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4/03/05 22:39:31 |
Name | 매뉴물있뉴 |
Subject | 보수 과표집의 실체에 대하여 |
보수 과표집을 측정할 객관적인 자료로는 한국 갤럽만 다루겠읍니다. 왜냐면 한국갤럽이 제일 그나마 자료를 찾아보기 제일 편하기 때무님미다. 다른데들은 막 그 머냐 여론조사심의위원회에다가 자료 올려놨다가 의무 공개시한이 지나면 삭제해버리구... 크릉. 아모튼 한국갤럽 자료가 제일 신뢰할만하고 보기 편합니다. 그러니까 제맘대로 한국 갤럽만 보면서 보수 과표집이 실체가 있는건지, 그냥 허상인지 보겠읍니다. 대충 결론만 먼저 말하자면 (기억하는분이 계실수도 있습니다만) 저는 예전부텀도 '보수 과표집 그딴거 없다'주의자였고 지금도 크게 그 생각에는 변화가 없다는 것입니다. 물론 여론조사를 과신할 필요는 없습니다만 그렇다고 여론조사를 부정할 논리를 궁리하는 것은 지극히 멍청한 짓이 아닌가... 다른 건 몰라도, 여조와는 싸우면 안됩니다. 그것만은 정말 너무 멍청한 짓임........... [A. 보수과표집이 아닌것은 무엇일까] 거두절미하고 간단하게 말하겠읍니다. '진보가 30인데 보수가 35나왔자나... 그럼 아묻따 보수 과표집인 거시지... 당연히 -5빼고 봐야 하는거시다.. 떼이이...' 는 사실이 아닙니다. 보수 과표집이라는 표현이 애초에 존재하는 이유부터가 사람의 정파적성향은 휙휙 변할수 있어도 사람의 '이념적 성향은 휙휙 변하지 않는다'라는 믿음에서 출발합니다. 지난주만해도, 국힘을 지지한다고 답했던 응답자가 이번주에는 민주당을 지지한다고 말할 확률은 꽤 존재해도 지난주에는 나는 보수적인 사람이라고 말했던 사람이 이번주에는 나는 진보적인 사람이라고 말할 가능성은 꽤 낮을것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념 성향이 조사되는 것입니다. 지지정파의 변화는 한주만에도 벌어질수 있어도 이념의 변화는 오랜기간 천천히 일어날것이라고 믿기 때문에 조사되는 것인데 때문에 '과표집'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이 이념지표는 잘 활용되는 편입니다. 하지만, '내가 진보다'라고 답하는 사람숫자와 '내가 보수다'라고 답하는 사람 숫자는 당연하게도 동률이 아닙니다. 그리고 한국갤럽은, 매년 정기적으로 '지난 한해동안 보수/진보이념지형이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한 리포트를 작성/발표하고 있습니다.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1454) 대충 보면, 박근혜 시기에는 보수 응답자가 진보 응답자보다 조금 많았고, 문재인 정권 시기에 진보 응답자수가 보수 응답자수보다 일정부분 많았다가 다시 윤석열 정권 집권 직전 부터 보수응답자수가 소폭 많게 잡히기 시작하더니 올해 초 기준으로 보수 응답자는 진보 응답자보다 5%p가량 많은 채로 꾸준히 집계되고 있습니다. 때문에, 보수 응답자가 진보 응답자보다 5%p정도 높게 잡히는 여론조사를 아묻따 이상한 여론조사라고 하면 그건 매우 미숙한 결론입니다. 갤럽 조사를 본다면 보수가 진보보다 5%정도 높게 잡히는 것은 상수로 보고 접근해야하며 그것을 보수 과표집이라고 부른다면, 여론조사 결과를 호도하는 것이 될것.. [B. 최근 5주간 변화] 그렇다면 최근 5주간 보수 진보 응답자 숫자가 얼마나 되었는지 한번 보겠읍니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모든 숫자는 '보정후' 응답자 숫자 입니다.) 대충보셔도 눈에 확 뜨이는게 몇개 있으실텐데 1. 일단 보수 진보 응답자 분포가 매주 널뛰고 있습니다. 2. 보수 비율이 높아지면 대통령 지지율과 국힘 지지율이 같이 올라가고, 진보 비율이 높아지면 대통령 지지율과 국힘 지지율이 같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3. 하지만 1월 4주차와 2월 5주차를 직접 비교해보면 3.1 이 두 구간 사이에서 보수-진보 비율은 크게 다르지 않은 가운데 3.2 국힘 지지율은 소폭 상승하고 민주당 지지율이 소폭 하락하는 동안 3.3 대통령 국정지지율이 큰폭으로 상승했다는 것도 목격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 최근의 여론조사를 탄핵하고 싶으시다 한들 보수가 5%p정도 높게 잡히는 것은 상수로 봐야 한다는 것이 분명하므로, 보수 과표집의 영향력은 지난주에는 1.3%p에 불과하고 이번주도 3.4%p에 불과합니다. 