 초반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영화로는 쉬리가 나오고 인정사정 볼 것 없다, 공동경비구역 JSA 같은 작품들이 나오던 시기요. 그 전까지는 한국영화는 방화라고 부르며 재미없어서 안본다 했었는데, 밀레니엄을 지나면서 한국 영화의 전성시대가 열린 느낌이었거든요.

그리고 그 때 당시 일본 영화들은 보면 뭔가 얘네는 좀 이상한데? 왜 이렇게 과장된 연기가 많지? 하는 느낌을 받았었고요. 좋은 작품을 많이 안봐서 그랬겠지만...

드라마도 겨울연가나 대장금 같은게 그쯤에 터지면서 한류라는 말이 처음으로 등장하게 되었던 기억이 나네요.

음악시장으로 봐도 시기가 비슷한거 같습니다. HOT 이후 아이돌 시장이 밀레니엄을 지나며 본격적으로 열리고 있었는데 당시에도 일본에 잘 나가는 아티스트들 있었겠지만 모닝구 무스메라던지 홍백 가합전 무대 같은 것들 보면 엥? 별론데... 싶은 느낌들이 있었던거 같고요.

열매가 맺히기 이전에 기반이 잡히는 시기가 있을거라고 본다면 이미 90년대 초반부터는 국내에서 문화산업 필드에서 주니어들이 좋은 작품 만들기를 꿈꾸면서 경력을 쌓아가고 있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그렇다면 그들을 영화/엔터 산업으로 이끌게 한 영향력은 무엇이었을까도 생각해보게 되는데요.
90년대에 불쑥 등장했던 서태지의 존재가 생각이 나기도 했습니다. 사실 서태지 외에도 현진영, 김건모, 듀스, 룰라, Ref 같은 그룹들이 줄지어 나오던 당시 상황을 생각해보면 가요계 역시도 서태지 이전에 흐름들이 생겨나고 있었다고 봐야겠지만요. 소방차에서 찾아야 하려나...

근데 여기까지 생각해봐도 딱히 이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는 느낌이 있어 보였습니다.
이런 메타가 형성된데는 뭔가 더 근본적인 이유가 있지 않을까?

일차적으로는 분명히 어떤 경제적인 이유가 있었을거 같고요.
박정희 시대를 지나오면서 전세계적으로 유례 없었던 고도 성장의 흐름이 먹고 사는 문제를 지나 뭔가를 꿈꾸게 하고 그걸 응원하는 사회적인 분위기가 있었던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IMF 전에는 대학 나오면 먹고 살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되었으니 일단 그 커트라인을 넘고 나면 그 다음부터 나는 무엇으로 자아실현을 할까를 고민하게 되는 흐름이 있지 않았을까 싶고요.

근데 그것으로도 충분치는 않아서 혹시 서울이라는 과밀화 되고 중앙집중화 된 대한민국의 중심도시가 그 원인일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사람이 커가고 만들고 소비하고 하는 과정에서의 동선 문제를 최적화 하면서 더욱 최적화를 가속하며 변모해 온 결과가 지금의 서울 같거든요.

스타로 치면 빠른 무한에서 센터옆에 미네랄 딱 붙어있어서 폭발적인 성장이 가능한... 그런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3


    영화 드라마 가요에 비해 게임은 상당히 늦게 터진 분야이지 싶습니다.
    꿈꾸는 이들은 많았지만 내수시장이 너무 적었고 언어의 벽을 넘는 방법은 다들 잘 몰랐었기에...

    NC와 넥슨을 쌓아올린 리니지, 카트라이더, 던파 같은 것들이 있긴 했지만... 좀 더 본격적인 성장은 스마트폰 시대가 되면서 시작되지 않았나 싶고...

    근데 게임은 지역 인프라를 많이 타는 영역은 아닌거 같습니다.
    직원들 모일 수만 있는 곳이면 거기가 어디든 상관 없으니까...
    물론 대한민국에서는 직원들이 살만한 곳 찾으려면 결국 서울 주변부이긴 하지만... 이건 원인이라기보다 결과인거 같고
    택시기사8212
    기질적인 특성에서 기인한게 아닐까 생각해봄직도 하다는 생각이 드는게 백제시절에도 중국 동부와 일본에 백제에서 유행하던게 퍼졌다는 기록도 있고 고려의 문화가 몽골에 유행했다는 글도 어디서 본거 같네요. 그런걸 뭐라 표현했던거 같은데 기억이 잘 안나는게 안타깝읍니다. 약간 한반도 문화권이 외국에서 따라하고 싶은 스웩같은게 있지않나 싶읍니다.
    허락해주세요
    문화 뿐만 아니라, 우리가 누리고 있는 많은 것들이 수도권 과밀화에서 나온 거지요.
    하우두유두
    동의하는게 우리나라가 정말 목가적인 그런 곳이었으면 현재 이루는 것은 나오지 못했을가능상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이아몬드가 고온고압에서 만들어지듯이 현재 수출대기업과 경제성장의 과실이 거기에서 나왔을겁니다
    그저그런
    문화뿐 아니라 빠른 경제성장, 기술발전, 머기업.. 등도 그럴수 있다고 생각 합니다.
    수도권 클러스터 수준의 메트로폴리스를 만들수 있는 나라가 얼마나 있을까 싶어요 ㅎ
    켈로그김
    저는 사설bbs대중화 + 인터넷 봅니다.
    개개인 컨텐츠 소모량이 무쳤고 + 재생산해서 업로드까지 가능해짐
    엇 그것도 영향이 크겠네요
    역시 테사기다(?)

