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5/01/17 18:45:18
Name   Daniel Plainview
Subject   입시에 대해 과외하면서 느꼈던 것들, 최근 입시에 대한 생각
1
결국 수험생활의 성패는 <수용성>과 <믿음>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수용성이란 누가 하라고 했을 때 그걸 곧이 곧대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나는 예전부터 강사들을 평가했다. 이 강사는 이래서 안 좋고, 저 강사는 이게 별로야. 이런 품평들을 주로 했었는데 솔직히 성적을 받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솔직히 말하면 도움이 되지 않는 수준을 넘어서 네거티브다.
그보다는 아무리 구린 강사여도 그 사람이 하는 말을 곧이 곧대로 따라가는 사람이 더 결과가 좋았다. 이 사람이 정말 도움이 될까? 이런 불필요한 잡념을 지우고 그냥 이 사람을 나의 신으로 믿는 게 더 낫다고 본다. 특히 자신의 성적이 높지 않을수록 더더욱 믿음을 가지는 게 필요하다. (자기 자신을 믿으라는 게 아니다, 그냥 어느 강사를 믿으란 것)

2
이렇게 된 이유는 최근에 강사진들의 질이 급격히 상승했음을 느끼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터무니없는 공부량을 요구하는 강사들이 많아서, 그 사람들 강의만 쫓아가다 보면 생각보다 다른 과목에 투자할 시간이 부족할 정도였다. 하지만 최근엔 진짜로 강의의 질이 대부분 고급화되었다. 이는 강사 말고도 입시판에 뛰어든 젊은 학생들이 문제를 만들어서 학원가에 공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강사들이 이들로부터 문제를 구매하면서 창의성이 요구되는 킬러 대비문항의 퀄리티가 올라가고, 강의력은 강사들이 채우는 구조가 되었다.

3
메디컬 부모님들 아래서 자란 아이들을 과외할 때 느꼈지만, 얘들은 기본적으로 수용성이 높다. 유전자가 좋다... 고 솔직히 생각해본 적은 없다. 다 거기서 거기다. 그런데 최소한 부모들의 수입을 봐 왔고, 부모가 하라는 대로 따라가면 나도 의사 할 거라는 그런 믿음? 같은 것이 있다. 그래서 시키는 대로 잘하고 잘 따라온다. 그럼 솔직히 성적이 오를 수밖에 없다. 과외를 하면서 중요한 건 선생의 질보다 학생들의 믿음이라는 걸 느꼈다.
의심하지 말고 그냥 따라가면 같은 절대시간도 훨씬 많이 쓸 수 있다. 근본적으로 불신이 있기 때문에 몰입을 하지 못하는 것이다. 마치 김연아가 피겨에서 200점 이상을 맞는 걸 보여준 다음부터 다들 200점 이상을 받기 시작하는 것처럼. 이 길이 <된다>라는 걸 알고 시작하는 것과 <될까?>라고 생각하고 시작하는 건 천지차이다.

4
나였다면 이제 과외는 안 시킬 것 같다. 학원가의 수준이 너무 높아졌기 때문에. 대신 학원가에서 나오는 문제들을 혼자서 따라가기 힘들 때 물어보는 용도로 쓸 것 같다. 대신 요즘은 ChatGPT가 문제도 대신 풀어준다는데 이제 뭘로 먹고 사나.
자신이 지방에 있다면 최대한 더 오지로 가서 수시 전형을 확보하고, 열심히 정보격차를 해소하려고 노력하는 걸 추천한다.

5
시대인재/킬러문제 관련 논란을 돌이켜보면 솔직히 "뭔가 잘못되고 있다"는 건 맞았다. 킬러문제가 overfitting되고 있었다. 실력이 뛰어나서 문제를 맞추는 게 아니라, 킬러문제를 예측하고 얼마나 많이 풀이법을 습득했는지에 따라 성적이 결정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최근 평가원은 결국에 어렵게 내자면 충분히 어렵게 낼 수 있다는 걸 보여줬다. 솔직히 10년대 초반에 입시하던 사람들이 요즘 문제 풀면 진짜 어렵다고 많이 느끼게 될 거다. 특히 00년대에 입시하던 사람들은 70점대 나올거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함.