그리고 2월1주차에는 오히려 진보와 보수 응답자가 거의 같은 숫자로 표집되면서 진보 과표집이 4.4%가량 발생했다고 해석할수밖에 없는 조사도 나옵니다. 1000명 대상으로 조사된 여론조사의 표본오차가 95% 신뢰수준에서 ±3.1%라는걸 생각하면 물론 아무렇게나 간과할수야 없겠습니다만 그렇다고 오차범위를 엄청 벗어났다고 하기는 좀 어려운 수준이고 설령 보수 과표집이 실존한다고 해도 과연 그 영향력이 절대적으로 엄청 크다고 할수 있는 수준인가..? 하는 의문이 저는 남습니다. [MBC 패널조사는?] https://poll-mbc.co.kr/the21/ MBC패널 조사가 ****라고 하실것 같은 많은 분들의 반응이 상상되어서 굳이 첨부하고 가겠읍니다. 이 조사는 (지난 3차조사 기준으로) 보수 중도 진보가 각각 299 365 258로 잡혀있으며 이 수치는, MBC에서 조사/발표되는 수치가 한국갤럽에서 조사되는 일반적인 수치보다는 다소 대통령과 여당에게 불리한 경향을 갖고 있을 것임을 암시합니다. 오늘 발표된 MBC 패널조사4차 여론조사 결과에서는 저 위의 갤럽에서는 극명하게 드러났던 국힘 지지율 상승 / 민주당 지지율 하락 / 대통령 지지율 상승 같은 현상들이 전혀 관측되지 않았습니다. 패널조사인 만큼, 보수/중도/진보 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될것이라는 것을 담보해줍니다만 그렇다고 패널조사가 무적은 아닙니다. 바로, 패널을 선정한 시기가 작년 12월 중순 경이라는게 단점.. 12월 중순 경에는 보수 이념층이 대단히 비활성화된 상태였다가 총선즈음이 되면 보수 이념층이 매우 활성화되면서 보수 이념층의 투표율 자체가 영향을 받아버리게 된다면, 패널조사의 정확성이 총선까지 이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12월 중순 당시의 대통령 지지율과 정당 지지율이 향후 이어지는 여조 전체에 과하게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함. 그리고 패널조사는 5번 반복되는 조사인만큼 조사에 응하는 사람들이 매우 정치고관여층일 가능성도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것을 막기 위해서 조사에 한번 응할때마다 5000원 정도의 커피 상품권인가...를 준다고 하는데 (개꿀) 사실 저런거 주면 그 조사에 그... 아... 뭐 암튼 그렇읍니다. [맺으면서] 당연히 같은 지표를 보고 다른 해석을 할 여지는 존재합니다. 당연히 저와 같은 데이터를 보시면서도 '아니지, 이건 보수 과표집이 맞지'라고 보는 분들이 계실수 있읍니다. 결국, 문제는 데이터를 해석하는 관점이나 각각의 데이터에 비중을 두는 차이에 있는 것이니까요. 다만 보수 과표집이 지난주에는 1%정도 과표집 되고 이번주에는 3%정도 과표집 된것인데 이게 과연 그렇게 큰 과표집...??? 하는 의문이 저는 조금 있는데다 어떤 정치 집단을 지지하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자기 정치 집단에 유리한 결과가 나오는 여론조사 결과를 아묻따 신뢰하고 싶어하는 마음이 없어질래야 없어질수가 없는 것인데 최근 김어준 총수가 자주 본인 방송에서 보수 과표집을 언급하고 있고 그 언급의 여파로 (심지어는 펨코 정갤에서도) 현재의 여조를 보수 과표집으로 도맷금 하는 것이 보이기 때문에; 그리고 김어준은 (저도 김어준 방송을 잘 듣기 때문에 압니다만) 절대 자기가 왜 '보수 과표집이라고 판단했는지'에 대한 정확한 판단근거를 공유하는걸 좋아하는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객관적인 보수과표집의 강도와 실체를 숫자로 한번 보고 싶었고 그 숫자를 공유해드리고 싶어서 글을 적었읍니다. 한줄로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보수 과표집은 실재할수도 있으며 그 과표집이 뚜렷할때는 +3.4%까지 높게 나오기도, 약할때는 -4.4%정도 된다.] 가 제 결론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매뉴물있뉴님의 최근 게시물
|
저도 여론조사 결과를 조작하는 것은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보는 편이라, 의도를 가지고 여론조사 결과를 조정한다는 관점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약간의 과표집이야 될 수도 있겠지만, 그건 여론조사 업체들이 신경써서 더 실제에 가까운 결과를 내도록 노력할일이라고 보고요.
