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4/02/14 14:08:48
Name   moqq
Subject   낭인시대.
낭인
예전에 국가시험만 준비하는 장수생을 낭인이라 했었다. 주로 사시낭인이 많았고 사시가 없어진 뒤로는 낭인이라는 말을 잘 들어보지 못한 것 같다. 최근의 의대열풍처럼 예전에도 판검사 의사 등의 자격증이나 면허에 목을 매는 건 똑같았고, 당시에 각 자격증의 손익분기점을 이야기했던 글도 생각난다. 예를 들면 의대는 35살에 합격해도 괜찮다. 사시는 40살에라도 합격하기만 하면 일반 직장다니는 것보다 괜찮다 뭐 이런 이야기들.. 그 시점 기준으로 사법고시가 가장 리턴이 커서 합격나이를 제일 늦출 수 있는 시험이었는데 지금처럼 공급이 늘어난 상황에서는 걍 옛날 이야기일 뿐이다.

현재는 낭인이라는 말을 쓰지 않을 뿐 많은 젊은이들이 낭인이 되어버렸다. 수능 재수는 기본이고, 대학다니면서 학점관리에 시간을 쓰고, 취업준비에 또 시간을 쓴다. 많은 사람들이 보기에 변변치않은 자리에서 시작하는 것보다는 좋은 자리에서 시작하는 것이 더 낫다는 판단을 하는 것이다. 준비과정이 길어지니 연애, 결혼, 출산도 미뤄지는 것 같다. 흔한 클리셰이기도 하다 떠돌이에게 애인과 가족은 사치이다 뭐 이런 이야기?

양극화?
그렇다고 일자리가 없는 건 아니다. 대기업 일자리가 부족할 뿐 중소기업이나 농촌에는 외국인 노동자도 많다. 입시에서도 미달인 대학들도 많다. 사람들이 가지 않을 뿐. 왜 안가냐? 가서 열심히 하면 되지 않나? 어디든 가서 공부 많이 하고, 논문 많이 쓰고, 추천서 받아서 더 좋은 대학이나 연구실로 레벨업하면 되지 않나?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는데 그것보다는 1년 공부해서 시험 한 번 다시 치는 게 낫다고 생각할 법 하다. 좋은 대학에 가면 내 능력은 증명되고, 이후 기회와 대우가 더 나아지니까.. 이게 차이가 없어지려면 삼성전자에서 서울대 공대생이나 지방대 공대생이나 똑같이 뽑으면 된다. 그래서 시작한 게 블라인드 채용인데 그것도 결국 서울대생이 더 많이 뽑힌다는 이야기가 있고, 정말 차이가 없게 하려면 주사위 굴리면 되겠지만 그건 또 공정한가? 문제는 단순히 삼성전자 취업만은 아니다. 걍 명문대와 비명문대학은 환경, 인맥, 기회 등에서 차이가 난다. 걍 더 좋으니까 한 번 더 노력해서 그걸 하겠다.는 게 문제되는 행동은 아니다.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낭인으로 산다. 뭔가 더 좋은 걸 바라면서.

Why not 가붕개?
가붕개로 만족하고 살자. 모두가 강남에 살 필요가 없다 라는 이야기에 많은 사람들이 화를 냈던 기억이 난다. 실제로 정부에서는 최저시급, 주휴수당, 실업수당등을 챙기게 해주었다. 자영업 하는 친구들에게 직원들이 그만두면서 실업수당 받고 쉰다는 이야기도 꽤 들었다. 나라에서 이런 정책들을 시행했으니 사람들은 더 행복해졌나? 헬조선이라는 단어를 덜 쓰기는 하는 것 같다만 사람들이 더 행복해하는지는 모르겠다. 행복하지 않다면 왜 더 행복하지 않은지도 모르겠다. 현 상황에 만족하고 가정을 꾸리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돈이 충분하지 않아서 라는 답이 가장 많았다는데.. 어느 정도의 돈이면 충분한 걸까? 서울 신축 아파트에 둥지를 틀 만큼은 되야하는 것 같은데.. 아파트가 빵도 아니고 모든 사람에게 찍어서 나눠줄 수는 없지 않나. (근데 가붕개를 위한 정책에 만족하는 사람이 없다면 그런 정책을 할 이유가 있을까?)

충분함
물질적인 충분함의 기준이 뭘까 하니까 생각나는 이야기가 있다. 어느 분 아들이 대학가면 독립하겠다고 했었다. 마치 드라마에 나오는 것 처럼 재밌게 살 생각을 하면서.. 근데 월세를 알아보고 오더니 걍 집에서 통학하기로 했는데 아마 자기가 기대했던 자취라는 게 보통 사람이 하기 어려운 드라마에나 나오는 것이라는 걸 깨달은 것 같다. 현실은 8평 투룸도 가격이 만만치 않으니까.. 보통 사람이 생각하는 충분함이란 써야할 것과 쓰고 싶은 것을 왠만큼 소비해도 여유가 있는 것 아닐까 싶은데 솔직히 그게 가능한 일인가 싶다. 부자들이 어떻게 소비하고 사는지 누구나 알고, 서울 집값이 얼마인지 원클릭으로 알아볼 수 있는 시대에.

