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4/01/27 12:31:14
Name   당근매니아
Subject   라이엇은 e스포츠로 수익을 올릴 생각이 있나?
https://www.riotgames.com/ko/news/building-the-future-of-sport-at-riot-games-ko
[라이엇] 라이엇 게임즈에서 만들어가는 스포츠의 미래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739
[시사in] 롤드컵 열기 뒤 e스포츠 산업의 명암

http://www.goodkyung.com/news/articleView.html?idxno=206439
[굿모닝경제] [김재훈의 e스펙트럼] 인기 있지만 적자 'e스포츠'…수익 확보 방안은

https://pgr21.com/free2/79041

최근에 옆동네에서 이 사안으로 나름 핫하더군요.
구단들은 투자하는 비용에 비해서 수익분배가 한심한 수준이니 라이엇에게 개선을 촉구하고,
라이엇은 알아서 할 테니 구단들이 집단행동 시작하면 재미없다고 경고하고....

사실 옆에서 보고 있자면 lck를 비롯한 롤 리그가 돈을 뽑아올 구석 자체가 현시점에서는 없습니다.
일반적인 프로스포츠에서 예산확보하는 방법을 구분해보자면.....

개별팀 입장에서는 ① 팀 스폰서의 지원, ② 선수단 광고 촬영 등 외부활동, ③ 굳즈 판매, ④ 대회상금 정도가 있을 테고,
리그 입장에서는 ① 중계권 판매, ② 입장료 수입, ③ 공식 스폰서 지원, ④ 공식 굳즈 등을 통해서 수익을 창출해야 할 겁니다.

근데 현재 lck에서는 사실상 ①, ②가 없는거나 다름 없죠.

일단 중계를 유료로 볼 생각들이 별로 없기 때문에 치지직, 유튜브 등의 플랫폼이 라이엇에 중계권을 비싼 돈 주고 사올 의향이 없습니다.
그거 따와봐야 중계하는 스트리머들이나 도네 좀 더 받고 마는거지, 트래픽 유입이 플랫폼의 수익과 연결되지 않으니까요.
당장 야구도 유료 플랫폼으로 넘어가면 시청자 수가 박살이 날 게 뻔한데, lck라고 다를 건 없을 겁니다.

입장료는 종로한복판에 코딱지만 한 경기장을 개설했을 때부터 이미 날아간 카드입니다.
거기다가 경기시간을 봐도 돈 벌 의지가 있나 싶어요.
평일 5시부터 1경기를 시작하는데, lck를 보는 주요수요층은 그 시간에 회사든 학교든 자유롭게 움직이기 어렵죠.
프로야구가 괜히 6시 반부터 장사 시작하는 게 아닙니다.

t1 경기야 페이커 버프로 웃돈을 주고 사고 판다 치지만, 나머지 경기들은 그 작은 좌석도 다 못 채우는 경우가 허다한 걸로 압니다.

근데 이런 문제들을 도타2는 이미 다른 방식으로 개선한 바 있습니다.
저도 도타2 리그를 본 지가 몇년되었기 때문에 지금도 동일하지는 모르겠습니다만....
ti2023에서 뜬금없이 배틀패스 발매를 포기하면서 상금이 ti3 시절로 회귀한 걸 빼면, 그간은 꽤나 성공적으로 운영되어 온 걸로 압니다.

그 근간은 ▲ 통상적인 리그 경기를 보기 위해 시즌별로 인게임 입장권을 판매한 점과, ▲ ti 개최 시 상금모금을 위한 배틀패스를 적극적으로 운영한 점에 있겠죠.

도타2는 리그 경기를 인게임에서 보려고 할 때 시즌별로 입장권을 구매해야 했던 걸로 기억하는데, 이걸 사면 내 게임 클라이언트에서 바로 경기를 관전할 수 있었습니다.
관전이니 내 맘대로 보고 싶은 지점들을 찍어서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공식 옵저버나 중계화면을 따라 볼 수도 있었죠.
해설 역시 원하는 해설이 트랙별로 지원되고, 자기가 선호하는 중계진을 선택해서 들을 수 있었습니다.
이 정도 퀄리티의 중계서비스라면 한 시즌에 몇만원 정도 내는 건 충분히 감수할 수 있는 사람이 꽤 될 거라 생각합니다.

