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5/11/03 15:00:45 |
Name | 눈부심 |
Subject | 무인자동차와 도덕적 딜레마 |
구글과 테슬라에서 주도적으로 선보이고 있는 무인운전자동차가 언젠가는 상용화될 건데요. 사람이 아닌 기계가 운전을 하도록 프로그램을 만들다 보면 사고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운전자를 살리도록 프로그램을 입력할 것이냐 보행자를 살리도록 프로그램을 입력할 것이냐라는 딜레마에 빠지게 돼요. 유명한 트롤리문제에서 달리던 기차가 트랙을 바꾸지 않으면 선로에 묶여 있는 다섯명의 사람이 희생될 것이고 트랙을 바꾸면 다른 트랙에 묶여 있는 단 한 명만이 희생될 것이라면 트랙을 바꾸어야 희생되는 사람이 적을 거예요. 그러나 다리 난간 위에 뚱뚱한 남자가 한 명 있고 달려 오는 기차를 그대로 두면 다리를 지나 선로에 묶여 있는 다섯 명의 사람들이 죽을 수밖에 없으며 뚱뚱한 남자를 다리 아래로 밀어버리면 큰 덩치로 기차를 세워서 다섯 명을 살릴 수 있다면 과연 다섯 명을 살리기 위해 뚱뚱한 한 명의 남자를 밀어서 죽이는 것이 옳은가라는 질문에는 섣불리 그것이 옳다고 하기가 힘들어요. 무인자동차를 타고 가는데 앞에 보행자가 있고 그 바로 옆에는 낭떠러지가 있을 때 무인자동차는 어떻게 대처하도록 프로그램을 입력해야 할까요? 차주인을 살려야 할까요 보행자를 살려야 할까요? 앞에 길을 건너는 사람이 있고 옆에는 차와 같은 방향으로 나란히 걷는 사람이 있을 때 다른 길로 빠질 방도가 없다면 차는 보행자를 치어야 할까요 아니면 핸들을 꺾어서 지나가는 사람을 치어야 할까요? 이것을 결정할 때 우리는 상해를 가장 덜 입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까요 아니면 나쁜짓을 하지 않는 최선의 방법을 고려해야 할까요? 가장 많은 이들의 안녕을 도모하는 공리주의 도덕관념에 입각한다면 우리는 자동차가 무조건 많은 사람을 살릴 수 있는 방향으로 차가 움직이도록 해두어야 할 거예요. 그렇다면 자동차에 다섯 명이 타고 있는 경우 한 사람의 보행자는 죽여도 상관이 없으니까 바로 직진해 버리도록 프로그램을 입력할테죠. 그러나 철학자들은 공리주의 도덕관념을 무조건적으로 적용하는 것도 옳지 않다고 얘기해요. 만약 자동차제조공장이 무인자동차를 생산할 때 자동차와 무관한 주변의 행인들에게 상해를 입히지 않도록 프로그램을 입력해 둔다면 어떨 것 같나요? 차를 운전하겠다고 마음 먹은 이들이 일종의 책임감을 감당해야 한다는 이유 때문에요. 이것도 참 애매모호해요. 차에 탄 세 명 중 두 명이 어린애들이라면 어떨까요? 애들은 어른들에 비해 운전에 대한 책임이 거의 없어요. 그렇다면 결백한 두 명의 어린이를 살리기 위해 보행자를 죽일 것이냐. 이것도 보행자로선 무지 억울합니다. 이래가지고서야 겁나서 차 근처에 있을수나 있겠나요. 차에 이미 탄 어린이들의 숫자가 좀 많으면 보행자를 치어 사망케하는 것이 그나마 설득력이 있을 수가 있을 거예요. 보행자가, 이미 차가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해 핸들을 꺾는 속성을 알고 차 앞에 잠깐 발을 내딛어 위험한 장난을 쳤다가 지나가던 행인이 다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어요(헐리우드 작가들, 시나리오작업 들어가셈). 아직까지는 무인운전자동차생산을 앞두고 있는 회사들이 공유하고 있는 희생자예방기준같은 건 없다고 합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이 앞으로 머리를 쥐어뜯으며 고민해야 할 부분이에요. 출처 : http://qz.com/536738/should-driverless-cars-kill-their-own-passengers-to-save-a-pedestrian/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눈부심님의 최근 게시물
|
뭐 일단 현 시점에서의 답은 \'운전자 우선\'일 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무인자동차는 운전자의 운전을 더 효율적으로 대행하기 위한 목적인데, 이 부분에서 \'운전자를 차순위\'로 미루는 것이 합목적적이지 못하기 때문이죠. 그 외에도 적극적 이용자가 자기 보호를 할 수 없는 상황에 빠지는 것을 감수하고 이용을 하겠느냐, 혹은 이용을 강제할 수 있겠느냐에서도 문제가 걸리고...
