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02/07 10:13:29수정됨
Name   매뉴물있뉴
Subject   폐지된(게 아닌듯한) 뉴스공장 본 후기
현재 뉴스공장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가
주관적으로 기록해본것입니다.



1 광고가 없어져서 청취하기에 보다 쾌적해졌다.
뉴스공장이 TBS에 있던 시절과 비교하면
항상 광고에 쫒기는 느낌이 있었는데 지금은 많이 없어졌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장단점이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는데
시사방송은 시간에 쫒겨야 내용이 컴팩트해진다고 생각하기 때문.
이전에 비해 좀 늘어지는 느낌납니다. 전복죽 얘기는 왤케 많이 나오는거야(......)

2 편향성이 다소 강화되었다.
방심위의 제재를 받는 방송국에 소속되어 있으면
정치적 영향력이 있는 판결들을 일방적 관점에서 보도하는 것만으로도 경고/주의 등의 제재대상이 되고
분명히 그런 부분에 대해 눈치를 보는 방송이었습니다만 지금은 그 '눈치'마저 사라진 느낌입니다.
대표적인 사례는 대중무역 적자의 이유를
오로지 윤석열의 나토 방문때 표방한 '탈중국발언'에 대한 중국의 정치적 보복이라고만 해석하는 것.
분명 그것만이 아닌데, 그것만인것처럼 해설하는.
-가짜뉴스는 아니지만 좋은 뉴스도 아님. 딱 조선일보 수준의 방송-

3 TBS와 김어준이 각각 기존의 뉴스공장에 무엇을 기여하였는가가 분명해지는 느낌.
김어준이 제공한것 : 뉴스를 해설하는 관점 / 뉴스를 선정하는 기획력 / 진행능력 / 청취자들과의 친화력
TBS가 제공한것 : 끊김없이 비디오 & 오디오를 송출하는 노하우 / 엘레베이터 & 주차장 등의 기반시설
뒤의 것들은 대체가능하고 앞의것들은 대체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김어준이 '뉴스공장'이라는 타이틀도 가져갈수 있었던것 같은데
그렇다고 뒤의 것들이 만만하단 것은 아닌것이 여실히 드러나는것 같습니다.
오디오가 끊기는 문제 / 엘레베이터가 없는 문제로 이런저런 어려움을 겪는 듯.

4 패널 구성이 거의 바뀌지 않았고 위상도 훼손되지 않았다.
앞뒷말이 같은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김어준이 TBS안에 있는가 밖에 있는가 그 자체는 크게 중요한 부분이 아닌 것.
김어준이 TBS안에 있는가 밖에있는가에 따라 자신들의 발언 내용이 방심위의 제재대상인지 아닌지가 달라지지만
패널들은 거의 신경쓰지 않고 예전과 거의 같은 톤을 유지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어차피 누가 TBS를 라디오 전파에 의존해서 들었겠읍니까? 절대 다수는 유튜브로 들었겠지(......)
다만 TBS라는 게이트키퍼가 사라지면서 이제 게이트키퍼는 김어준이 홀로 담당하게 되었는데
그 영향은 미미하게나마 보이는듯
(ex: '대중무역의 적자 이유가 정말 그거 하나가 전부에요?'라고 누군가 내부에서 묻지도 않는 느낌이 듬)

5 보도는 생각보다 돈이 된다.
김어준이 받았던 어마어마한 연봉이 그것을 증명해준다고 생각하고
TBS를 나오자마자 받았던 슈퍼챗 후원액수도 그것을 증명한다고 생각합니다.

6 재정계획
현재 '김어준의 뉴스공장 - 겸손이 힘들다'는 재정을 충당하기 위해
A 유튜브 슈퍼챗 / B 유튜브 광고 수익 / C 스폰서 광고수익 에 의존하지 않을것이라고 천명하고
D ARS 전화를 통한 구독료 후원을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있습니다.
재정을 다변화하려는 생각인듯?
C의 경우는 기존의 언론사들에서도 하던 방식이고
A B의 경우는 비교적 최신 방식이며
D방식의 경우 지난 윤석열 검찰총장 인사청문회 당시 뉴스타파가 어려움을 겪었던 방식.
ABCD가 모두 장단점이 있지만 이것들을 다 섞어서 단점을 피해보려는 것 같습니다.
(현재까지는 C 방식은 아예 계획에 없는 느낌도 조금 듭니다.)