    여기서 BBS는 게시판일까요?
    켈로그김
    투배럭서플 빌드라 추정해봅니다(?)
    1
    그러네요
    그 광적이고 부조리한 메커니즘 때문에 쇠락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겠지만요.
    물론 그게 아니었으면 여기까지 오지도 못했을 거라고 저도 생각합니다...
    그런데
    김대중 대통령의 일본문화 개방도 무시할 수 없지요.
    그 전까지는 일본 문화를 뒷구멍으로 수입해서 표절하면서 뒤따라가기만 했다면
    그 시점부터는 대놓고 비교할 수 있으니 표절이 더 이상 통하지 않게 되면서
    대등한 경쟁 구도가 이루어졌지요.
    2
    더샤드
    K-컬쳐란 창작의 산물이 아니라 적응의 산물이라 보는지라, 과밀화가 원인인지는 모르겠지만 하나의 흐름으로 연관되어 있을 것 같습니다.
    남들이 다 하는데 나는 누리지 못하고 있다는 감정을 극복할 수 있는 한국인은 많지 않은 거 같아서요.
    돌고래
    부정적인것이 좀 더 자극적이고 관심 끌기 쉽다보니
    서울집중화도 부정적인 면만 너무 다뤄지는 것 같긴 해요.
    어느것이든 긍정적인 효과도 있고 부정적인 효과도 있고 병존하겠쥬

    전 인구도 주는데 그냥 아싸리 서울 집중화 정책 하는게 차라리 나을거라 생각합니다.
    지방분권 타이밍은 한참전에 실기했다고 봐서
    걍 서울이 뉴욕, 홍콩, 도쿄, 상하이 등등과 경쟁할 수 있게 팍팍 밀어주는게.
    서울, 수도권 같은 도시화 지역이 다른 나라에 없는것도 아니고 서울이 더 특별히 특별한 집중화 지역이라곤 생각되지 않아서...그 영향은 특별한건 아니라 보고...
    한글과 고립적인 지역적인 반도 문화권이면서도 인터넷 보급과 꽤 수준높은 평준화 교육의 힘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할수 잇었다고 봅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332 일상/생각감자와 당근의 이야기입니다~~ 7 큐리스 25/03/24 722 0
    15331 일상/생각기분 좋은 하루를 기록하기 3 골든햄스 25/03/22 738 11
    15330 일상/생각국민연금 내기 싫다, 고갈되면 나는 헛돈 낸 게 아니냐는 친구의 말을 듣고.. 15 타치코마 25/03/21 2025 5
    15329 여행그간 다녀본 리조트 간단 정리 : 푸켓, 나트랑, 안탈리아 8 당근매니아 25/03/21 1069 23
    15328 기타한화에어로 이것들이 유증을 하는군요. 이참에 유상증자 관련 몇가지 아는 것들 이야기 해봅니다. 17 동네주방장 25/03/21 1383 2
    15327 정치헌재 선고 시점, 인용/기각 인원에 따른 짧은 생각 9 kien 25/03/21 1201 0
    15326 일상/생각평범한 남편의 투정^^ 큐리스 25/03/20 774 3
    15325 사회한국 시민의 일원으로 연금개혁을 환영하며 30 카르스 25/03/20 1824 8
    15324 음악[팝송] 알레시아 카라 새 앨범 "Love & Hyperbole" 김치찌개 25/03/20 353 1
    15323 문화/예술천사소녀 네티 덕질 백서 - 8. 문화적 다양성 2 허락해주세요 25/03/17 672 6
    15322 꿀팁/강좌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4. 재질과 가공 (완) 10 Beemo 25/03/17 812 11
    15320 음악[팝송] 레이디 가가 새 앨범 "MAYHEM" 1 김치찌개 25/03/17 500 2
    15319 정치3월 15일,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의 가능성 13 코리몬테아스 25/03/13 1787 9
    15318 기타남의 인생 멋대로 판단하는 이야기 10 바닷가의 제로스 25/03/13 1820 48
    15317 음악Realslow 형님 평안한 안식에 이르시길.. 8 swear 25/03/13 1199 11
    15316 정치미국 우파 자유지상주의의 구멍. 13 바쿠 25/03/13 1595 3
    15314 일상/생각15년된 넥서스 원을 꺼내보았습니다 13 큐리스 25/03/13 944 1
    15313 기타즐겨보는 유튜브 추천 2 1 swear 25/03/13 722 3
    15312 꿀팁/강좌1. 만화란 뭘까? 인스타툰은 어떻게 시작해야할까? 11 흑마법사 25/03/12 1025 23
    15310 기타(번역) contrapoint - cringe 2 페리카나 25/03/11 629 0
    15309 일상/생각결혼하고 처음 깨달은 사실?? 2 큐리스 25/03/11 1257 1
    15308 일상/생각혐중정서와 친미반중에 대한 문답글.. 6 타치코마 25/03/10 1372 5
    15307 요리/음식오늘 맛있게 먹은 복 집 추천이요~ 10 12월의 바캉스 25/03/10 961 3
    15306 음악[팝송] 앨런 워커 새 앨범 "Walkerworld 2.0" 김치찌개 25/03/10 453 0
    15305 일상/생각하...거참...와이프 너무하네. 2 큐리스 25/03/09 1163 5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