결국 이 문제는 기술적 발전에 의해서 아예 논점 자체가 해체될 것이라고 보는데(여타 많은 현실적-도덕적 딜레마와 마찬가지로), 무인자동차의 운행을 원활히 하... 더 보기
결국 이 문제는 기술적 발전에 의해서 아예 논점 자체가 해체될 것이라고 보는데(여타 많은 현실적-도덕적 딜레마와 마찬가지로), 무인자동차의 운행을 원활히 하... 더 보기
뭐 일단 현 시점에서의 답은 \'운전자 우선\'일 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무인자동차는 운전자의 운전을 더 효율적으로 대행하기 위한 목적인데, 이 부분에서 \'운전자를 차순위\'로 미루는 것이 합목적적이지 못하기 때문이죠. 그 외에도 적극적 이용자가 자기 보호를 할 수 없는 상황에 빠지는 것을 감수하고 이용을 하겠느냐, 혹은 이용을 강제할 수 있겠느냐에서도 문제가 걸리고...
결국 이 문제는 기술적 발전에 의해서 아예 논점 자체가 해체될 것이라고 보는데(여타 많은 현실적-도덕적 딜레마와 마찬가지로), 무인자동차의 운행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 도로가 정비되고 차도와 인도의 경계가 더 확실하게 그어진다면 이 충돌점 자체에 대해서 깊게 모색할 필요성을 떨굴 수 있습니다. 물론 이 지점까지 도달하는데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면 + 무인자동차의 현실화가 빨리 이뤄진다면, 그 이행기 동안에 도저히 외면할 수 없는 충돌점의 부각은 상당한 사회적 비용을 요구할 것이겠고요. 뭐 이조차도 현재에서 보면 좀 후의, 정확히 말하자면 아직 사고 실험을 하기에도 재료가 불충분한 상황이지만...
결국 이 문제는 기술적 발전에 의해서 아예 논점 자체가 해체될 것이라고 보는데(여타 많은 현실적-도덕적 딜레마와 마찬가지로), 무인자동차의 운행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 도로가 정비되고 차도와 인도의 경계가 더 확실하게 그어진다면 이 충돌점 자체에 대해서 깊게 모색할 필요성을 떨굴 수 있습니다. 물론 이 지점까지 도달하는데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면 + 무인자동차의 현실화가 빨리 이뤄진다면, 그 이행기 동안에 도저히 외면할 수 없는 충돌점의 부각은 상당한 사회적 비용을 요구할 것이겠고요. 뭐 이조차도 현재에서 보면 좀 후의, 정확히 말하자면 아직 사고 실험을 하기에도 재료가 불충분한 상황이지만...
네 사실 이 논의를 꽤 여러 차례 저도 보았고 사실 어떠한 원칙이 우선시되건 결과적으로 \'틀린\' 답이 나오는 사례가 무수히 도출됨을 알고 있습니다(..) 사실 그래서 좀 비겁하게 도망가는 리플을 쓴 것이기도 하고(..)