제 기억에 리그경기는 인게임 입장권을 구매해야 이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고, 롤드컵 같은 위치인 ti는 별도 비용 지불없이 인게임관전이 가능하되 배틀패스를 별도로 판매했었습니다.

배틀패스 쪽에서도 이미 롤은 배틀패스스러운 시스템을 다수 이용하는 걸로 압니다.
이걸 이스포츠와 연계해서 운영하지 못할 이유가 뭐가 있겠습니까.

사실 도타2의 저런 서비스들은 도타2가 롤처럼 로비와 인게임 클라이언트를 구분해서 돌리는 시스템이 아니고,
훨씬 더 훌륭한 관전시스템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기인할 겁니다.
지금 롤은 대회 버전과 라이브 서버 버전이 거의 항시 다른 걸로 알고 있는데,
도타는 레거시 버전을 어떤 방식으로 관전 구현했었는지까지는 모르겠습니다.

여튼 간에 저런 식의 상품을 개발해서 운영한 전례가 유사동종업계에 수년전부터 지속되고 있는데,
그걸 벤치마킹하거나 투자할 생각을 하지 않는 상황에서, 구단들에게 입 닫고 있으라고 강요할 일인가 싶습니다.
당장 페이커 은퇴 이후에 lck가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을까 싶어요.



2


    광기잇
    우리는 lpl만 있으면 된다?
    중계권 판매는 공짜라도 제법 수익이 나긴하죠
    롤 중계수입이 야구 제외한 축농배 합친것보다 더나오니

    그리고 도타랑 비교는... 도타가 리그사이즈 훨씬 작아서 별 의미없다봅니다
    당근매니아
    lck 중계권 가격이 오픈된 적이 있나요?
    도타2는 그 규모 내에서도 밸브가 높은 수준의 클라이언트/관전시스템 완성도를 구축해놨는데, 라이엇은 이스포츠를 대규모로 운영한지 10시즌 가까이 되도록 중계시스템 개선에 대해서 그다지 관심이 없는 것 같습니다.
    추정치정돈 나온적있죠 다만 중국중계가 박살나서 이제 어떻게될진 모르겠지만요

    인게임관전 진짜 좋긴한데 이게 규모 커져서 수익성으로 연결되어야할때 좋을진 모르겠습니다
    이게 잘되어있으면 그만큼 중계권 팔기 어려워지는거라서
    제가 이쪽으로 문외한이라 그런데, 롤 클라가 문제다 문제다 하는데 프로그래머들 몇 명 모아놓고 롤이랑 완전히 동일한 게임을 정돈된(?) 프로그램으로 만들어라 라고 하면 그걸 하는게 어렵나요?

    뜯어 고치기가 어렵다면 지금 있는건 있는거대로 돌리고 그냥 새로 똑같은거 하나 만들어서 다 만들어지면 바꿀 수는 없나 싶네요.
    Cascade
    네 불가능합니다. 클라를 뜯어고치면 세세한 부분에서 변동이 있을 수밖에 없어요.
    글쿤여 ㅠ
    사레레
    그렇게 해서 만든게 모바일 버전인 와일드 리프트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롤 본겜을 그렇게 고치기에는 너무 리스크가 크긴 하죠
    다른 게임 사례로는 마인크래프트가 있습니다
    도타2 ti때 파는 배틀패스 같은 예외를 제외한다면 결국 스폰이랑 중계권으로 수익을 가져가야 하는데
    롤 이스포츠의 근본적인 문제는 게임 제작자랑 to가 완전히 동일한 데에서 출발합니다
    대회/리그 스폰을 받아도 중계권 수익이 나도 그걸 라이엇이 독식하는 구조니까요
    구단들은 아무리 프차 어쩌고 해도 게임 제작사에 대항할 레버리지가 하나도 없죠. 반면 제작사가 아닌 to 상대로라면 아무래도 제작사보다는 협상하기가 쉽읍니다