약간의 과표집이야 될 수도 있겠지만, 그건 여론조사 업체들이 신경써서 더 실제에 가까운 결과를 내도록 노력할일이라고 보고요.
제 개인적으로는 지금 30:30은 그냥 서로 먹고 있는거고 나머지 중에 국힘이 정말싫어서 선거날 민주당을 뽑아주러 갈사람이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서 결과값이 나온다고 봅니다.
여론조사 자체가 편향표본으로 이루어진게 지금의 현실인데, 결국 얼마나 열심히 답변을 해주느냐가 현재 여론조사의 결과잖아요? 여론조사에 열심히 답변해주는 계층 자체가 특정 계층인 한 여론조사는 어떤 방향이든 값이 튈 수 밖에 없습니다. 이건 과표집이다 아니다랑은 완전 다른 얘기죠. 그냥 "그걸로 뭘 맞출 수가 없다"라는 의미인 거니까요. 당장 여론조사에 누가 성실히 응하겠습니까? 정치 고관심층 말고는 할 일이 없습니다. 저도 T전화로 사전에 차단합니다. 저만 그러는 것도 아니고 ARS 들리자 마자 끊는게 "일반"입니다.
저는 오... 더 보기
저는 오... 더 보기
여론조사 자체가 편향표본으로 이루어진게 지금의 현실인데, 결국 얼마나 열심히 답변을 해주느냐가 현재 여론조사의 결과잖아요? 여론조사에 열심히 답변해주는 계층 자체가 특정 계층인 한 여론조사는 어떤 방향이든 값이 튈 수 밖에 없습니다. 이건 과표집이다 아니다랑은 완전 다른 얘기죠. 그냥 "그걸로 뭘 맞출 수가 없다"라는 의미인 거니까요. 당장 여론조사에 누가 성실히 응하겠습니까? 정치 고관심층 말고는 할 일이 없습니다. 저도 T전화로 사전에 차단합니다. 저만 그러는 것도 아니고 ARS 들리자 마자 끊는게 "일반"입니다.
저는 오히려 보수 과표집이 만약 실재한다면 민주당 쪽에는 유리한 결과 아닌가 생각하기도 해서 그걸 부러 맞다고 할 필요가 있나 싶네요. 결국 낮은 지지율 숫자는 지지층 결집을 유도할 뿐이죠.
혹자는 그걸 잘 핸들링해서 맞추는 게 여론조사 기관의 "기술"이라고 하던데, 결과 잘 조작해서 논문쓰는게 학자의 "기술"이라고 하는 얘기랑 별반 다를 바 없어보입니다. 망친 표본에서 좋은 결과 이끌어내면 설령 결과가 맞아도 그건 조작이죠.
저는 오히려 보수 과표집이 만약 실재한다면 민주당 쪽에는 유리한 결과 아닌가 생각하기도 해서 그걸 부러 맞다고 할 필요가 있나 싶네요. 결국 낮은 지지율 숫자는 지지층 결집을 유도할 뿐이죠.
혹자는 그걸 잘 핸들링해서 맞추는 게 여론조사 기관의 "기술"이라고 하던데, 결과 잘 조작해서 논문쓰는게 학자의 "기술"이라고 하는 얘기랑 별반 다를 바 없어보입니다. 망친 표본에서 좋은 결과 이끌어내면 설령 결과가 맞아도 그건 조작이죠.
저도 여기 동의합니다. 보수결집이 보수층 응답 활성화로 나타난 것이라고 봐요. 반대로 진보위축으로 진보층 응답 감소로 나타난 것이고요. 윤카가 삽질하고 김건희 '여사님' 건이 뻥뻥 터지면 보수층은 위축되고 여조 응답을 꺼립니다. 그런데 다시 민주당의 공천 논란으로 시끄러워지면 진보층이 위축되어 정치얘기 할 맛이 안나고 한동훈으로 간판을 바꾸니 보수층의 자신감이 살아납니다. 그러면 딱히 지지정당을 바꾼 사람이 많지 않아도 진보-보수층의 활성화 정도만으로 정당 지지율이나 대통령 지지율이 요동 칠 수 있습니다.
