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2/10/17 18:23:43 |
Name | Picard |
Subject | 솔직히 민주당 때문이 아니라 문재인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치 얘기 좋아하는 중견기업 중년회사원 아잽니다. 제목으로 어그로(?) 좀 끌어봤습니다. 모든게 다 민주당 때문. 뭐든 다 민주당이 잘못한거.. 라는 프레임에 대해 댓글을 달다가... 그냥 몇년전부터 쭉 품고 있던 의문을 두서없이 전개해 봅니다. 이건 다 문재인 대통령... 전 대통령 때문입니다. 이해가 안갑니다. 정말로. 오래전 일이고, 어릴때가 가물가물한데.. 노무현 전대통령은 정권 재창출에 실패했습니다. 그럴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친노를 '폐족' 소리 들을 만큼 몰락 시켰습니다. 후계자가 마음대로 키워지는 건 아니지만, 키워보려는 시도도 안한것 같습니다. 민주당의 대선후보는 정동영이었고, DY는 친노가 아니었습니다. 노통이나 친노들도 DY를 그리 적극적으로 도왔던것 같지 않습니다. 후계자를 못 키워서 친노가 몰락하고 정권을 내어준 댓가로 자신을 바쳤습니다. 문통도 비슷합니다. 문통이 친노/친문 후계자를 키웠나요? 키우려고 노력은 해봤나요? 잘 모르겠습니다. 떠오르는 사람이 없네요. 조국을 키우려고 했다고 조선은 주장하는데, 정치가 장난입니까. 윤통이 조국을 용인하고 검찰개혁을 해냈다고 국회의원 한번 안해본 사람이 22년에 대권을 잡았을까요? 문통도 친구 노통처럼 후계자를 키울 생각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그냥 니들이 알아서 커라. 그래도 친문은 몰락하지 않았고, '열혈친문' 이라는 열광적 지지자들도 건재합니다. 그걸 다 이재명이 고스란히 흡수했지요. 문통 중반까지만 해도 이낙연이 총리하던 시절만 해도 어대낙 분위기였죠. 그런데 이낙연이 친문이었나요? PK계가 아니었고, 따지고 보면 DJ계죠. 호남을 기반으로 하는... DY랑 판박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낙연이 몰락(?)할때 문통과 친문이 방관했다고 봅니다. 친문 소리 듣던 정치인들 지금 다 친명 아닙니까. 손가혁들이 제일 신날겁니다. 친문한테 그렇게 욕먹고 비토 당했는데... 지금은 키워드 하나 던져주고 부채질 좀 하면 우와~~~~ 하고 친문들이 화력참전.. 원래 후계자라는게 키우고 싶다고 키워지는 것도 아니고, 키운다고 다음 대권을 쥔다는 보장도 없습니다. 그래서 지금 한동훈이 윤통의 후계자가 될까? 아직 4년이나 남았는데? 싶은 생각은 들지만.. 그래도 운통은 지금 벌써 한동훈이라는 사람이 보이는데.. 노통, 문통은 누가 보였나..? 개인적으로 문통을 좋아하지만.. 그래도 윤통 탄생은 문통이 '나는 대통령이 되었고 내 뒤는 니들이 알아서 커서 가져가라' 라는 방관이 큰 역할을 한게 아닐까... 솔직히 검찰총장 그만두고 1년만에 대통령이라는 경이적인 기록을 만들어낸 윤통이라.. 차기 대통령 진짜 한통 되는거 아냐?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재명 다음 대선.... 저는 못나올거라고 봅니다. 그럼 누가 나오죠?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Picard님의 최근 게시물
|
[이낙연 “사면론, 사전교감 없었다”…대통령에 부담 번질까 선긋기]
https://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977027.html
지금 시점에서 보면 장기말로 쓰고 버린 거죠ㅎㅎ
근데 따지고 보면 민주당계 정치인들이 직계 키우는 데에 성공한 적은 없어서..
김대중도 동교동계 못 키웠으니.
반대로 민자당계를 봐도 노태우-김영삼, 김영삼-이회창 다 직계 아니고 그나마 후자는 정권 재창출 실패..
이명박-박근혜도 그렇고요. 전두환-노태우가 유일한 사례라고 봐도 무방할 듯한데 이건 민정 이양이라는 특수한 조건.
https://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977027.html
지금 시점에서 보면 장기말로 쓰고 버린 거죠ㅎㅎ
근데 따지고 보면 민주당계 정치인들이 직계 키우는 데에 성공한 적은 없어서..
