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4/01/27 13:08:08
Name   커피를줄이자
Subject   한국사회에서의 예의바름이란




한국사회에서의 예의바름이란 다른 사람이 지켜온 삶의 확신에 불안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자기 삶을 제어하는 것을 뜻한다. 절대 남이 부담스러워할 만한 이야기를 꺼내서는 안된다.

더 나아가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는 일들의 정당성에 대한 고민을 다른 사람에게 드러내는 것만으로도 상대방에게 모독이 될 수 있다.

한 예로 교육현장에서 자신이 지금 하고 있는 것이 진정한 교육인지를 고뇌하는 A교사가 그 모습을 다른 교사에게 드러낼 경우 그런 생각을 하지 않는 다른 교사에게는 이같은 A의 성찰이 곧 자신은 고민도 없는 사람이라는 식의 비난이나 마찬가지가 된다.

따라서 관계란 타자성이 드러나지 않는 방식으로 세심하게 배려되어야 한다.

한국사회의 예의바름이란 낯선 이를 친구로 만드는 과정이 아니다. 오히려 타인이 적정거리를 유지한 채 물러나 있을 것을 요구한다. 그렇기에 다른 의견을 제시하는 것 자체가 타인의 영역을 침범하는 예의없는 행동으로 받아들여진다. 나 또한 남에게 관여하지 않고 거리를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곳이 아파트다.

아파트 주민들이 가장 경계하는 것은 생활공간에 낯선 사람이 들어오는 것이다. 한국의 공교육은 무너진지 오래이며 따라서 아파트단지의 학부모들은 사교육을 통한 자녀교육에 혈안이 되어 있다.

내 아이는 당신들의 아이와는 좀 다르게 키우겠다고 말하는 학부모가 나타나면 그는 가장 경계하는 대상이 된다.

왜냐하면 그런 “낯섦”이 우리 공간에 들어옴으로서 나의 지켜온 확신이 흔들리고 불안이 증폭되기 때문이다. 극단적으로 말한다면 중산층들이 모여 사는 폐쇄적인 아파트단지 안에 들어가는 순간 내 아이를 다른 방식으로 키울 자유 따위는 온데간데 없어지는 셈이다.

한국사회에서의 예의바름이란 다른 사람이 지켜온 삶의 확신에 불안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자기 삶을 제어하는 것을 뜻한다.

절대 남이 부담스러워할 만한 이야기를 꺼내서는 안된다. 더 나아가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는 일들의 정당성에 대한 고민을 다른 사람에게 드러내는 것은 상대방에게 모독이 된다.

한 예로 교육현장에서 자신이 지금 하고 있는 것이 진정한 교육인지를 고뇌하는 A교사가 그 모습을 다른 교사에게 드러낼 경우 그런 생각을 하지 않는 다른 교사에게는 이같은 A의 성찰이 곧 자신은 고민도 없는 사람이라는 식의 비난이나 마찬가지가 된다.

따라서 관계란 타자성이 드러나지 않는 방식으로 세심하게 배려되어야 한다.


한국사회의 이런 딜레마를 잘 보여주는 사례가 바로 양심적 병역거부다.

양심적 병역거부라는 말에 사람들이 격한 반응을 보이는 이유는 양심이라는 말 때문이다. 병역거부자 너희들이 양심적이라면 군대에 다녀온 우리는 그럼 비양심적이라는 말이냐,라는 반발이 줄을 잇는다.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의 양심이란 말은 종교나 이데올로기 등 한 개인이 평생동안 지켜온 신념에 비추어 볼 때 병역의 의무가 스스로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모순이어서다. 또한 개인의 이같은 결단을 존중해주지 않는 시스템에 대한 항변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이를 대다수 군복무자들에 대한 모독으로 받아들인다. 만약 양심적 병역거부를 개인의 신념에 의한 거부로 바꿔 부르면 이야기가 달라질까?
아니다. 곧 우리 대다수는 신념이 없느냐라는 반발이 이어질 것이다.