뉴스공장은 분명히 모범적인 언론이 아닙니다.
하지만 정권이 언론을 탄압하는 그림은 분명 재현될것이라고 확신하기 때문에
'탄압받는 [그 모범적인 언론]을 우리는 어떻게 살려나갈것인가'라는 문제를 헤쳐나가야할 상황이 왔을때
지금 현재 뉴스공장이 이 상황을 헤쳐나가는 모습을 관찰하는 것이
분명 그 미래의/아직오지않은 모범적인 언론을 살려나가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해서
지난 5주간 보고 느낀 것을 기록하고, 또 공유해보았읍니다.



0


    시청자 층이 확 줄지 않았을까요?
    라디오 채널에서 나오기 때문에 들었던 시청자층이 많았을거라...
    매뉴물있뉴
    어차피 정확하게 측정될수 있는 영역이 아니라는게 조금 함정이기는 합니다 ㅎㅎ
    그리고 라디오에서 송출되는건 또 수도권 한정이라는것도 있고... 지방에서는 어차피 그때나 지금이나 100% 유튜브였던 방송
    고구마는열일중
    딱히 그렇지는 않아 보입니다.
    지난 1월 한국갤럽에서 조사한 한국인이 선호하는 방송프로그램에 13위로 랭크된 데이터가 있습니다.
    하지만 플랫폼이 유튜브인 것은 순위권에서 유일하게 랭크된 것과 방송 시작된지 얼마 안된 시점이기도 했죠.
    이를 시사하는 바는 적지 않다고 생각되네요.
    Beer Inside
    그럴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겁니다.

    실시간 교통정보를 반영하는 네비가 일상화된 세상에서 교통방송의 기능성은 떨어졌을 가능성이 있으니 실시간으로 청취할 사람이 많기는 어렵지요.
    그렇군요. 저희 장모님이 그렇게 뉴스공장을 듣고 계시길래...
    출근길 자차 운전하면서 라디오 들으시는 분들도 있고 해서 그런 분들이 많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Cascade
    시청층이 안 줄었을리가 없죠.

    그리고 나가긴 했어야죠.

    조선일보가 나쁘다고 뉴스공장이 이해되는 건 아니기에
    매뉴물있뉴
    청취자가 별로 줄지 않았을것이라고 생각하는 간접적인 증거는
    패널이 거의 변화하지 않았고 패널들의 논조도 거의 안변했다는 것도 있을꺼라고 저는 생각하긴 합니다. ㅎㅎ
    고구마는열일중
    현 시장의 기준에서(?) 눈에 가시같은 것을 제거했으니 속은 시원하시겠으나..
    한편으로는 예견된 상황이라 생각됩니다. 선생님 말씀대로 레거시 미디어에서 진행되기에는
    여러모로 무리수도 있었죠. 물론 조선을 위시한 저 동네는 대놓고 하는 측면이 있죠.
    하지만 모범이라는 성격에는 조선이나 뉴공이나 그나물에 그밥같긴 합니다.
    어짜피, 프로보커터의 시대니까요. 언론이 그걸로 먹거리 삼는다고 바라보고 있습니다.

    결국 양적 팽창된 언론 시장에 여기저기 잿밥 던져주는 판이 깔렸으니,
    적당히 걸러서 들어야 하는 것은 온전히 우리 몫이 아닌가 싶습니다. 균형의 관점이 참 어렵네요.
    셀레네
    ㅋ 수요가 있으니 나오는거죠 머..이래저래 편향성 어쩌구해도 AL이 아닌 사람이 하는거라 편향성이 없을수가 없져. 솔직히 전 어설픈 양비론이 더 별로라 걍 관망하며 봅니다
    매뉴물있뉴
    저도 어설픈 양비론은 별로이긴 하지만
    아무리 민주당 지지자라해도
    뉴스공장을 유일한 시사 소스로 삼는것은 피하는게 좋지않나 싶읍니다 ㅎㅎ
    과학상자
    과거 뉴스공장 초기에 TV조선을 함께 보았던 기억이 납니다. 그때만 해도 저는 정알못이었으니까 빨리 따라잡기 위해선 과외(?)가 필요했죠. 두 세계관을 번갈아 보는 것이 나름 재미있었는데 심력 소모가 크다보니 지금은 귀찮아서 출퇴근길 CBS로 떼웁니다. 더 알고 싶으면 기사를 찾아보고요.
    차오루
    조민이 나왔더군요.
    매뉴물있뉴
    조민에게 가장 우호적인 반응을 이끌어낼수 있는 무대니까요. 아무래도 ㅎㅎ
    과학상자
    뉴스공장이 잘 버티는 건 김어준 팬덤 영향이 크겠죠. 탄압받는 언론의 그림을 만들어 내기고 했고...
    워낙 소수 인력으로 돌아갈 수 있는 구조이니 그런대로 운영이 되겠지만 메이저급 언론사가 같은 모델로 생존하기는 어렵지 않을까요. 공영방송이라는 틀 때문에 TBS 체제는 장기간 존속이 어려웠을 걸로 보여서 적절한 시점에 나온 게 오히려 득이 된 것 같습니다.
    1
    매뉴물있뉴
    뉴스공장은 직접취재를 하지 않는 형태의 언론이긴 합니다.
    말하자면 '뉴스 생산업'보다는 '뉴스 가공업/유통업'에 가까운 형태.
    그런 김어준의 영향력이 저렇게까지 크다는건 뭔가 시사하는게 많습니다.
    뉴스를 생산하기위한 기자들의 발로 뛰는 노력의 가치가 퇴색하는 기분도 좀 들고...
    Beer Inside
    과거에는 기자들이 발로 뛰어 만든 기사를 데스크만 사용할 수 있었는데,