김대중도 동교동계 못 키웠으니.
반대로 민자당계를 봐도 노태우-김영삼, 김영삼-이회창 다 직계 아니고 그나마 후자는 정권 재창출 실패..
이명박-박근혜도 그렇고요. 전두환-노태우가 유일한 사례라고 봐도 무방할 듯한데 이건 민정 이양이라는 특수한 조건.
돌이켜 보면 노무현이 뭘 잘못해서 조진 게 아니라, 임기 내내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버둥거렸을 뿐이죠. 문재인은 애초에 파벌정치가 아닌 시스템 공천으로 대표되는 조직의 틀을 만들고자 노력했으니 후계자 정치와는 또 거리가 멀구요. 고독에서 살아남은 놈이 문재인의 정치적 유산을 이어받을 수 있었을 텐데, 나머지 유력주자들이 고꾸라졌으니 살아남은 이재명이 자원을 먹게 된 것에 불과하다 봅니다. 민주당원 입장에서는 굳이 이재명이 아니어도 상관 없는 상황이구요.
애초에 누가 누굴 키웠다, 라는 개념은 계파를 상정하고 계파를 물려주는 방식에서나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대표적으로 3김이죠. 그런데 그 3김 모두 사실상 자신들의 계파를 어떤 누군가에게 물려주는 일에선 실패했고, 그 뒤로도 계속해서 실패해 왔습니다. 이회창, 노무현은 3김의 혁파를 내걸었고, 이명박은 외부인사, 그나마 박근혜, 문재인이 일정 계파를 만들었지만 여전히 물려주진 않았죠. 차라리 정동영-이재명이 그나마 계파라고 할 수 있고 유일한 성공사례는 전두환-노태우가 아닐까 합니다. 연속성이야 박정희-박근혜, 노무현-문재인으로 억지로 만들 수는 있겠습니다만 자민당식 (다케다, 가네마루 등) 후계자 정치는 지금까지 한국에 찾아보기 힘들었던 것 같습니다.
말씀처럼 후계자가 키워진다고 키워지는게 아니죠. 특히 지금처럼 당심을 잡는 것이 중요한 시기에는 더욱 불가능합니다. 후계자 키워봤자 당에서 인기 없으면 어쩝니까.
지금 차기로 주목받는 게 한 장관이라고 하면...4년 뒤에 어떨까요? 이건 4년뒤 금리 예측이나 다를 바가 없죠.
이런 후계자 키우고 하는 정치비사들이 저희끼리 대화 나누고 상상의 나래를 펴기엔 참 좋은 주제지만 현실과는 거리가 있을 공산이 큽니다. 대통령이라는 자리는 오늘 하루하루 일 하기에도 머리빠지는 자린데 당 내에 후계자까지 키우는거는 비현실적이죠.
... 더 보기
지금 차기로 주목받는 게 한 장관이라고 하면...4년 뒤에 어떨까요? 이건 4년뒤 금리 예측이나 다를 바가 없죠.
이런 후계자 키우고 하는 정치비사들이 저희끼리 대화 나누고 상상의 나래를 펴기엔 참 좋은 주제지만 현실과는 거리가 있을 공산이 큽니다. 대통령이라는 자리는 오늘 하루하루 일 하기에도 머리빠지는 자린데 당 내에 후계자까지 키우는거는 비현실적이죠.
... 더 보기
말씀처럼 후계자가 키워진다고 키워지는게 아니죠. 특히 지금처럼 당심을 잡는 것이 중요한 시기에는 더욱 불가능합니다. 후계자 키워봤자 당에서 인기 없으면 어쩝니까.
지금 차기로 주목받는 게 한 장관이라고 하면...4년 뒤에 어떨까요? 이건 4년뒤 금리 예측이나 다를 바가 없죠.
이런 후계자 키우고 하는 정치비사들이 저희끼리 대화 나누고 상상의 나래를 펴기엔 참 좋은 주제지만 현실과는 거리가 있을 공산이 큽니다. 대통령이라는 자리는 오늘 하루하루 일 하기에도 머리빠지는 자린데 당 내에 후계자까지 키우는거는 비현실적이죠.