    그리고 라이엇은 다른 수익창출 수단에 대해서도 덜 인색할 필요가 있다고 보는게 예를 들어 롤드컵은 우승팀... 더 보기
    도타2 ti때 파는 배틀패스 같은 예외를 제외한다면 결국 스폰이랑 중계권으로 수익을 가져가야 하는데
    롤 이스포츠의 근본적인 문제는 게임 제작자랑 to가 완전히 동일한 데에서 출발합니다
    대회/리그 스폰을 받아도 중계권 수익이 나도 그걸 라이엇이 독식하는 구조니까요
    구단들은 아무리 프차 어쩌고 해도 게임 제작사에 대항할 레버리지가 하나도 없죠. 반면 제작사가 아닌 to 상대로라면 아무래도 제작사보다는 협상하기가 쉽읍니다

    그리고 라이엇은 다른 수익창출 수단에 대해서도 덜 인색할 필요가 있다고 보는게 예를 들어 롤드컵은 우승팀만 스킨 만들어주는데 구단 배분이 고작 25%라면서요? 카스의 경우 메이저 본선만 올라가도 밸브가 팀 스티커랑 선수 스티커를 인게임으로 만들어서 팔고 매출이 나면 밸브랑 구단 or 선수가 5:5로 나눠 가집니다. 소규모 팀 중에선 메이저 입성해서 스티커로 얻은 수익이 그 해 전체 스폰받은 금액보다도 높았을 때도 있었다고 할 정도거든요
    동의합니다. 라이엇이 이 바닥을 장기간 유지할 마음이 있다면 독점하다시피 하는 수익을 토해내야죠.
    롤의 인기는 페이커, 쇼메, 더샤이, 재키러브 같은 탑스타들이 견인하고 있는데 인건비 부담을 자기들이 지지않으면 게임단은 자선사업하라는 것과 같습니다.
    3
    매뉴물있뉴
    근데 미국의 현재 nfl이 성립한 계기라거나
    현재 잉글랜드 epl이 성립한 이유+ 현재 유럽 슈퍼리그가 출범하려는 노력 이런 것들만 봐도
    그런 식의 불공정함은 항상 어디서든 생겨나게 마련이고
    그런 일이 발생했을때 구단들이 따로 연대하여
    기존시스템을 벗어나 새로 리그를 따고 만들어서
    빠져나가고 하는 거긴 합니다.

    다만 지금 저 lol게임계는 라이엇게임즈가 IP를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구단들이 연계해서 따로 리그를 차려 나갈수 없는 구조고
    이런 상황에서는 라이엇게임즈가 특별히 뭔가 조치를 하지 않는다면
    네덜란드 에레디... 더 보기
    근데 미국의 현재 nfl이 성립한 계기라거나
    현재 잉글랜드 epl이 성립한 이유+ 현재 유럽 슈퍼리그가 출범하려는 노력 이런 것들만 봐도
    그런 식의 불공정함은 항상 어디서든 생겨나게 마련이고
    그런 일이 발생했을때 구단들이 따로 연대하여
    기존시스템을 벗어나 새로 리그를 따고 만들어서
    빠져나가고 하는 거긴 합니다.

    다만 지금 저 lol게임계는 라이엇게임즈가 IP를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구단들이 연계해서 따로 리그를 차려 나갈수 없는 구조고
    이런 상황에서는 라이엇게임즈가 특별히 뭔가 조치를 하지 않는다면
    네덜란드 에레디비시에가 왠지 하부리그처럼 되고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가 왠지 상위리그처럼 된
    그 구도가 그대로 재현될겁니다.