6
반대로 지금 뭔가 더 잘못되고 있다고 느끼는 곳은 탐구영역이다. 여긴 지금 심각하게 뭔가 잘못되었는데 손을 아무도 못 대는 형국이 되었다. 문제가 괴랄하기 짝이 없는데 고인물들만 남아서 47 48이 1등급이 되고 있다. 더 중요한 건 물어보는 게 탐구 문제 그 자체가 아니라는 거다. 생물 유전 문제 같은 걸 보면 이건 논리퍼즐 문제지 생물 문제가 아니다.

7
나는 텔레그램이 사회적으로 안좋다고만 생각했는데, 유일하게 사회에 기여하고있는 게 입시판 아닌가 싶다. 여긴 정말 정보의 비대칭을 용납하지 못하는 수많은 사회운동가들(...) 시대인재 모의고사부터 온갖 자료들을 카피레프트 하고 있다 (...)

8
올해 의대증원 효과는 크게 없었다. 놀랍게도 대부분의 의대생들이 휴학하면서 어차피 1년 꿇을거 시험이나 다시 쳐서 대학 올리자는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보이고, 의대생들이 한번 더 재수해서 상위권 의대를 다시 가버리는 현상이 펼쳐진 것으로 보임. 정원이 2배가 늘었는데 점수컷은 그대로가 되어버린...

9
입시판 내부에서 평가하는 강사들과, 성인들 사이에서 방송 출연을 많이하는 강사들 사이의 괴리가 큰 것도 흥미롭다.

10
메디컬의 컷은 그대로지만, 반대로 약대같은 경우에는 10년대 초반에 비해 정말 정원증가나 수험생감소의 혜택을 많이 받았다고 봐야 할 듯. 누나가 약사인데, 비대면 약처방이 점점 활성화가 되면 나중에는 약국 접고 쿠팡 물류센터처럼 어디에 갇혀서 포장만 하고 있는 건 아닌지...

11
공부에 필요한 절대량은 줄었는데, 상대적으로 들어가야 하는 기준은 그대로라 여전히 경쟁은 피터진다. 아느냐 모르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시간 안에 최대한 많이 푸느냐가 중요해져버린 게임.

12
고등학생들의 선호도에선 완전히 메디컬이 압도해버렸고, 그나마 컴공/산공 같은 데이터 쪽의 인기도 잠깐 올라갔다가 보합세인 듯. 요즘은 반도체 계약학과 등의 인기가 높아지는데 언제나 지금 당장이 아니라 더 긴 미래를 봐야 한다. 고려대 사국 같은 경우의 미래가 펼쳐질 듯.

13
신경가소성을 고려하면, 여러 과목을 조금씩 공부하는 건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 것 같다. 그냥 하나만 두들겨 패는게 훨씬 나은 전략인 듯.
내가 과외할 때 사용하는 전략 중에 XO/XXO 전략이라는 게 있는데, 이게 최근에는 4등급 이하에게는 가혹할 수 있다는 걸 요즘 깨닫고 있다.
2~3등급이 넘어갈 때 쓰는 방법과 4이하가 넘어갈 때 쓰는 방법은 구분되어야 할 듯.


(티탐은 펑이 없으니 아쉽군요)



15
  •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 수용성 공감합니다.
  • 나눔 감사합다 ㅎ


대부분 중학교 처음 가서 뚜껑을 열어보는데
잘한다고 생각하던 많은 아이들이 좌절하고 방황하더군요. 부정,분노 단계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아이들도 있고, 체념도 있고, 내가 하면 잘하는데 놀아서 그런거라 정신승리,도피도 하고..
사춘기는 좌절과 방황의 또 디른 이름같아요.
그래서 멘탈이 중요한 것 같기도 하고.
근데 XO/XXO는 어떤 전략인가요?
Daniel Plainview
저는 오답노트를 만들게 시키지 않거든요. 저는 일단 문제를 다 풀게 한 다음에 맞은 문제는 O, 틀린 문제는 X를 칩니다. 그 다음에 틀린 문제를 다시 풀게 합니다. 그렇게 해서 맞추면 XO, 틀리면 XX. 다시 XX만 또 풀게 해서 XXO, XXX로 모든 문제를 나눕니다.