그래서 후계"자"보다는 후계 그룹, 당내 세력을 키워야 하는 것이죠. 예시로 나온 노무현의 경우에도 후계자를 못키운것보다 "열린우리당"의 결과적 실패가 더 결정적이지 않을까요. 후계자가 아닌 후계집단이 힘을 잃은 사건이니까요.
문재인의 경우엔 본인 계파가 명백한 사람들, 그리고 최소한 문재인과의 연계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민주당에서 힘 쓰고 있다는 점에서 후계 그룹 양성에 실패했다고 보긴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지금 차기로 주목받는 게 한 장관이라고 하면...4년 뒤에 어떨까요? 이건 4년뒤 금리 예측이나 다를 바가 없죠.
이런 후계자 키우고 하는 정치비사들이 저희끼리 대화 나누고 상상의 나래를 펴기엔 참 좋은 주제지만 현실과는 거리가 있을 공산이 큽니다. 대통령이라는 자리는 오늘 하루하루 일 하기에도 머리빠지는 자린데 당 내에 후계자까지 키우는거는 비현실적이죠.
그래서 후계"자"보다는 후계 그룹, 당내 세력을 키워야 하는 것이죠. 예시로 나온 노무현의 경우에도 후계자를 못키운것보다 "열린우리당"의 결과적 실패가 더 결정적이지 않을까요. 후계자가 아닌 후계집단이 힘을 잃은 사건이니까요.
문재인의 경우엔 본인 계파가 명백한 사람들, 그리고 최소한 문재인과의 연계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민주당에서 힘 쓰고 있다는 점에서 후계 그룹 양성에 실패했다고 보긴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사실 김대중-노무현 이후엔 그런거 없긴 하죠.
명박이형이 근혜쨩 키운 것도 아니고.. 근혜짱은 석열쿤을 키웠.....네? 허허...
문재인이 뭘 안해줬다기 보다 (정책상 삽질은 컸지만)
다들 셀프로 터진게 컸죠.
안희정 성폭력
박원순 성폭력 고발당한 후 자결
김경수 이기는 판에서 드루킹 같은 작자랑 손 잡고 자폭
이재명은 비호감 & 각종 구설수 & 음주운전 전과
윤석열 대통령이 영부인이 문제가 많고 사람 능력은 모지리일 지언전
표면적으로 드러난 도덕성 만큼은 저 넷 보단 낫죠.
낙연이형은 말로 흥하고... 더 보기
명박이형이 근혜쨩 키운 것도 아니고.. 근혜짱은 석열쿤을 키웠.....네? 허허...
문재인이 뭘 안해줬다기 보다 (정책상 삽질은 컸지만)
다들 셀프로 터진게 컸죠.
안희정 성폭력
박원순 성폭력 고발당한 후 자결
김경수 이기는 판에서 드루킹 같은 작자랑 손 잡고 자폭
이재명은 비호감 & 각종 구설수 & 음주운전 전과
윤석열 대통령이 영부인이 문제가 많고 사람 능력은 모지리일 지언전
표면적으로 드러난 도덕성 만큼은 저 넷 보단 낫죠.
낙연이형은 말로 흥하고... 더 보기
사실 김대중-노무현 이후엔 그런거 없긴 하죠.
명박이형이 근혜쨩 키운 것도 아니고.. 근혜짱은 석열쿤을 키웠.....네? 허허...
문재인이 뭘 안해줬다기 보다 (정책상 삽질은 컸지만)
다들 셀프로 터진게 컸죠.
안희정 성폭력
박원순 성폭력 고발당한 후 자결
김경수 이기는 판에서 드루킹 같은 작자랑 손 잡고 자폭
이재명은 비호감 & 각종 구설수 & 음주운전 전과
윤석열 대통령이 영부인이 문제가 많고 사람 능력은 모지리일 지언전
표면적으로 드러난 도덕성 만큼은 저 넷 보단 낫죠.
낙연이형은 말로 흥하고 말로 망해버려서 아쉽긴 한데 킹쩔수 없었고...
명박이형이 근혜쨩 키운 것도 아니고.. 근혜짱은 석열쿤을 키웠.....네? 허허...
문재인이 뭘 안해줬다기 보다 (정책상 삽질은 컸지만)
다들 셀프로 터진게 컸죠.