그러니까 결국 시스템의 요구에 응하지 않는 모습을 보게 되면 이것을 시스템에 적응하는 사람들에 대한 모독으로 느끼는데서 오는 결과다. 따라서 누구든 자신이 사회구조에 의해 고통을 받았다 하더라도 그 부당함을 공개적으로 말하는 행동은 의식적으로 기피된다. 개인의 상처는 드러낼 것이 아니라 감추어야 한다.


본래 서구의 자유주의가 규정한 자유의 개념은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르게 살아간다는 의미었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한국사회에서는 차이와 다름을 드러내는 것이 곧 타인의 삶에 대한 개입, 즉 예의바르지 않은 행동으로 판단된다.

타자성을 드러내서는 안된다는 말은 다음과 같다. 튀지 않는 것이 나를 보호하는 원리이자 남을 배려하는 방식이다.

타인에 대해 왈가왈부해서는 안되며 남에게 심려를 끼칠 만한 이야기는 꺼내지 말아야 하는 곳이 한국사회다.

공개적으로 자신이나 남의 상처를 이야기하고 공감을 바라는 것은 민폐로 금기시된다. 따라서 본인의 상처와 치유는 철저히 사적인 방식으로 알아서 해결해야 한다.

그러므로 맞춤형의 위로와 상담이 공적토론 자리를 대체한다. 바우만의 말처럼 개인의 문제들에 대해 복지로서 사회적 해결책을 기대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시스템에 의해 발생한 상처들을 개인이 알아서 해결하게 된 것이다. 바로 그래서 우리는 외로워졌다. 그리고는 이 외로움이 인생의 실존이라고 착각하게 되었다.






매우 인상깊은 구절이라 공유하고 싶어 가져왔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은하스물셋
    무슨 말을 하고 싶은지는 알겠는데, 잘 공감은 안 되네요. 아파트에 살면서도 나름의 다름을 가지고 살고 있는 사람으로서, 저 때문에 남이 불편해 하는 건 별로 느껴보지 못 했어요.

    내가 다르다는 걸 남에게 안 알려서 그런 걸까요. 남들은 제가 남들과는 조금 다르게 살고 있다는 걸 모르는 거 같은데요.
    1
    김비버
    저는 상당히 공감합니다ㅎㅎ
    1
    당근매니아
    눈치 보는 문화, 항상 서로 같아야 하는 문화... 뭐 일본의 메이와쿠 개념에 비하면 훨씬 완화되어 있긴 합니다만, 그래도 여전히 튀면 욕 먹는 문화이긴 하죠.
    1
    매뉴물있뉴
    저는 공감 가는 부분도 너무 많고
    전혀 공감 안가는 부분도 너무 많아서
    너무 신기하게 읽었읍니다 ㅋㅋㅋㅋㅋ
    셀레네
    한국 사회에 어느 집단이든 나와 조금이라도 다르다는 거를 인지하는 순간 그거를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배척하고 밀어내려는 거를 많이 보고 겪었기에 이해가 가는 부분은 있네여 ㅋㅋ
    퓨어라이프
    최근 한국 사회에 반pc 바람이 강한 것에 저런 이유도 있을 것 같네요 어느 정도는 공감하며 읽었습니다
    애플정답지베끼기
    이런 부분에 있어서는 일본이 찐이라 우리나라는 많이 순화된 버전이긴 하죠
    골든햄스
    그러니까 결국 시스템의 요구에 응하지 않는 모습을 보게 되면 이것을 시스템에 적응하는 사람들에 대한 모독으로 느끼는데서 오는 결과다. 공감가네요

