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3/02/10 18:08:12 |
Name | CheesyCheese |
Subject | 아이폰 c타입 루머 관련해서.. |
탐라에 끄적이다가 길어져서 옮깁니다..ㅎㅎ; https://www.pgr21.com/humor/473464 저는 솔직히 플래그쉽 스마트폰 한번도 사본적도 없고 태블릿도 10만원대 레노버를 쓰며 애플의 폐쇄성과 가격정책은 감성의 영역이라 생각하지만 아이폰이 라이트닝 커넥터가지고 유난떠는것만큼은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애초에 모바일 디바이스 성능측면에서 애플의 하드웨어와 타사의 그것은 이미 격차가 많이 벌어진 상황이고, 그 우월한 하드웨어에 걸맞게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데이터량에서도 그 차이가 명확합니다. USB같은 경우는 지금 10gbps가 겨우 상용화됐지만 아직도 5gbps가 메인스트림인 상황이지만 iOS의 최신규격인 썬더볼트4는 에저녁에 40gbps를 지원하고 있거든요. 지금 아이패드에 달려있는 c타입 단자가 안드로이드와 같은 모양이라해서 그것과 똑같은 표준이 아니라는 겁니다. USB와 썬더볼트는 엄연히 스펙상 큰 차이가 있는 '다른' 규격이에요. 이게 무슨 의미냐면, 썬더볼트4 c타입 포트에 표준 USB c타입 케이블을 연결할 시 40gbps의 스펙인데 5gbps의 성능밖에 못쓴다는겁니다. 충전기가 PD3.0을 지원해도 PD3.0의 풀스펙을 사용할수가 없고, 데이터 전송도 5gpbs속도 내에서만 가능하구요. 예를 들자면 RTX 4080에 144Hz 모니터 사서 연결하는데 HDMI케이블이 FHD밖에 안되는 케이블이라 결국 1080p FHD 퍼포먼스밖에 안나오고 설정에서 강제로 144Hz나 4K로 올리면 케이블 대역폭이 오바되서 화면이 안나오는 상황이 나오는거랑 마찬가지인겁니다. 물론 업계 표준 협회에서 인증받아야만 생산이 가능한 HDMI같은 경우는 그럴 일 없겠지만, 매우 얇은 USB케이블의 경우 케이블 및 커넥터의 자체스펙보다 더 큰 전류량이 들어오게 되면 케이블이 타거나 연결된 커넥터(충전기/주변기기/호스트기기 포함)가 타버릴 수도 있습니다. 물론 이걸 방지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스펙 차이가 있는 c타입끼리 연결되면 자동으로 낮은스펙의 퍼포먼스로 가동되게끔 설계되어있으나 싸구려 중국제 케이블 및 커넥터를 누가 믿을 수 있겠습니까. 애플입장에서 만약에 모든 썬더볼트를 c타입으로 통합했는데 '이거 아이폰 충전속도 왜이래요' 이러거나 '충전하다가 케이블이 타고 아이폰 커넥터가 망가졌어요' 이런 문제제기가 들어왔는데 알고보니 케이블이 싸구려 중국제 USB케이블이었다 하면 얼마나 속이 터지겠습니까? 엔드유저한테 저런 기술적인 설명을 일일이 다 하는것보다(멀쩡히 잘 쓰던 제품이 원인불명으로 파손되어서 열받은 고객한테 저런 기술적인 설명을 해줘도 소용없을 가능성이 큽니다) 차라리 그냥 고객이 케이블 이상한거 쓰는걸 방지하게끔 우린 c타입 안쓰고 독자적인 커넥터 쓰겠다 하는게 맘편하겠죠? 어차피 감성팔이 마케팅 하는마당에 이쪽이 훨씬 더 속편한 대처라고 생각됩니다. 근데 이제 EU가 c타입 안쓰면 안된다고 강제하는 마당이니 어쩔수없이 c타입을 써야되는 상황이 왔죠. 그러니까 윗문단의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 애플 자체적으로 c타입 케이블이 썬더볼트4 스펙이 되는지 안되는지 인증하고 그에따라 인증안된 케이블은 사용자체를 못하게 막겠다는겁니다. 안그러면 자기들 제품 스펙대로의 퍼포먼스가 보장이 안되고 안전사고까지 발생할 수 있으니깐요. 아무리 그래도 이건 좀 유난이라고요? 전세계 엔드유저를 대상으로 판매할 제품인데 이정도 유난은 떨어야 한다고 봅니다.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CheesyCheese님의 최근 게시물
|
애플에서 쓰는 썬더볼트 인터페이스가 그 정도로 빠른 줄은 몰랐네요. 다만 말씀하신 부분에 동의하기 어려운 부분이 여럿 있습니다. 간단히 주장을 요약해보면
1. 선더볼트 인터페이스는 USB보다 월등히 빠른 속도라서 속도적 차이 때문에 아이폰을 USB사용할 경우 성능/속도저하가 있다.
2. USB는 개나소나 만드는걸 허용한 규격이라서, 안전성 문제가 있다.
라고 생각되는데 맞나요?