대다수의 학생들은 어려운 문제, XXX에 집중합니다. 그런데 XXX는 자기 능력 밖의 문제에요. 반대로 XO, XXO는 내 실력이나 컨디션에 따라 맞출 수도 틀릴 수도 있는 문제입니다. 그래서 XO, XXO만 모은 노트를 만들어서 '처음엔 왜 안 풀렸는데 ... 더 보기
저는 오답노트를 만들게 시키지 않거든요. 저는 일단 문제를 다 풀게 한 다음에 맞은 문제는 O, 틀린 문제는 X를 칩니다. 그 다음에 틀린 문제를 다시 풀게 합니다. 그렇게 해서 맞추면 XO, 틀리면 XX. 다시 XX만 또 풀게 해서 XXO, XXX로 모든 문제를 나눕니다.

대다수의 학생들은 어려운 문제, XXX에 집중합니다. 그런데 XXX는 자기 능력 밖의 문제에요. 반대로 XO, XXO는 내 실력이나 컨디션에 따라 맞출 수도 틀릴 수도 있는 문제입니다. 그래서 XO, XXO만 모은 노트를 만들어서 '처음엔 왜 안 풀렸는데 왜 두번째 풀었을 때 맞았나'를 적게 합니다.

이 전략은 시간관리가 안되거나, 혹은 실수가 많은 아이들에게 좋습니다. 그런데 애초에 60점 받아버리는 애들한테 이걸 만들게 시키면 너무 양이 많아집니다. 60점대는 그냥 실력부족이라 실수 줄일 때가 아니라 공부량을 절대적으로 늘려야 할 때라서요. 하나하나 노트 만들고 있는 과정이 도리어 절망감을 심어주는 것 같더라고요.
13
우와 ...이게 제가 라이센스 딸 때 시험문제 공부하던 방법이었는데 하하..반갑네요. 사법고시나 각종 시험공부에도 적용이되겠네요.
아 이거 제가 수능 공부할때 쓰던 방법이네요. 효과 좋았어요.
저는 문제집에도 푼 흔적을 남기지 않고 연습장에다만 적어서, 틀린 문제를 볼땐 틀렸었다는 기록 빼곤 아무것도 없었죠.
1
과외하면서 아 수능 다시 봐볼까? 하는 생각은 안 해보셨는지 궁금해요
Daniel Plainview
사실 아예 생각이 없는 건 아닌데,
도전한다면 유일한 목표는 메디컬인데 생각보다 여전히 의대입시는 빡센 편이라...
열한시육분
9. 항목은 어떤 의미인지 궁금하군요. 현우진 강사 같은 분 이야기인가 싶기도 하고...
Daniel Plainview
현우진은 1타죠. 그리고 대외활동을 생각보다 거의 안합니다.
제가 말하는 건 트로트 프로그램 나오고 예능 나오고 잇는 사람들...
1
열한시육분
아, 그것은 어느 분야나 일맥상통하는 것 같습니다. 진짜들은 본업에 바빠서 방송 같은 것 신경쓸 겨를이 없고, 대외적으로 자알 알려진 분들의 실속이 별로 없는 경우가 많이 있는듯요. 유튜브 시대에도 변하지 않는듯?
최근 읽는 책이 있는데 3번 내용과 공감가는 부분이 많네요.

[데니스가 얼 키퍼에게서 찾고자 했던 특징 가운데 하나는 현실에서 자신의 믿음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능력이었다.]

[그는 수련생들이 자기를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유일한 이유는 자신이 2억 달러를 벌어들였기 때문임을 잘 알고 있었다. ...
한 수련생은 이렇게 비유했다. "2억 달러의 수익을 올린 사람이 '여러분은 물 위를 걸을 수 있습니다.'라고 말한다면, 사람들은 '그래요, 물 위를 걸
... 더 보기
최근 읽는 책이 있는데 3번 내용과 공감가는 부분이 많네요.

[데니스가 얼 키퍼에게서 찾고자 했던 특징 가운데 하나는 현실에서 자신의 믿음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능력이었다.]