    지금은 키보드와 모니터만 있어도 데스크가 될 수 있으니까요.
    매뉴물있뉴
    음.. 꼭 그것만이 이유는 아닐꺼라 생각합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같은 프로그램들도
    본질적으로는 뉴스공장과 마찬가지인 '뉴스가공/유통업자'들이고
    그런 업자들은 꼭 키보드 / 모니터가 없던 시절에도 이미 있었지 않나? 싶으요 ㅎ
    Beer Inside
    그렇지만, 김현정 - 정관용은 기본적으로 기자들이 있지요.

    기자가 없어도 섭외력은 더 뛰어나니....
    1
    과학상자
    ㅋㅋㅋ 그것은 김현정 정관용의 가공품이 밍밍하고 맛이 없기 때문이겠죠. 뉴스공장의 청취자들은 뉴스가 아닌 김어준의 해석을 원하는 것이니까요. 뉴스공장에서 입에 쓴 건 다 빼고 msg 팍팍 들어간 제품이 입에 너무 착착 감기니까요.
    괄하이드(괄하이드)수정됨
    아주 어릴때는 김어준을 좋아했던 적도 있었고 실제로 가치관 형성에 영향받은 부분도 있지만... 현재의 김어준 뉴스를 가끔 볼때 드는 살짝 불편한 느낌이 딱 정확하게 표현된 문장인것 같습니다. ["가짜뉴스는 아니지만 좋은 뉴스도 아님. 딱 조선일보 수준의 방송"]
    2
    매뉴물있뉴
    ㅋㅋㅋ 되게 라면같은 방송이라고 생각해요.
    라면도 잘팔리지만, 잘팔린다고 라면이 건강식이 되진 않는 것과 비슷한 느낌입니다.
    김어준을 유일한 시사소스로 삼는것 역시 라면을 삼시세끼 먹는것만큼 위험하고...
    가세연이랑 뭐가 다른지 저는 잘 모르겠어요. 양쪽의 극단층들만 좋아하는 방송 컨텐츠고 그 만큼 양쪽 극단에 선 사람들이 많다고 생각이 들 뿐입니다. 유튜브 렉카로 돈 잘 버는것도 능력이니 특별히 불만도 없고 그려려니 하는데 TBS에서 나온건 서울 시민 1인 입장에서 너무 좋네요.
    매뉴물있뉴
    극단에 서있는 매체가 장점이 없지는 않습니다.
    김어준과 조선이 각각 우익/좌익 진영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언론인임과 동시에
    정파성 논란에 시달리는게 우연이 아니라고 생각해요.