사실부분에 대해서는 참이리라 생각됩니다만, 그 사실부분에 대한 해석에는 동의하기가 어렵습니다. 2번의 경우는 많은 분들이 지적해 주셨듯, 이... 더 보기
1. 선더볼트 인터페이스는 USB보다 월등히 빠른 속도라서 속도적 차이 때문에 아이폰을 USB사용할 경우 성능/속도저하가 있다.
2. USB는 개나소나 만드는걸 허용한 규격이라서, 안전성 문제가 있다.
라고 생각되는데 맞나요?
사실부분에 대해서는 참이리라 생각됩니다만, 그 사실부분에 대한 해석에는 동의하기가 어렵습니다. 2번의 경우는 많은 분들이 지적해 주셨듯, 이... 더 보기
애플에서 쓰는 썬더볼트 인터페이스가 그 정도로 빠른 줄은 몰랐네요. 다만 말씀하신 부분에 동의하기 어려운 부분이 여럿 있습니다. 간단히 주장을 요약해보면
1. 선더볼트 인터페이스는 USB보다 월등히 빠른 속도라서 속도적 차이 때문에 아이폰을 USB사용할 경우 성능/속도저하가 있다.
2. USB는 개나소나 만드는걸 허용한 규격이라서, 안전성 문제가 있다.
라고 생각되는데 맞나요?
사실부분에 대해서는 참이리라 생각됩니다만, 그 사실부분에 대한 해석에는 동의하기가 어렵습니다. 2번의 경우는 많은 분들이 지적해 주셨듯, 이미 아이패드가 그렇게 쓰는데 특별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다른 수 많은 핸드폰들도 그런 이슈가 문제가 될 정도는 아닙니다. 모든 상업적 행위는 비용대비 효과를 따져보는게 정상입니다. 만약에 안전성이 지상 최우선시할 과제라고 한다면 아이폰을 택배로 보내는 것도 막아야죠 택배 중 파손되면 안되잖아요? 다른 경우들을 봤을때, usb를 쓴다고 불량의 증가는 매우 미미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1번에 대해서도요. 애초에 40gb/s 같은 속도가 모바일에서 의미가 있는 수치인가요? 지금 글 작성하는 컴퓨터만 해도, HDD보다 빠르다는 SSD입니다만, 속도가 500MB/s 정도 나올거에요. 약 4~5gb/s 정도의 속도죠. 상용화된 HDD의 최고 속도가 2gb/s 가량이고, 현재 가장 빠르다는 nvme SSD도 10gb/s가 채 안됩니다. 낮은 속도로 말씀하신 10gps만 되도 10기가의 파일 전송시 8초 걸리는데, 모바일에서 이런 속도가 문제가 되진 않을 것 같습니다. 그렇기에 아이폰의 썬더볼트 사용이 장점이 아니라 단점으로 꼽히는 것이고요. USB를 쓴다고 해서 실제로 체감 가능한 성능 저하가 될 가능성은 낮을 것 같습니다.
1. 선더볼트 인터페이스는 USB보다 월등히 빠른 속도라서 속도적 차이 때문에 아이폰을 USB사용할 경우 성능/속도저하가 있다.
2. USB는 개나소나 만드는걸 허용한 규격이라서, 안전성 문제가 있다.
라고 생각되는데 맞나요?
사실부분에 대해서는 참이리라 생각됩니다만, 그 사실부분에 대한 해석에는 동의하기가 어렵습니다. 2번의 경우는 많은 분들이 지적해 주셨듯, 이미 아이패드가 그렇게 쓰는데 특별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다른 수 많은 핸드폰들도 그런 이슈가 문제가 될 정도는 아닙니다. 모든 상업적 행위는 비용대비 효과를 따져보는게 정상입니다. 만약에 안전성이 지상 최우선시할 과제라고 한다면 아이폰을 택배로 보내는 것도 막아야죠 택배 중 파손되면 안되잖아요? 다른 경우들을 봤을때, usb를 쓴다고 불량의 증가는 매우 미미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1번에 대해서도요. 애초에 40gb/s 같은 속도가 모바일에서 의미가 있는 수치인가요? 지금 글 작성하는 컴퓨터만 해도, HDD보다 빠르다는 SSD입니다만, 속도가 500MB/s 정도 나올거에요. 약 4~5gb/s 정도의 속도죠. 상용화된 HDD의 최고 속도가 2gb/s 가량이고, 현재 가장 빠르다는 nvme SSD도 10gb/s가 채 안됩니다. 낮은 속도로 말씀하신 10gps만 되도 10기가의 파일 전송시 8초 걸리는데, 모바일에서 이런 속도가 문제가 되진 않을 것 같습니다. 그렇기에 아이폰의 썬더볼트 사용이 장점이 아니라 단점으로 꼽히는 것이고요. USB를 쓴다고 해서 실제로 체감 가능한 성능 저하가 될 가능성은 낮을 것 같습니다.
댓글 달아주신 내용 많은 부분에서 공감합니다.
