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4/02/06 14:49:09
Name   초공
Subject   《서른의 불만 마흔의 불안》 - 40대 부장’님’의 재취업기 (도서 증정 이벤트 5)
안녕하세요.
어크로스 출판사입니다.

지난 4회 연재글에는 댓글 달아주신 분이 안 계셔서,
오늘은 마지막 연재글만 올려드립니다!

이번 글에 댓글 달아주신 분 중 한분께도 책을 보내드리니,
공감이 가거나 다른 의견이 있다면 편히 댓글 달아주세요! (쪽지로 연락드리겠습니다.)

그동안 글을 올릴 수 있도록 양해해주신 홍차넷 운영자님과
유저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

<40대 부장’님’의 재취업기> _《서른의 불만 마흔의 불안》 178p

한때 ‘여성의 생애 소득이 가장 높은 나이는 평균 34세’라는 트윗이 엄청나게 퍼져나간 적이 있다. 대략 10년 차 과장 혹은 차장일 때 연봉이 가장 높단 얘기인데, 결혼 후 출산과 육아로 회사를 계속 다닐 수 있을지 고민에 빠지는 시기와도 겹친다. 그러니까 경력 단절 직전에 받은 연봉이 우리 생애에 올릴 수 있는 가장 높은 수익이란 의미인 것이다. 실제로 육아로 경력 단절이 되면, 아이를 어느 정도 키우고 난 뒤 다시 취업을 하려고 할 때 동일한 포지션으로 돌아오기란 불가능하고 누구라도 할 수 있는 단순한 업무로 방향을 틀게 되니 트윗은 과장이 아니라 오히려 냉정한 현실을 꼬집은 ‘팩폭’이었다.

40대 부장 퇴직자의 재취업 시도에는 ‘스펙이 부담스럽다’ 같은 완곡한 거절, 회사 대표가 나보다 나이가 어리다는 걸 뒤늦게 발견한 나의 불찰, 불합격 알람조차 보내지 않는 서류 전형이 번갈아가며 일어났다. “언니 능력이 문제가 아니라, 언니 자리가 안 보여.” 타로 점술가마저 녹록지 않은 현실을 거듭 일깨워줬다. 그러다가 ‘엄마로서 자아가 강하냐?’는 질문을 들은 건 일하는 여자들을 위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회사와의 면접 자리에서였다. 엄마로서 자아가 강한 사람은 그런 콘텐츠만 반복해서 기획한다는 게 면접관의 설명이었다. 마치 엄마는 일하는 사람이어서는 안 된다는 듯 모멸감을 주는 질문은 40대 재취업기의 트라우마로 남았다.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익스플레인: 세계를 해설하다> 시리즈 중 ‘왜 여성은 더 적게 받는가’ 편에서 경제 연구원 베로니크 드 루지는 회고한다. “시간적으로 압박을 받은 것은 상사가 아니라 나 자신이었다. 집에 있는 아이와 시간을 보내고 싶었기에 15분 만에 많은 일을 할 수 있었다. 아이가 있기 때문에 나는 훨씬 나은 직원이 되었다.” 컨설턴트 출신 폴레트 라이트는 경력 단절 여성과 일하는 방법으로 ‘사무실에 책상을 내주고 일주일 내내 얼굴을 내밀게 하지 말고 그냥 일거리를 던져주고 언제까지 끝내야 한다고 이야기만 해주길’ 권한다. “세계경제에서 빈곤 퇴치를 위해 가장 효과적인 수단은 여성의 잠재력을 활용하는 것”이라는 르완다 정치가 발렌타인 루그와비자의 말처럼 경력 단절 여성은 준비된 미활용 인력이다. 역사와 사회가 만들어냈지만 삶을 책임지고자 애쓰는 우리는 개인으로 상황을 돌파하고 있다.