    저는 그 두 언론인/언론사가 정파적 중립성을 희생하는 대신
    전달력을 획득한 케이스라고 추측하는 편입니다.
    훨씬 효율적으로 짧은 시간안에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데
    정파성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것 아닐까...?? 하는중..
    전달력이요? 저는 모르겠네요. 지나치게 편향적인것만 계속 보입니다. 양쪽다 본인 스텐스에 불리한건 보도 잘 안 하고 상대는 실패부터 별 것 아닌것까지 확대 생산해서 대서 특필하고 있는데요.
    매뉴물있뉴
    ㅎㅎㅎ 네, 그 '전달력' 부분은 저도 혼자 생각은 하고 있는데
    글로 막상 풀어내려다보면 잘 풀어지지 않아서...
    '아 내가 뭔가 어디선가 생각이 잘못됬나보다'라고 생각하고 있는 부분이긴 합니다.
    아직은 생각도 정리가 잘 안되고, 재주도 없어서 정확하게 표현을 못하겠읍니다; ㅎㅎㅎ
    다음에 기회되면 풀어보겠습니다.
    P의노예
    아마 태극기부대 커뮤가 있다면 가세연에 대해서도 비슷한 말들을 하고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조민이 나왔다길래 사죄하나 싶었는데 역시나 팬덤 쇼를 하고있더군요.
    나이들면 다 비슷해지는건지 그걸 동조하는 사람들도 이해가 안되고.
    그저그런
    조선일보 수준이라는것도 대안언론 운동으로 인해 조선일보 악행이 다 까발려져서 그런거죠. ㅎㅎ 딴지 초창기때부터 생각해보면 선구자라는것과 영향력 말고는 유튜브 렉카들보다 나은점이 많아보이진 않습니다. ㅎㅎ
    매뉴물있뉴
    확실히, 전달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팩트를 후드려 까고 왜곡해버리는 경향이 뚜렷하긴 합니다.

    흥국생명 영구채 콜옵션 미행사 했을때
    그걸 '돈빌려놓고 안갚은거에요'라고 한줄요약해버리는걸 보고
    ....?? 저렇게 설명해도 되나? 하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 납니다.
    1
    메존일각
    김어준은 선동가죠. 심한 말도 하고 싶지만 이 정도로만.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139 정치'실무중심 법학'의 모순과 문제점 (1) 3 김비버 23/09/10 2730 11
    14131 정치구척장신 호랑이 포수 장군의 일생 3 당근매니아 23/09/05 2218 14
    14128 정치와 지친다... 16 매뉴물있뉴 23/08/31 3237 3
    14071 정치필리핀 정치 이야기(1) - 학생운동과 NPA 4 김비버 23/07/27 2800 22
    14055 정치그냥 오늘 커뮤보면서 했던 생각 37 매뉴물있뉴 23/07/21 4877 37
    14008 정치전제주의 리트머스 시험지로 진단해본 윤석열 (+문재인-이재명과 비교) 4 카르스 23/06/28 2947 10
    14004 정치정부의 노동조합 회계 공개요구와 ILO 기본협약 제87호 간 충돌 4 당근매니아 23/06/26 2357 9
    13985 정치트럼프의 놀라운 범죄 ~ 잃어버린 문서를 찾아서 ~ 8 코리몬테아스 23/06/14 2977 9
    13980 정치스탈린 방식의 '힘의 논리'는 어디까지 통할까요? 10 컴퓨터청년 23/06/13 2979 0
    13954 정치민주당 그냥 생각나는대로 20 매뉴물있뉴 23/06/06 3280 1
    13943 정치지록위마 2 닭장군 23/06/03 2561 0
    13930 정치정치에 관심 끊고 살겠다고 다짐했는데..... 9 컴퓨터청년 23/05/31 2646 1
    13874 정치편향된 여론조사를 알아보는 방법 6 매뉴물있뉴 23/05/18 2723 19
    13848 정치최강욱 의원의 '짤짤이'는 '짤짤이'였습니다. 19 유미 23/05/13 3625 0
    13830 정치김남국 코인논란은 1석3조 + 이준석 '이제는 말한다' 10 Picard 23/05/09 3024 0
    13808 정치미국 국빈방문 성과. 47 moqq 23/05/02 4101 7
    13786 정치찻잔 속 담론들의 시대 25 카르스 23/04/26 3575 7
    13742 정치미국의 판사가 낙태약을 금지시키다 - 위험사회의 징후들 4 코리몬테아스 23/04/11 3479 26
    13728 정치무효표 과락 제도의 제안 8 dolmusa 23/04/07 2767 1
    13724 정치과연 한동훈 장관은 달변가일까? 괘변론자일까? 19 뛰런 23/04/06 3346 0
    13701 정치"윤석열 이XXX야!" 3 캡틴실버 23/04/01 3032 0
    13660 정치스탈린의 어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9 강세린 23/03/23 2398 0
    13644 정치[번역] 2023. 3. 15.자 요미우리신문 윤 대통령 인터뷰 전문 10 자공진 23/03/16 3206 20
    13606 정치재밌네요... 이재명 체포동의안 투표 결과.. 36 Picard 23/02/28 4157 0
    13588 정치이명박 정권 초기를 보는듯한 2023년 한국정치 25 카르스 23/02/22 3868 4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