일반화가 된 후에, 그러니까 무인자동차가 더이상 새롭지 않고 보편성에 준하는 물건이며 가치 판단에 대한 프로세스 자체가 표준화가 가능한 시점에서의 답이라면 개인적인 답조차 사실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저는. 그러나 도입을 전제로, 그러니까 상당히 짧은 유통기한을 전제로는 위의 리플과 같은 답을 써야 하지 않는가... 뭐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거시적 담론을 만족시키기 위한 무모한 시도를 할 자격이 아직 없지 않느냐라는 생각에서 출발한 것이기도 하고요.
일반화가 된 후에, 그러니까 무인자동차가 더이상 새롭지 않고 보편성에 준하는 물건이며 가치 판단에 대한 프로세스 자체가 표준화가 가능한 시점에서의 답이라면 개인적인 답조차 사실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저는. 그러나 도입을 전제로, 그러니까 상당히 짧은 유통기한을 전제로는 위의 리플과 같은 답을 써야 하지 않는가... 뭐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거시적 담론을 만족시키기 위한 무모한 시도를 할 자격이 아직 없지 않느냐라는 생각에서 출발한 것이기도 하고요.
이 화두를 던진 논문: http://arxiv.org/abs/1510.03346
논문을 소개한 MIT 리뷰 글: http://www.technologyreview.com/view/542626/why-self-driving-cars-must-be-programmed-to-kill/
위 글을 한글로 설명해놓은 글: http://t-robotics.blogspot.kr/2015/10/mit-review.html#.VjhVhJd3Doc
지난 주에 봤는데 일주일동안 블로그, 페이스북, 공중파 뉴스로 서서히 퍼져나가면서 화제가 되던 건데 홍차넷까지 왔네요. 신기방기
논문을 소개한 MIT 리뷰 글: http://www.technologyreview.com/view/542626/why-self-driving-cars-must-be-programmed-to-kill/
위 글을 한글로 설명해놓은 글: http://t-robotics.blogspot.kr/2015/10/mit-review.html#.VjhVhJd3Doc
지난 주에 봤는데 일주일동안 블로그, 페이스북, 공중파 뉴스로 서서히 퍼져나가면서 화제가 되던 건데 홍차넷까지 왔네요. 신기방기
그런데 이 문제는 무인자동차가 아니어도 똑같게 적용되는 것 같아요. 운전하다가 보행자를 치면 내가 살고 안 치면 내가 죽는 상황에서 핸들을 어디로 꺾을 것인가의 문제가 있겠죠.
운전자 자신 대신에 운전자 보조석에 탄 사람으로 놓고 본다면 도덕적으로는 동등한 상황이 될 겁니다.
문제는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인데 공리주의의 장점은 그 결과가 경제학적으로 예측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좋은 예로 안전벨트 착용을 의무화하자 운전자 사망율은 줄었는데 보행자 사망율과 과속이 늘어난 결과가 있죠. 안전벨트로 운전자 위험이 준 만큼 ... 더 보기
운전자 자신 대신에 운전자 보조석에 탄 사람으로 놓고 본다면 도덕적으로는 동등한 상황이 될 겁니다.
문제는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인데 공리주의의 장점은 그 결과가 경제학적으로 예측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좋은 예로 안전벨트 착용을 의무화하자 운전자 사망율은 줄었는데 보행자 사망율과 과속이 늘어난 결과가 있죠. 안전벨트로 운전자 위험이 준 만큼 ... 더 보기
그런데 이 문제는 무인자동차가 아니어도 똑같게 적용되는 것 같아요. 운전하다가 보행자를 치면 내가 살고 안 치면 내가 죽는 상황에서 핸들을 어디로 꺾을 것인가의 문제가 있겠죠.
운전자 자신 대신에 운전자 보조석에 탄 사람으로 놓고 본다면 도덕적으로는 동등한 상황이 될 겁니다.