이번 선거에서는 아직... 더 보기
이번 선거에서는 아직... 더 보기
저도 여기 동의합니다. 보수결집이 보수층 응답 활성화로 나타난 것이라고 봐요. 반대로 진보위축으로 진보층 응답 감소로 나타난 것이고요. 윤카가 삽질하고 김건희 '여사님' 건이 뻥뻥 터지면 보수층은 위축되고 여조 응답을 꺼립니다. 그런데 다시 민주당의 공천 논란으로 시끄러워지면 진보층이 위축되어 정치얘기 할 맛이 안나고 한동훈으로 간판을 바꾸니 보수층의 자신감이 살아납니다. 그러면 딱히 지지정당을 바꾼 사람이 많지 않아도 진보-보수층의 활성화 정도만으로 정당 지지율이나 대통령 지지율이 요동 칠 수 있습니다.
이번 선거에서는 아직까지 제3지대가 의미있는 정치세력으로 자리잡지 못했기 때문에 지난 대선처럼 양진영에서의 유권자들이 투표장에 얼마나 많이 나오느냐가 관건일 것 같아요. 그래서 여조 결과로 진영을 고무시키거나 반대진영을 낙심시키려는 시도도 치열할 것 같고요. 여조에 많이 참여하는 쪽이 투표장에도 많이 참여할 것이라고 가정할 수도 있지만, 꼭 그렇지는 않을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들고요. 갤럽-리얼미터 등의 결과와 MBC의 패널조사 결과가 다르다는 게 흥미로운 지점이기도 합니다.
이번 선거에서는 아직까지 제3지대가 의미있는 정치세력으로 자리잡지 못했기 때문에 지난 대선처럼 양진영에서의 유권자들이 투표장에 얼마나 많이 나오느냐가 관건일 것 같아요. 그래서 여조 결과로 진영을 고무시키거나 반대진영을 낙심시키려는 시도도 치열할 것 같고요. 여조에 많이 참여하는 쪽이 투표장에도 많이 참여할 것이라고 가정할 수도 있지만, 꼭 그렇지는 않을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들고요. 갤럽-리얼미터 등의 결과와 MBC의 패널조사 결과가 다르다는 게 흥미로운 지점이기도 합니다.
최근에 여론조사들이 주로 보수에 유리한 방향으로 틀리는 케이스가 많았던것도 요즘 나오는 그런 이야기들의 근거가 되고있는것같은데, 그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대선의 경우 많은 여론조사들이 윤석열의 5프로 내외 여유로운 승리를 예견했으나 실제 결과는 0.7프로 박빙승부였고, 지난 강서 재보궐은 민주당의 10프로 승리정도 여론조사가 많았는데 실제 결과는 17프로가 넘게 차이났고(공교롭게도 김어준의 꽃이 가장 정확히맞췄고) 과거로 거슬러올라가면 가장 유명한 여조 참사중 하나인 오세훈vs정세균에서 오세훈이 20프로 이긴다고 나왔던 조사도 생각나고요..
예를들어 대선의 경우 많은 여론조사들이 윤석열의 5프로 내외 여유로운 승리를 예견했으나 실제 결과는 0.7프로 박빙승부였고, 지난 강서 재보궐은 민주당의 10프로 승리정도 여론조사가 많았는데 실제 결과는 17프로가 넘게 차이났고(공교롭게도 김어준의 꽃이 가장 정확히맞췄고) 과거로 거슬러올라가면 가장 유명한 여조 참사중 하나인 오세훈vs정세균에서 오세훈이 20프로 이긴다고 나왔던 조사도 생각나고요..
그것은 좀 복잡한데...
예를들어 1 표본이 큰 경우 2 선거가 큰 경우에는 여조가 무적권 맞습니다.
1이 가장 유효하게 들어맞는 조사는 출구조사가 조사 표본이 많아서 결과가 맞게 나오고
2가 유효하게 들어맞는 조사는 대선이 그러합니다. 또 광역자치단체장 출구조사의 경우도 대체로 맞춥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에는 사람들은 모두 여조가 그런 부정확함이 있음을 다들 인지하고 있으며
여론조사의 결과가 어떻게 되었건 거의 상관없이
자기 의사대로 투표장에 나가기로 결정하고 또 그대로 투표한다고 생각하고,
사실 저는 밴드웨건 효... 더 보기
예를들어 1 표본이 큰 경우 2 선거가 큰 경우에는 여조가 무적권 맞습니다.