다시 낭인
나라에서 모두를 삼성전자에 취업시켜줄 수는 없다. 고연봉 일자리를 만들 수 있으면 왜 안만들겠나. 나라에서 할 수 있는 건 최저시급을 올리고 의사 수를 2배 늘리는 정도이다. 모든 사람의 삶을 획기적으로 바꿔줄 수는 없다. 그건 자기 스스로 하는 수 밖에.. 그래서 모두가 낭인으로 산다는 이야기로 되돌아오는 거겠지.



5
  • 좋은 통찰


스톤위키
삼성전자와 같은 일자리를 만들어줄 기업이 너무 부족한게 문제죠.
연봉 5천짜리 직원을 고용하려면 1명당 1억원의 매출은 일어나야 가능할겁니다.

그럼 1년 매출 1천억찍는 기업이라고 해도 연봉 5천짜리 직원 1천명 고용도 간당간당 한거죠.
https://www.sedaily.com/NewsView/29YK6HI3LM
22년 기업활동으로 인한 총 매출이 3238조 였다는군요.
2023년 12월 기준 종사자 수는 1982만명이니까 한국 평균 1인당 매출이 1.6억이네요.
1인당 1억 매출하고 연봉 5천 주는 건 좀 후한 건가 봅니다.
Paraaaade
매출기준이면 3-4배 정도 잡아야 맞을겁니다. 그것도 세전이고
다크초코
제가 듣기론 2배가 아닌 연봉의 3배의 매출은 발생해야 한다더라고요. 인당 1억 매출이면 연봉 3300만원 정도인거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494 스포츠[MLB] 클레이튼 커쇼 LA 다저스와 1년 최대 12.5M 계약 5 김치찌개 24/02/28 2152 0
14078 음악[팝송] 포스트 말론 새 앨범 "AUSTIN" 김치찌개 23/07/31 2154 1
14754 의료/건강[PD수첩] 의료비상사태 – 누가 병원을 멈추게 하나 5 cummings 24/06/19 2157 2
14503 일상/생각아이가 이성에 눈을 뜨려고 하는것 같아요~~ 4 큐리스 24/03/05 2161 0
14451 오프모임무지성으로 쳐보는 연휴 막날 돼지갈비 벙 8 비오는압구정 24/02/12 2162 1
13835 일상/생각행복, 감사 그리고 사랑 4 날이적당한어느날 23/05/10 2163 2
13829 게임[LOL] 5월 9일 화요일 오늘의 일정 2 발그레 아이네꼬 23/05/08 2163 0
14791 경제부동산 생각 끼적끼적 feat 관치금융 or 꽌시금융 6 구밀복검 24/07/12 2164 2
13834 게임[LOL] 5월 10일 수요일 오늘의 일정 1 발그레 아이네꼬 23/05/09 2164 0
14410 도서/문학《서른의 불만 마흔의 불안》 -1/5 (+도서 증정 이벤트) 7 초공 24/01/23 2164 0
14805 오프모임7월 26일 냉삼 드실분? 20 비오는압구정 24/07/25 2165 4
14862 일상/생각사회초년생 첫차 언제사는게 나을까요? 36 미스포포 24/08/23 2165 0
14348 일상/생각쉬는 시간에 즐기는 카페독서? 1 큐리스 23/12/20 2167 4
13593 음악[팝송] 핑크 새 앨범 "TRUSTFALL" 김치찌개 23/02/23 2170 1
13129 게임[LOL]9월 3일 토요일 오늘의 일정 3 발그레 아이네꼬 22/09/02 2172 0
14609 문화/예술반항이 소멸하는 세상에서 가운데 손가락을 치켜세우는 소녀들 5 kaestro 24/04/20 2172 6
13818 게임[LOL] 5월 6일 토요일 오늘의 일정 1 발그레 아이네꼬 23/05/06 2174 0
14839 꿀팁/강좌'수험법학' 공부방법론(1) - 실무와 학문의 차이 11 김비버 24/08/13 2174 13
13632 음악[팝송] 시갈라 새 앨범 "Every Cloud - Silver Linings" 김치찌개 23/03/11 2179 0
14331 방송/연예56호 가수님 사랑합니다. 3 큐리스 23/12/14 2179 0
14072 음악[팝송] 톰 그래넌 새 앨범 "What Ifs & Maybes" 김치찌개 23/07/28 2184 1
14550 일상/생각와이프랑 덕담 중입니다. 3 큐리스 24/03/21 2186 4
14693 스포츠후쿠오카 인근 골프장 리뷰 2 danielbard 24/05/20 2186 4
13354 음악[팝송] 테일러 스위프트 새 앨범 "Midnights" 2 김치찌개 22/11/26 2187 1
13860 일상/생각제가 <그리스 신화>에서 가장 부러워하는 인물은 아도니스입니다. 2 컴퓨터청년 23/05/15 218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