안희정 성폭력
박원순 성폭력 고발당한 후 자결
김경수 이기는 판에서 드루킹 같은 작자랑 손 잡고 자폭
이재명은 비호감 & 각종 구설수 & 음주운전 전과
윤석열 대통령이 영부인이 문제가 많고 사람 능력은 모지리일 지언전
표면적으로 드러난 도덕성 만큼은 저 넷 보단 낫죠.
낙연이형은 말로 흥하고 말로 망해버려서 아쉽긴 한데 킹쩔수 없었고...
선생님 엔터 자비 좀....
후계는 키운다고 키워지는 것이 아닙니다.
키운다고 생각된 노태우도 나름 629선언이라는 권력투쟁을 통해서 대통령 후보로 나설 수 있었지요.
629선언이 없었다면 노태우도 없었지요.
노태우는 후계자로 처남 김복동, 황태자 박철언을 밀었으나 3당합당으로 대통령 후보도 못되고 권력싸움에서 밀려났지요.
지금 한동훈이 잘나가는 것 처럼 보이지만, 권력싸움 아직 시작도 안했습니다.
안희정, 박원순, 김경수 다 어디 갔습니까...... 더 보기
후계는 키운다고 키워지는 것이 아닙니다.
키운다고 생각된 노태우도 나름 629선언이라는 권력투쟁을 통해서 대통령 후보로 나설 수 있었지요.
629선언이 없었다면 노태우도 없었지요.
노태우는 후계자로 처남 김복동, 황태자 박철언을 밀었으나 3당합당으로 대통령 후보도 못되고 권력싸움에서 밀려났지요.
지금 한동훈이 잘나가는 것 처럼 보이지만, 권력싸움 아직 시작도 안했습니다.
안희정, 박원순, 김경수 다 어디 갔습니까...... 더 보기
선생님 엔터 자비 좀....
후계는 키운다고 키워지는 것이 아닙니다.
키운다고 생각된 노태우도 나름 629선언이라는 권력투쟁을 통해서 대통령 후보로 나설 수 있었지요.
629선언이 없었다면 노태우도 없었지요.
노태우는 후계자로 처남 김복동, 황태자 박철언을 밀었으나 3당합당으로 대통령 후보도 못되고 권력싸움에서 밀려났지요.
지금 한동훈이 잘나가는 것 처럼 보이지만, 권력싸움 아직 시작도 안했습니다.
안희정, 박원순, 김경수 다 어디 갔습니까...
후계는 키운다고 키워지는 것이 아닙니다.
키운다고 생각된 노태우도 나름 629선언이라는 권력투쟁을 통해서 대통령 후보로 나설 수 있었지요.
629선언이 없었다면 노태우도 없었지요.
노태우는 후계자로 처남 김복동, 황태자 박철언을 밀었으나 3당합당으로 대통령 후보도 못되고 권력싸움에서 밀려났지요.
지금 한동훈이 잘나가는 것 처럼 보이지만, 권력싸움 아직 시작도 안했습니다.
안희정, 박원순, 김경수 다 어디 갔습니까...
안희정 김경수 조국 ... 천세 만세 누릴 줄 알았는데 다 어데갔노...
그리고 문재인 역시 정책적 측면에서는 노무현을 전혀 계승하지 않았고
그저 대통령직만 놓고 보더라도 부침이 많았지요.
이제 전국시대라고 봐야 하지 않을까요?
이재명도 ~계가 아니고, 윤석열은 그간 암묵적으로 이루어진 모든 계승의 맥락을 다 파괴해버리고 대통령이 되었죠.
그리고 문재인 역시 정책적 측면에서는 노무현을 전혀 계승하지 않았고
그저 대통령직만 놓고 보더라도 부침이 많았지요.
이제 전국시대라고 봐야 하지 않을까요?
이재명도 ~계가 아니고, 윤석열은 그간 암묵적으로 이루어진 모든 계승의 맥락을 다 파괴해버리고 대통령이 되었죠.
정권 후계자를 만들려고 한다는 점에서 이미 글러먹었습니다.
후계자를 키우는게 아니라 알아서 성장해서 알아서 나오는거고 민주주의 사회는 원래 정권 한번씩 주고받는게 맞습니다.
본문에서 언급하신 노무현 대통령 지론이기도 햇고요(물론 그 뒤에 그게 맞는데 하..하필 한나라당에게 쯥..하긴 하셨죠)
막말로 그 김대중 대통령도 노무현 대통령을 후계자로 키웠다고 할수는 없습니다.