문제는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인데 공리주의의 장점은 그 결과가 경제학적으로 예측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좋은 예로 안전벨트 착용을 의무화하자 운전자 사망율은 줄었는데 보행자 사망율과 과속이 늘어난 결과가 있죠. 안전벨트로 운전자 위험이 준 만큼 귀신 같이 그만큼 더 위험하게 운전하는 비율이 높아진 겁니다.
만약 이 문제에서 운전자 우선으로 합의가 도출되고 웬만한 차는 다 인공지능이 운전하는 상황이 오면 지하보도와 다리처럼 아예 보행자와 자동차를 분리시키는 길이 발전하고 횡단보도의 개념도 달라질 겁니다. 도덕적 문제라기 보다 아마 경제학적 문제와 교통 법규 내지 교통 공학의 문제에서 결론 나겠죠.
운전자 자신 대신에 운전자 보조석에 탄 사람으로 놓고 본다면 도덕적으로는 동등한 상황이 될 겁니다.
문제는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인데 공리주의의 장점은 그 결과가 경제학적으로 예측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좋은 예로 안전벨트 착용을 의무화하자 운전자 사망율은 줄었는데 보행자 사망율과 과속이 늘어난 결과가 있죠. 안전벨트로 운전자 위험이 준 만큼 귀신 같이 그만큼 더 위험하게 운전하는 비율이 높아진 겁니다.
만약 이 문제에서 운전자 우선으로 합의가 도출되고 웬만한 차는 다 인공지능이 운전하는 상황이 오면 지하보도와 다리처럼 아예 보행자와 자동차를 분리시키는 길이 발전하고 횡단보도의 개념도 달라질 겁니다. 도덕적 문제라기 보다 아마 경제학적 문제와 교통 법규 내지 교통 공학의 문제에서 결론 나겠죠.
그런데 한편으로는 큰 문제가 안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완전무인주행 자동차는 주변 상황에 따라서 주행전략을 크게 바꿀 것이거든요.
고속도로에서는 주변 차와의 거리, 상대속도, 차종 등을 고려하며 쭉쭉 달려나가면 될거고 주변 차들도 동등한 수준의 방호력을 가질 것이 보장되니 오히려 과속을 하지 않는 무인차가 더 안전할 것 같고요.
주변에 차들이 많이 주차되어 있고 사이에서 언제 보행자가 튀어나올지 모르는 그런 도로를 달릴 때는 즉각적으로 제동할 수 있는 속도 이상으로는 절대 달리지 않을 것이란 말이죠.
그리... 더 보기
고속도로에서는 주변 차와의 거리, 상대속도, 차종 등을 고려하며 쭉쭉 달려나가면 될거고 주변 차들도 동등한 수준의 방호력을 가질 것이 보장되니 오히려 과속을 하지 않는 무인차가 더 안전할 것 같고요.
주변에 차들이 많이 주차되어 있고 사이에서 언제 보행자가 튀어나올지 모르는 그런 도로를 달릴 때는 즉각적으로 제동할 수 있는 속도 이상으로는 절대 달리지 않을 것이란 말이죠.
그리... 더 보기
그런데 한편으로는 큰 문제가 안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완전무인주행 자동차는 주변 상황에 따라서 주행전략을 크게 바꿀 것이거든요.
고속도로에서는 주변 차와의 거리, 상대속도, 차종 등을 고려하며 쭉쭉 달려나가면 될거고 주변 차들도 동등한 수준의 방호력을 가질 것이 보장되니 오히려 과속을 하지 않는 무인차가 더 안전할 것 같고요.
주변에 차들이 많이 주차되어 있고 사이에서 언제 보행자가 튀어나올지 모르는 그런 도로를 달릴 때는 즉각적으로 제동할 수 있는 속도 이상으로는 절대 달리지 않을 것이란 말이죠.
그리고 상황 발생시 제동까지의 반사속도는 인간보다 훨씬 빠를테니, 그 시간차만큼 실질 제동거리도 줄어들게 됩니다.