    글의 출처를 알 수 있을까요?
    보이차
    이런 얘기만 나오면 “일본은…” 이라는 말이 나오는게 좀 흥미롭네요. 도대체 일본은 어떤 나라인 것인가
    1
    어떤 문화요소든 대개 사람사는 곳이면 다 있기 마련이라 그게 정말 00사회의 특징인지 어떤지를 알려면 비교가 필수적이라고 봅니다. 전수조사는 무리더라도, 동서양 하나씩 2개만 대조군을 뽑아서 살펴보니 확실히 00사회에서만 그 정도가 심하다고 하는 정도는 되어야 무난히 인정할 수 있겠지요.
    1
    페스토
    일반적으로 진상만 아니면 욕 안먹죠? 저는 별로 공감이 안되네요
    인용하신 내용과 같이 사회적인 압박이 있는 것 같긴 합니다.
    그런데 그 압력은 자아가 학급 위원장 선거부터 아파트 동대표까지 뭐든 상관 없이 선출직에 출마 할 정도의 견고함만 가지고 있어도 무시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스스로 가진 것이 아무것도 없다고 생각하면 영양이나 정어리처럼 무리 속에 숨어서 눈치보고 사는거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531 일상/생각삶의 의미를 찾는 단계를 어떻게 벗어났냐면 8 골든햄스 24/03/14 2785 17
    14530 일상/생각그래도 하는 흉내라도 내는 직원들이 이뻐보이네요. 3 큐리스 24/03/13 2818 0
    14526 일상/생각아들과의 대화 즐거우면서도 씁쓸합니다. 6 큐리스 24/03/12 2599 3
    14516 일상/생각빼빼로데이의 슬픈 추억 1 큐리스 24/03/08 2175 4
    14510 일상/생각서울에서 선호하는 동네는 어딘지요? 29 바방구 24/03/06 3140 0
    14507 일상/생각판도라같은 여자를 만나야 합니다. 11 큐리스 24/03/06 2982 9
    14503 일상/생각아이가 이성에 눈을 뜨려고 하는것 같아요~~ 4 큐리스 24/03/05 2597 0
    14501 일상/생각회식을 하다가 신입 직원 나이에 깜짝 놀랬습니다. 3 큐리스 24/03/04 3038 0
    14497 일상/생각소회와 계획 9 김비버 24/03/03 2617 17
    14493 일상/생각카드의 용도는 간지임다.. 9 Leeka 24/02/28 3333 0
    14491 일상/생각좋은 학원 선생님이 있어서 다행입니다. 1 큐리스 24/02/28 2598 5
    14482 일상/생각지식이 임계를 넘으면, 그것을 알리지 않는다 22 meson 24/02/22 3589 1
    14481 일상/생각애가 있는 부부의 슬픈밤^^;; 13 큐리스 24/02/22 2961 3
    14478 일상/생각22살 고졸. 어떻게 살아가야할까요? 31 경주촌박이 24/02/21 3811 2
    14476 일상/생각이해가 되지 않는 부모님의 행동 ㅠㅠ 24 큐리스 24/02/21 3041 1
    14474 일상/생각요새 이민이 늘고 있는 것 같습니다 22 Jeronimo 24/02/20 3502 2
    14463 일상/생각LTNS 최근 본 드라마중 감히 최고라고 말하고 싶네요.(스포있어요) 4 큐리스 24/02/17 2500 0
    14458 일상/생각와이프 참 고마워요~~ 2 큐리스 24/02/15 2370 3
    14457 일상/생각낭인시대. 4 moqq 24/02/14 2756 5
    14456 일상/생각바드가 쓴 시: 윈도우 터미널 3 큐리스 24/02/14 2388 0
    14455 일상/생각인사고과와 사회적 가면에 대한 생각 6 nothing 24/02/13 2925 8
    14454 일상/생각와이프에게 말못한 비밀을 아들에게는 할수 있을까요? ㅎㅎ 6 큐리스 24/02/13 2867 1
    14453 일상/생각와이프가 오일 마사지에 맛을 들였네요.^^ 12 큐리스 24/02/13 2912 1
    14449 일상/생각지난 연말에 한달간 업장에서 바하밥집 기부 이벤트를 했습니다. 13 tannenbaum 24/02/11 2985 49
    14443 일상/생각안전한 전세 월세 계약하는 방법 2 게이득 24/02/08 2575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