    네덜란드가 거의 항상 전통적으로 잉글랜드보다는 축구를 잘하는 나라였지만 리그 수준으로보면 PL이 우위에있었던것처럼
    롤도 아마 비슷하게 될거에요. 선수들은 한국선수들이 더 우수하지만 리그는 중국리그가 더 우수한 그런 그림...
    페스토
    라이엇은 롤 파이를 더 키울 생각이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꾸준히 잘 운영하고 있긴 한데 약간 공무원 마인드 아닐까...
    진입장벽 해소를 위해 좀 더 노력해도 될 것 같은데 말이죠. 나온지 오래된 챔피언은 시즌별로 레거시로 돌려서 랭크에서 제외한다든지, 예전에 많이 했던 북미 대학교 대항전이나 그런 것도 도입해서 오프시즌에는 전국대회 돌려도 좋고요. 이스포츠쪽 인력은 너무 노는 시간이 길어요.
    인구풀 확장이야 한계가 있다고 쳐도 말씀하신 관전패키지도 그렇고 수익 뽑아낼 구석을 열심히 찾는 느낌이 없습니다. 구단들 불만이 이해가 가죠.
    듣보잡
    라이엇이 이스포츠로 돈 벌 이유는 딱히 없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667 게임[LOL] 5월 11일 토요일 오늘의 일정 5 발그레 아이네꼬 24/05/10 1337 0
    14664 게임[LOL] 5월 10일 금요일 오늘의 일정 3 발그레 아이네꼬 24/05/09 1179 0
    14659 게임[LOL] 5월 9일 목요일 오늘의 일정 4 발그레 아이네꼬 24/05/08 1311 0
    14658 게임[LOL] 5월 8일 수요일 오늘의 일정 5 발그레 아이네꼬 24/05/07 1380 0
    14657 게임[스타] 스...스타가 하고 싶어요!!! 25 Groot 24/05/07 2230 3
    14653 게임[LOL] 5월 7일 화요일 오늘의 일정 2 발그레 아이네꼬 24/05/07 1162 0
    14650 게임[LOL] 5월 5일 일요일 오늘의 일정 1 발그레 아이네꼬 24/05/04 1157 1
    14648 게임[LOL] 5월 4일 토요일 오늘의 일정 1 발그레 아이네꼬 24/05/03 1300 1
    14646 게임[LOL] 5월 3일 금요일 오늘의 일정 1 발그레 아이네꼬 24/05/02 1353 0
    14639 게임[LOL] 5월 2일 목요일 오늘의 일정 발그레 아이네꼬 24/05/01 1017 0
    14635 게임[LOL] 5월 1일 수요일 오늘의 일정 발그레 아이네꼬 24/04/30 1195 1
    14612 게임전투로 극복한 rpg의 한계 - 유니콘 오버로드 리뷰(2) 4 kaestro 24/04/21 1428 0
    14605 게임오픈월드를 통한 srpg의 한계 극복 14 kaestro 24/04/19 1755 2
    14549 게임최근 해본 스팀 게임들 플레이 후기 13 손금불산입 24/03/21 1851 5
    14519 게임에픽게임즈 무료 배포 - Astro Duel 2 홍차와비스켓 24/03/09 1597 0
    14485 게임에픽게임즈 무료 배포 - Super Meat Boy Forever 4 홍차와비스켓 24/02/26 1800 0
    14461 게임스트리트파이터 6 최초의 정상결전 - capcom cup x 2 kaestro 24/02/15 1912 2
    14418 게임라이엇은 e스포츠로 수익을 올릴 생각이 있나? 13 당근매니아 24/01/27 2563 2
    14362 게임2023 플레이한 게임 총정리 17 kaestro 23/12/27 2033 3
    14350 게임미드나잇선즈 - 안팔리는 게임은 이유가 있다. 3 당근매니아 23/12/20 2959 0
    14314 게임[PC] 격찌가 검증한 스파6 진짜 뉴비 친화적인가 6 kaestro 23/12/06 2370 2
    14282 게임[LOL] 11월 19일 일요일 오늘의 일정 2 발그레 아이네꼬 23/11/18 1652 0
    14273 게임주도권과 대응, 블루와 레드 간의 공방 14 kaestro 23/11/14 2079 1
    14268 게임[LOL] 11월 12일 일요일 오늘의 일정 3 발그레 아이네꼬 23/11/11 1739 0
    14267 게임[LOL] 11월 11일 토요일 오늘의 일정 발그레 아이네꼬 23/11/10 168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