알랭 드 보통의 말대로 우리의 삶은 불안을 떨쳐내고, 새로운 불안을 맞아들이고, 또다시 그것을 떨쳐내는 과정의 연속이다. 하지만 40대에 맞이한 경제적 불안정은 생계는 물론 사람들과의 관계, 노후까지 불안을 더했고 나는 불안을 잠재우기 위한 최선의 선택을 함으로써 M자 곡선 그래프의 솟아오르는 지점에 올라섰다. 그리고 엄마로서 자아가 강한지 물었던 면접관에게 세어네이드 리의 방식대로 대답하고 싶다. “나는 엄마가 아닐 때보다 세상을 보는 눈이 넓어졌고 조직을 관리할 유연성도 풍부해졌다. 20, 30대 때보다 실수와 실패를 줄이는 판단을 더 잘하게 됐고 당신 같은 면접관을 만나도 당황하지 않는 배포도 생겼다. 그러니 엄마로서 정체성과 경력을 시대에 뒤떨어진 증거로 받아들이지 말고 존중해야 할 성취로 받아들이길 바란다.”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443 일상/생각안전한 전세 월세 계약하는 방법 2 게이득 24/02/08 1125 0
    14442 IT/컴퓨터천원돌파 의존성 역전 17 kaestro 24/02/08 2969 1
    14441 일상/생각방학중인 아들을 위해 밑반찬을 만들어봤어요. 2 큐리스 24/02/07 862 3
    14440 일상/생각대전을 떠나면서 5 활활태워라 24/02/06 1119 0
    14439 과학/기술자율주행차와 트롤리 딜레마 9 서포트벡터 24/02/06 1183 7
    14438 도서/문학《서른의 불만 마흔의 불안》 - 40대 부장’님’의 재취업기 (도서 증정 이벤트 5) 2 초공 24/02/06 775 0
    14437 영화영화 A.I.(2001) 15 기아트윈스 24/02/06 1067 21
    14436 사회10년차 외신 구독자로서 느끼는 한국 언론 32 카르스 24/02/05 2228 12
    14434 음악[팝송] 제가 생각하는 2023 최고의 앨범 Best 15 4 김치찌개 24/02/04 1257 7
    14433 일상/생각AI가 일도 대신해주는 세상이 오나봅니다. 6 냥냥이 24/02/03 1344 2
    14432 오프모임[벙개] 똘배님과 함께하는 온리모임 (24/02/03 오후7시 Bar틸트) 21 Only 24/02/02 1422 2
    14431 꿀팁/강좌암기는 귀찮은 나를 위한 스페인어 공부 계획 6 보리건빵 24/02/02 1209 0
    14430 육아/가정자폐아이의 부모로 살아간다는건... 11 쉬군 24/02/01 2041 66
    14429 일상/생각집 밖은 위험합니다 1 mathematicgirl 24/02/01 1032 1
    14428 일상/생각딸내미 둘이 함께 만든 선물 3 큐리스 24/02/01 914 8
    14427 일상/생각전세보증금 분쟁부터 임차권 등기명령 해제까지 (4, 完) 6 양라곱 24/01/31 3293 35
    14426 역사역사 관련 책들을 안읽게 된 계기 4 danielbard 24/01/31 2196 17
    14425 일상/생각코드와 글의 경계에서(나는 왜 글을 계속 쓰려하는가) 2 kaestro 24/01/31 859 3
    14424 도서/문학《서른의 불만 마흔의 불안》 - 나의 자랑 해방일지 (도서 증정 이벤트 4) 초공 24/01/31 654 1
    14423 기타텃밭을 가꿉시다 20 바이엘 24/01/31 1060 8
    14422 IT/컴퓨터의존성 역전 패턴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설계 개선(1~3) 30 kaestro 24/01/30 1473 0
    14421 도서/문학《서른의 불만 마흔의 불안》 - 다만 가면에서 구하소서 (도서 증정 이벤트 3) 2 초공 24/01/29 851 0
    14420 꿀팁/강좌SRT 예매시 꿀팁?? 5 Groot 24/01/28 1530 4
    14419 일상/생각한국사회에서의 예의바름이란 12 커피를줄이자 24/01/27 1618 3
    14418 게임라이엇은 e스포츠로 수익을 올릴 생각이 있나? 13 당근매니아 24/01/27 1439 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