[그는 수련생들이 자기를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유일한 이유는 자신이 2억 달러를 벌어들였기 때문임을 잘 알고 있었다. ...
한 수련생은 이렇게 비유했다. "2억 달러의 수익을 올린 사람이 '여러분은 물 위를 걸을 수 있습니다.'라고 말한다면, 사람들은 '그래요, 물 위를 걸을 수 있습니다.'라고 말할 겁니다. 놀랍게도 마음속에 있는 심리적 장벽을 뛰어넘게 되죠."]


데니스라는 사람은 자기 돈을 주면서 잃어도 되니 자기 방식대로 투자하라 했고, 자기 방식을 따르는 투자자들을 많이 육성했습니다.

동기를 유지하기 위해 성공 사례를 보여주는 건 좋은 전략이고 다른 분야도 유사한 것 같습니다.
성공 사례는 자신과 가까울수록 더 효과가 클 테구요.
학부모님이 걸어온 길이 괜찮다고 느껴지면 학생은 고전시가와 합성함수 미분의 쓸모에 대한 의심을 더 잘 거둘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Daniel Plainview
터틀 트레이딩인가 보군요.
네 이 책이 말하는 트레이딩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지만
어떤 체계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그 선택에 대한 믿음(주식의 심법처럼)이라는 내용은 와닿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유튜브에 강사님들의 수능 동기부여 영상들은 그런 믿음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246 의료/건강[정보/뉴스] OAI 직원 암진단 후기 트위터 스레드 번역 7 공기반술이반 25/02/05 737 0
15245 일상/생각학원에서 이제온 아들 늦은저녁 차려줬습니다. 5 큐리스 25/02/04 786 8
15244 문화/예술어쩌면 서울 집중화가 한류를 만든건 아닐까 15 토비 25/02/02 1651 3
15243 스포츠[MLB] 김하성 2년 29M 탬파베이행 김치찌개 25/01/31 606 2
15242 일상/생각오랜만의 운동^^ 5 큐리스 25/01/30 912 2
15241 일상/생각여행을 나서면 집에 가고 싶다. 4 풀잎 25/01/30 946 9
15240 스포츠추운날씨엔 여자농구 직관을 16 danielbard 25/01/29 1054 4
15239 꿀팁/강좌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3. 인클로저 설계 Beemo 25/01/29 1193 5
15238 일상/생각당신의 눈가에 피어난 이야기들 1 큐리스 25/01/27 781 7
15237 오프모임[급벙] 새해기념 왕십리 피맥 모임...!(마감) 37 25/01/27 1252 9
15236 IT/컴퓨터결국 구입해버린 저지연코덱 지원 헤드셋 8 야얌 25/01/27 896 0
15235 스포츠해리 케인의 무관에 대하여. 10 joel 25/01/27 1140 12
15234 일상/생각이틀간 집안의 계엄령 6 큐리스 25/01/24 1404 4
15232 정치표현의 자유와 정치 9 kien 25/01/22 1419 4
15231 정치계엄이유 : 부정선거 vs 이재명 입법독재 14 Picard 25/01/22 1741 0
15230 일상/생각일상의 사소한 즐거움 : 어느 향료 연구원의 이야기 (5편) 8 化神 25/01/22 866 12
15229 일상/생각밭에 묶여있던 개를 풀어줬다 다시 묶는 사람들 14 골든햄스 25/01/22 1496 21
15228 정치우리는 이 사람들과 어떻게 같이 살아가야 하는가 51 당근매니아 25/01/22 2345 13
15227 경제연말정산 시즌 관련 간단한 정리 2 Leeka 25/01/21 1002 6
15226 일상/생각우리가 이렇게도 만나는구나 9 큐리스 25/01/21 1127 1
15225 도서/문학사람의 내면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는 기분, 기욤뮈소 데뷔 20주년 기념작 <미로 속 아이> 1 인생살이 25/01/21 951 2
15224 철학/종교파시즘의 망령 1 Anthony's father 25/01/20 962 0
15223 일상/생각스타벅스 요금 인상 소식에 방출하는 스벅앱 사용 꿀팁~ 5 whenyouinRome... 25/01/20 1563 10
15222 철학/종교교회에 대한 기대를 조금 더 버리며(의식의 흐름에 따라) 4 레일리처럼될래요 25/01/20 927 9
15221 스포츠[MLB] 사사키 로키 다저스행 김치찌개 25/01/20 49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