지금 다시 보니 제가 너무 스펙에 적힌 숫자만 생각해서 주장을 전개한 것 같습니다.
지금 다시 보니 제가 너무 스펙에 적힌 숫자만 생각해서 주장을 전개한 것 같습니다.
5Gbps가 느리다고 할 수는 없지만 40Gbps와 유의미한 차이는 날겁니다.
일단 뭔가를 하나만 달고 쓰신다는 전제로 속도 비교를 하셨는데...
썬더볼트쯤 되면 허브 달고서 주렁주렁 연결해서 쓰니까요...
PC라면야 USB 3.0 포트 여러개가 있으니까 분산시키면 되지만.. 모바일에선 포트 하나지요.
그런데다가 SSD를 하나가 아니라 2개를 달았다면 어떨까요?
이게 요즘 헤비유저한테는 충분히 현실적인 상황입니다...
동영상 편집이 잡아먹는 스토리지 용량이 워낙 커서...
그리고 SSD 속도도... 요즘 NVME ... 더 보기
일단 뭔가를 하나만 달고 쓰신다는 전제로 속도 비교를 하셨는데...
썬더볼트쯤 되면 허브 달고서 주렁주렁 연결해서 쓰니까요...
PC라면야 USB 3.0 포트 여러개가 있으니까 분산시키면 되지만.. 모바일에선 포트 하나지요.
그런데다가 SSD를 하나가 아니라 2개를 달았다면 어떨까요?
이게 요즘 헤비유저한테는 충분히 현실적인 상황입니다...
동영상 편집이 잡아먹는 스토리지 용량이 워낙 커서...
그리고 SSD 속도도... 요즘 NVME ... 더 보기
5Gbps가 느리다고 할 수는 없지만 40Gbps와 유의미한 차이는 날겁니다.
일단 뭔가를 하나만 달고 쓰신다는 전제로 속도 비교를 하셨는데...
썬더볼트쯤 되면 허브 달고서 주렁주렁 연결해서 쓰니까요...
PC라면야 USB 3.0 포트 여러개가 있으니까 분산시키면 되지만.. 모바일에선 포트 하나지요.
그런데다가 SSD를 하나가 아니라 2개를 달았다면 어떨까요?
이게 요즘 헤비유저한테는 충분히 현실적인 상황입니다...
동영상 편집이 잡아먹는 스토리지 용량이 워낙 커서...
그리고 SSD 속도도... 요즘 NVME SSD는 정말 빠릅니다... 한 20Gbps는 필요할걸요.
NVME SSD 스펙 보면 대개 읽기 성능이 2000MB/sec에 육박합니다
SSD 가격 측면에서도 이미 SATA보다 NVME 타입이 더 쌉니다... 외장 SSD도 신규 구입은 이제 거의 NVME죠.
그리고 40Gbps가 필요한 가장 큰 이유는 이게 디스플레이 연결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일겁니다...
5Gbps로는... FHD 60Hz 간신히 소화할 정도밖에 안나옵니다.. FHD에 필요한 대역폭이 3.2Gbps네요.
UHD 60Hz를 소화하려면 4배인 12.8Gbps가 필요하겠죠... 120Hz면 25.6Gbps...
일단 뭔가를 하나만 달고 쓰신다는 전제로 속도 비교를 하셨는데...
썬더볼트쯤 되면 허브 달고서 주렁주렁 연결해서 쓰니까요...
PC라면야 USB 3.0 포트 여러개가 있으니까 분산시키면 되지만.. 모바일에선 포트 하나지요.
그런데다가 SSD를 하나가 아니라 2개를 달았다면 어떨까요?
이게 요즘 헤비유저한테는 충분히 현실적인 상황입니다...
동영상 편집이 잡아먹는 스토리지 용량이 워낙 커서...
그리고 SSD 속도도... 요즘 NVME SSD는 정말 빠릅니다... 한 20Gbps는 필요할걸요.
NVME SSD 스펙 보면 대개 읽기 성능이 2000MB/sec에 육박합니다
SSD 가격 측면에서도 이미 SATA보다 NVME 타입이 더 쌉니다... 외장 SSD도 신규 구입은 이제 거의 NVME죠.
그리고 40Gbps가 필요한 가장 큰 이유는 이게 디스플레이 연결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일겁니다...
5Gbps로는... FHD 60Hz 간신히 소화할 정도밖에 안나옵니다.. FHD에 필요한 대역폭이 3.2Gbps네요.
UHD 60Hz를 소화하려면 4배인 12.8Gbps가 필요하겠죠... 120Hz면 25.6Gbps...
여러분께서 달아주신 댓글들을 읽고 다시 글을 살펴보니 제가 스펙에 적힌 숫자만 보고 무리하게 주장을 전개한 것 같습니다.
부끄럽지만 읽고 피드백을 해주신 분들이 계시니 글은 그대로 두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께 불편함을 드려 죄송합니다.
부끄럽지만 읽고 피드백을 해주신 분들이 계시니 글은 그대로 두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께 불편함을 드려 죄송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