앞에 낭떠러지가 있다거나 이런 건 인터넷에 연결된 자동차가 이미 알고 미리 속도를 줄일테니 그야말로 의미없는 상황설정일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컨대 정말로 불가피한 사고 자체가, 인간 주행 차량보다 적을 것이며, 발생하더라도 피해 정도가 수동 주행 차량보다 경미하여 그 정도는 차주가 감당할 수 있으리라는 것이 제 의견이에요.
고속도로에서는 주변 차와의 거리, 상대속도, 차종 등을 고려하며 쭉쭉 달려나가면 될거고 주변 차들도 동등한 수준의 방호력을 가질 것이 보장되니 오히려 과속을 하지 않는 무인차가 더 안전할 것 같고요.
주변에 차들이 많이 주차되어 있고 사이에서 언제 보행자가 튀어나올지 모르는 그런 도로를 달릴 때는 즉각적으로 제동할 수 있는 속도 이상으로는 절대 달리지 않을 것이란 말이죠.
그리고 상황 발생시 제동까지의 반사속도는 인간보다 훨씬 빠를테니, 그 시간차만큼 실질 제동거리도 줄어들게 됩니다.
앞에 낭떠러지가 있다거나 이런 건 인터넷에 연결된 자동차가 이미 알고 미리 속도를 줄일테니 그야말로 의미없는 상황설정일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컨대 정말로 불가피한 사고 자체가, 인간 주행 차량보다 적을 것이며, 발생하더라도 피해 정도가 수동 주행 차량보다 경미하여 그 정도는 차주가 감당할 수 있으리라는 것이 제 의견이에요.
꽤나 실생활과 밀접한 데다가, 곧 닥칠 일이기 때문에 유명한 문제죠.
어떤 것이 더 옳을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일단 자동차회사에서는 무인자동차의 안전을 탑승자 위주로 디자인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탑승자는 높은 확률로 차의 주인 또는 그 가족일 테니, 기계는 내부 탑승자(≒주인)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고 그 다음에 외부 보행자 등의 안전을 신경쓰리라고 생각합니다. 어쩌면 자동차회사에서는 “보행자를 무리하게 보호하려다가는 오히려 더 큰 사고가 일어날 것이 우려된다.”는 핑계를 대지 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나중에 이와 관련된 사회적 합의가 만들어지면 또 모르겠습니다만…
어떤 것이 더 옳을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일단 자동차회사에서는 무인자동차의 안전을 탑승자 위주로 디자인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탑승자는 높은 확률로 차의 주인 또는 그 가족일 테니, 기계는 내부 탑승자(≒주인)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고 그 다음에 외부 보행자 등의 안전을 신경쓰리라고 생각합니다. 어쩌면 자동차회사에서는 “보행자를 무리하게 보호하려다가는 오히려 더 큰 사고가 일어날 것이 우려된다.”는 핑계를 대지 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나중에 이와 관련된 사회적 합의가 만들어지면 또 모르겠습니다만…
무인차까지는 아니더래도 이미 많은 차가 자동화되어 있는데 이미 한 연구팀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로 해킹해서 토요타 프리우스가 고속으로 달리는 동안 핸들을 틀어버리고 악셀이나 브레이크를 조정하기도 하고 알람을 막 켰다가 사고대처 시 안전벨트가 자동으로 풀어지게 되어 있는 시스템을 뚫어 벨트를 벗겨버리는 데 다 성공했다고 하더라고요.
http://www.npr.org/sections/alltechconsidered/2013/07/30/206800198/Smarter-Cars-Open-New-Doors-To-Smarter-Thieves
http://www.npr.org/sections/alltechconsidered/2013/07/30/206800198/Smarter-Cars-Open-New-Doors-To-Smarter-Thieves
우리나라 자동차회사들은 아무도 신경 안쓰는 것 같은데 일본은 꽤 공을 들이고 있는 것 같아요.