애초에 민주주의 사회에서 후계 라는 단어 자체가 권력의 승계를 의미하는건데 이걸 긍정하는게 저는 말이 안된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 민주당의 패배를... 더 보기
후계자를 키우는게 아니라 알아서 성장해서 알아서 나오는거고 민주주의 사회는 원래 정권 한번씩 주고받는게 맞습니다.
본문에서 언급하신 노무현 대통령 지론이기도 햇고요(물론 그 뒤에 그게 맞는데 하..하필 한나라당에게 쯥..하긴 하셨죠)
막말로 그 김대중 대통령도 노무현 대통령을 후계자로 키웠다고 할수는 없습니다.
애초에 민주주의 사회에서 후계 라는 단어 자체가 권력의 승계를 의미하는건데 이걸 긍정하는게 저는 말이 안된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 민주당의 패배를... 더 보기
정권 후계자를 만들려고 한다는 점에서 이미 글러먹었습니다.
후계자를 키우는게 아니라 알아서 성장해서 알아서 나오는거고 민주주의 사회는 원래 정권 한번씩 주고받는게 맞습니다.
본문에서 언급하신 노무현 대통령 지론이기도 햇고요(물론 그 뒤에 그게 맞는데 하..하필 한나라당에게 쯥..하긴 하셨죠)
막말로 그 김대중 대통령도 노무현 대통령을 후계자로 키웠다고 할수는 없습니다.
애초에 민주주의 사회에서 후계 라는 단어 자체가 권력의 승계를 의미하는건데 이걸 긍정하는게 저는 말이 안된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 민주당의 패배를 비롯한 윤석열 정부가 보여주는 삽질은
우리나라 국민의 정치 의식 수준을 그대로 반영한 성적표라고 봅니다.
촛불들어서 망나니 쫓아내고 5년뒤에 혐오논리에 매몰되어서 반대당찍는
극과 극의 모습이 우리 사회의 재미난 부분이라고 봅니다.
우리나라 국민들의 정치의식이 얼마나 선진적인지, 그러면서도 얼마나 후진적인지..
초고속으로 발전해오고 발달해온 우리 사회가 얻은것과 잃은것이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하게 만드는 글이네요.
후계자를 키우는게 아니라 알아서 성장해서 알아서 나오는거고 민주주의 사회는 원래 정권 한번씩 주고받는게 맞습니다.
본문에서 언급하신 노무현 대통령 지론이기도 햇고요(물론 그 뒤에 그게 맞는데 하..하필 한나라당에게 쯥..하긴 하셨죠)
막말로 그 김대중 대통령도 노무현 대통령을 후계자로 키웠다고 할수는 없습니다.
애초에 민주주의 사회에서 후계 라는 단어 자체가 권력의 승계를 의미하는건데 이걸 긍정하는게 저는 말이 안된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 민주당의 패배를 비롯한 윤석열 정부가 보여주는 삽질은
우리나라 국민의 정치 의식 수준을 그대로 반영한 성적표라고 봅니다.
촛불들어서 망나니 쫓아내고 5년뒤에 혐오논리에 매몰되어서 반대당찍는
극과 극의 모습이 우리 사회의 재미난 부분이라고 봅니다.
우리나라 국민들의 정치의식이 얼마나 선진적인지, 그러면서도 얼마나 후진적인지..
초고속으로 발전해오고 발달해온 우리 사회가 얻은것과 잃은것이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하게 만드는 글이네요.
저는 문재인 대통령이 후임자로 윤석열 대통령을 의도했든 아니든간에 선택했다고 봅니다.
파격적으로 검찰 총장에 올려주고 커리어가 안 꺾일 정도로 적절한 시련까지 줘서 대권각을 나오게 했죠.
최근 대통령 당선자들 보면 대부분 시련을 극복한 스토리라는게 있습니다.
파격적으로 검찰 총장에 올려주고 커리어가 안 꺾일 정도로 적절한 시련까지 줘서 대권각을 나오게 했죠.
최근 대통령 당선자들 보면 대부분 시련을 극복한 스토리라는게 있습니다.
애시당초 대통령은 자신의 임기기간 국정을 하는 자리이지 자기 계파의 후계자를 키우는 자리가 아니니까요. 물론 정치적 목적 하에 키울 수도 있겠지만, 의무인 것도 아니구요.
목록 |
|