1이 가장 유효하게 들어맞는 조사는 출구조사가 조사 표본이 많아서 결과가 맞게 나오고
2가 유효하게 들어맞는 조사는 대선이 그러합니다. 또 광역자치단체장 출구조사의 경우도 대체로 맞춥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에는 사람들은 모두 여조가 그런 부정확함이 있음을 다들 인지하고 있으며
여론조사의 결과가 어떻게 되었건 거의 상관없이
자기 의사대로 투표장에 나가기로 결정하고 또 그대로 투표한다고 생각하고,
사실 저는 밴드웨건 효... 더 보기
그것은 좀 복잡한데...
예를들어 1 표본이 큰 경우 2 선거가 큰 경우에는 여조가 무적권 맞습니다.
1이 가장 유효하게 들어맞는 조사는 출구조사가 조사 표본이 많아서 결과가 맞게 나오고
2가 유효하게 들어맞는 조사는 대선이 그러합니다. 또 광역자치단체장 출구조사의 경우도 대체로 맞춥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에는 사람들은 모두 여조가 그런 부정확함이 있음을 다들 인지하고 있으며
여론조사의 결과가 어떻게 되었건 거의 상관없이
자기 의사대로 투표장에 나가기로 결정하고 또 그대로 투표한다고 생각하고,
사실 저는 밴드웨건 효과를 전혀 믿지 않는 사람중 한사람입니다.
밴드웨건 효과가 실재한다면 오세훈 정세균 같은 여조참사가 벌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정세균이 승리를 거머쥐는 그런일이 일어나기가 매우 어렵지 않겠읍니까?
다만 그렇다고 제가 여조 시스템에 아무 문제가 없냐고 생각하느냐면 그것은 그렇지 않고
현 여조 시스템에도 부정할수 없는 문제가 두가지쯤 있는것 같은데,
그중 하나는 'A 선거 직전에 존재하는 깜깜이 기간'입니다.
말씀하신 윤석열과 이재명의 표차이가 5%에서 급격히 좁혀지고 있다는 신호는
깜깜이 기간중에도 여조에서도 분명히 드러났습니다. 다만 발표가 될수 없었을 뿐이고요.
두번째는 'B 양당 경선에 여조를 활용한다'는 것입니다.
여조는 본질적으로 +-3.1% 같은 오차범위가 존재하는 것인데
그런걸 가져다가 경선같은 중요한 결정을 하는데 직접 사용한다고...??
그런 행동은 사람들이 여조를 과대하게 신뢰하게 만들고,
'여조가 보수에 유리하게 나오니까 ********'하는 류의 음모론이 출현하는 자양분이 됩니다.
최소한 단어라도 바꿔야 합니다. '주민 ARS 투표' 뭐 이런식으로 라도 바꿔야.....
예를들어 1 표본이 큰 경우 2 선거가 큰 경우에는 여조가 무적권 맞습니다.
1이 가장 유효하게 들어맞는 조사는 출구조사가 조사 표본이 많아서 결과가 맞게 나오고
2가 유효하게 들어맞는 조사는 대선이 그러합니다. 또 광역자치단체장 출구조사의 경우도 대체로 맞춥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에는 사람들은 모두 여조가 그런 부정확함이 있음을 다들 인지하고 있으며
여론조사의 결과가 어떻게 되었건 거의 상관없이
자기 의사대로 투표장에 나가기로 결정하고 또 그대로 투표한다고 생각하고,
사실 저는 밴드웨건 효과를 전혀 믿지 않는 사람중 한사람입니다.
밴드웨건 효과가 실재한다면 오세훈 정세균 같은 여조참사가 벌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정세균이 승리를 거머쥐는 그런일이 일어나기가 매우 어렵지 않겠읍니까?
다만 그렇다고 제가 여조 시스템에 아무 문제가 없냐고 생각하느냐면 그것은 그렇지 않고
현 여조 시스템에도 부정할수 없는 문제가 두가지쯤 있는것 같은데,
그중 하나는 'A 선거 직전에 존재하는 깜깜이 기간'입니다.
말씀하신 윤석열과 이재명의 표차이가 5%에서 급격히 좁혀지고 있다는 신호는
깜깜이 기간중에도 여조에서도 분명히 드러났습니다. 다만 발표가 될수 없었을 뿐이고요.
두번째는 'B 양당 경선에 여조를 활용한다'는 것입니다.
여조는 본질적으로 +-3.1% 같은 오차범위가 존재하는 것인데
그런걸 가져다가 경선같은 중요한 결정을 하는데 직접 사용한다고...??
그런 행동은 사람들이 여조를 과대하게 신뢰하게 만들고,
'여조가 보수에 유리하게 나오니까 ********'하는 류의 음모론이 출현하는 자양분이 됩니다.
최소한 단어라도 바꿔야 합니다. '주민 ARS 투표' 뭐 이런식으로 라도 바꿔야.....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