2020년까지 무인운행택시를 도시외곽지역에서 실현시킬 계획이라고 해요.
노령화가 워낙 심하다보니 택시운전할 사람도 별로 없고 이제 로봇으로 대체를. 택시운행비용 대부분이 인건비라 기업에서 관심을 많이 보이는 것 같아요.
http://www.theatlantic.com/technology/archive/2015/11/why-japan-is-building-a-fleet-of-robot-taxis/413743/?utm_source=SFG%2B
2020년까지 무인운행택시를 도시외곽지역에서 실현시킬 계획이라고 해요.
노령화가 워낙 심하다보니 택시운전할 사람도 별로 없고 이제 로봇으로 대체를. 택시운행비용 대부분이 인건비라 기업에서 관심을 많이 보이는 것 같아요.
http://www.theatlantic.com/technology/archive/2015/11/why-japan-is-building-a-fleet-of-robot-taxis/413743/?utm_source=SFG%2B
이 문제를 접했을 때 든 생각은 이렇습니다.
\"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이 문제를 고민해야할까?\"
다른 분들이 지적해주셨다시피 이 문제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문제 자체가 해체될 가능성이 높으니 그 시점이 오기 전, 그러니까 기술적 미성숙 단계에서의 해결책이 필요합니다. 이것은 간단히 주행 상황에서의 우선순위(Priority)를 자동차 소유주가 정할 수 있도록 하면 자동차라는 소비재의 합목적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책임을 효과적으로 구매자에게 넘기는 방법이 아닌가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고 시 책임이야 기기 오작동을 제외하... 더 보기
\"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이 문제를 고민해야할까?\"
다른 분들이 지적해주셨다시피 이 문제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문제 자체가 해체될 가능성이 높으니 그 시점이 오기 전, 그러니까 기술적 미성숙 단계에서의 해결책이 필요합니다. 이것은 간단히 주행 상황에서의 우선순위(Priority)를 자동차 소유주가 정할 수 있도록 하면 자동차라는 소비재의 합목적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책임을 효과적으로 구매자에게 넘기는 방법이 아닌가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고 시 책임이야 기기 오작동을 제외하... 더 보기
이 문제를 접했을 때 든 생각은 이렇습니다.
\"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이 문제를 고민해야할까?\"
다른 분들이 지적해주셨다시피 이 문제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문제 자체가 해체될 가능성이 높으니 그 시점이 오기 전, 그러니까 기술적 미성숙 단계에서의 해결책이 필요합니다. 이것은 간단히 주행 상황에서의 우선순위(Priority)를 자동차 소유주가 정할 수 있도록 하면 자동차라는 소비재의 합목적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책임을 효과적으로 구매자에게 넘기는 방법이 아닌가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고 시 책임이야 기기 오작동을 제외하면 본인이 지는 것이고, 기 입력 되어 있다는 부분을 제외하면 현행 유인 자동차의 경우와 근본적으로는 같지 않나 싶습니다.
물론 저는 제안만 하는 것이고 실제 구현은 프로그래머가...읍읍
\"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이 문제를 고민해야할까?\"
다른 분들이 지적해주셨다시피 이 문제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문제 자체가 해체될 가능성이 높으니 그 시점이 오기 전, 그러니까 기술적 미성숙 단계에서의 해결책이 필요합니다. 이것은 간단히 주행 상황에서의 우선순위(Priority)를 자동차 소유주가 정할 수 있도록 하면 자동차라는 소비재의 합목적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책임을 효과적으로 구매자에게 넘기는 방법이 아닌가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고 시 책임이야 기기 오작동을 제외하면 본인이 지는 것이고, 기 입력 되어 있다는 부분을 제외하면 현행 유인 자동차의 경우와 근본적으로는 같지 않나 싶습니다.
물론 저는 제안만 하는 것이고 실제 구현은 프로그래머가...읍읍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